율장과 조계종법의 이해 율장과 조계종법의 이해 (이 연구는 2013년도 조계종 교수아사리 연구비 지원에 의한 연구물임.) 임경미(원영)/조계종 교육아사리 • 목 차 • Ⅰ. 들어가는 말 Ⅱ. 율장과 조계종법의 틀 1. 율장의 구성 체계 2. 조계종법의 구성 체계 Ⅲ. 율장과 조계종단의 법 1. 계(界)에 의한 승가의 .. 대승불교·한국불교 논문및 평론 2015.11.05
[불설 비불설 논쟁] 최초 경전 편찬은 문자의 영향 - 조성택 교수 권오민 경상대 철학과 교수가 「문학/사학/철학」(여름 제17호)에서 초기경전으로 일컬어지는 아함경과 니까야 또한 대승경전과 마찬가지로 붓다의 ‘친설’로는 볼 수 없다는 파격적인 주장을 펼쳤다. 이후 “니까야에는 ‘친설’이 담겨있다”는 팔리문헌연구소장 마성 스님을 비롯.. 초기불교 논문및 평론/논문·평론 2015.09.08
[불설 비불설 논쟁] '하나만 진실’은 다양성시대에 역행 - 권오민 교수 권오민 경상대 철학과 교수가 최근 「문학/사학/철학」(제17호)에서 초기경전으로 일컬어지는 아함경과 니까야 또한 대승경전과 마찬가지로 붓다의 ‘친설’로 볼 수 없다는 파격적인 주장을 펼쳤다. 이에 대해 팔리문헌연구소장 마성 스님과 한국빠알리성전협회 전재성 회장이 이를 반.. 초기불교 논문및 평론/논문·평론 2015.09.08
[불설 비불설 논쟁] 니까야 체계적 전승…‘친설’ 담겼다 - 황순일 교수 권오민 경상대 철학과 교수가 최근 「문학/사학/철학」(제17호)에서 초기경전으로 일컬어지는 아함경과 니까야 또한 대승경전과 마찬가지로 붓다의 ‘친설’로 볼 수 없다는 파격적인 주장을 펼쳤다. 이후 팔리문헌연구소장 마성 스님과 한국빠알리성전협회 전재성 회장이 권오민 교수.. 초기불교 논문및 평론/논문·평론 2015.09.08
[불설 비불설 논쟁] 역사성 운운은 사실성 무시한 태도 - 권오민 교수 권오민 경상대 철학과 교수가 최근 「문학/사학/철학」(제17호)에서 초기경전으로 일컬어지는 아함경과 니까야 또한 대승경전과 마찬가지로 붓다의 ‘친설’로 볼 수 없다는 파격적인 주장을 펼쳤다. 이후 팔리문헌연구소장 마성 스님이 이를 비판하고 권 교수가 이를 다시 반박하는 논.. 초기불교 논문및 평론/논문·평론 2015.09.08
[불설 비불설 논쟁] 니까야는 창작 아닌 ‘리얼리티’ 자료 - 전재성 박사 권오민 경상대 철학과 교수가 최근 「문학/사학/철학」(제17호)에서 초기경전으로 일컬어지는 아함경과 니까야 또한 대승경전과 마찬가지로 붓다의 친설로 볼 수 없다는 파격적인 주장을 펼쳤고, 이후 팔리문헌연구소장 마성 스님이 이를 비판하고 권 교수가 이를 다시 반박하는 논쟁이 .. 초기불교 논문및 평론/논문·평론 2015.09.08
[불설 비불설 논쟁] 니카야만 불설 주장은 맹목일 뿐 - 권오민 교수 권오민 경상대 철학과 교수는 최근 「문학/사학/철학」(제17호)에서 초기경전으로 일컬어지는 아함경과 니카야 또한 대승경전과 마찬가지로 붓다의 친설로 볼 수 없다는 파격적인 주장을 펼쳤다. 이런 가운데 팔리문헌연구소장 마성 스님은 대승경전이란 붓다의 가르침을 재해석해 불설.. 초기불교 논문및 평론/논문·평론 2015.09.08
[불설 비불설 논쟁] 대승 불설 부정은 ‘무지’ 탓 - 권오민 교수 권오민 경상대 철학과 교수 최근 아함경과 니처님이 직접 설한 경전으로 간주하거나 이들 경전을 근거로 초기불교로 돌아가자는 얘기들이 공공연히 나오는 가운데 아함경과 니카야도 붓다의 친설로 볼 수 없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또 대승경전을 불설이 아니라고 주장하는 것은 불교사.. 초기불교 논문및 평론/논문·평론 2015.09.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