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기불교 논문및 평론 283

고대인도 전적에서 선정의 기원 문제/조준호

「인도철학」 제66집(2022.12), 37~67쪽 고대인도 전적에서 선정의 기원 문제 (본 논문은 2021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NRF-과제번호 2021S1A5B5A16077556) 조준호/동국대학교 불교학술원 불교문화연구원 초빙교수. yathabhuta@hanmail.net I. 들어가는 말. II. 알라라 깔라마와 웃다까 라마뿟따의 바라문교 수행자설 검증. III. 알라라 깔라마와 웃다까 라마뿟따의 니간타 수행자설 논증. IV. 자이나교 선정 사상과 석가모니 붓다 V. 성도 이전의 석가모니 붓다의 6년 고행. VI. 마치는 말. [요약문] 사띠(sati)와 사마타 그리고 위빠사나는 선정의 가장 핵심적인 전문용어 이다. 본고는 사띠와 사마타 위빠사나의 기원을 ..

인도 불교 승원의 질병과 치료 __마하박가(Mahāvagga)를 중심으로__

「인도철학」 제65집(2022.08), 355~389쪽 인도 불교 승원의 질병과 치료 (이 논문은 2019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RF-2019S1A6A3A04058286). 이은영(주저자):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HK+통합의료인문학연구단 HK연구교수. ley0401@khu.ac.kr 양영순(교신저자): 한국외국어대학교 인도연구소 HK연구교수. suriya77@naver.com I 머리말. II 인도 불교 승원의 질병. III 인도 불교 승원의 치료. IV 의료와 수행의 균형. V 맺음말. [요약문] 고대 인도의 불교 승원은 수행의 공간이었을 뿐만 아니라, 의료의 공 간이었다. 본고는 고대 인도 불교 승원의 의료를 연구하기 위해 비나야삐 따까(Vinayapiṭak..

초기 인도불교에서의 신통과 기적

초기 서구 학자들의 눈에 불교는 기본적으로 종교의 전통적 올가미로부터 자유로운 심리학 적 윤리의 실용적 코드로 비추어졌다. 그들의 이해에서 불교의 초이성적 측면은 불필요한 것이 었고 초기 인도불교의 문헌들에 뚜렷하게 나타나는 신통과 기적은 후대의 첨가로 설명되었다. 이러한 인상을 전달하는 주요한 구절은 승려들이 기적을 행하거나 발설하지 못하게 하는 「율 장」의 규정들과 세 가지 기적을 논하는 「디가 니까야」의 「께왓다 숫따(Kevaddha-sutta)」의 한 섹션일 것이다. 「께왓다 숫따」는 재가신자 께왓다(Kevaddha)가 세 번이나 붓다에게 상인법 (上人法, uttarimanussa-dhamma)인 신통의 기적(iddhi-pāṭihāriya)을 시현할 비구를 초청해 달라고 요구하는 것으로 시작된다...

스리랑카 비구니 승가 소멸에 대한 고찰

佛敎學報 第86輯 스리랑카 비구니 승가 소멸에 대한 고찰 * 이 논문은 2017년 정부(교육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RF2017S1A6A3A02079749). This work was supported by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Grant funded by the Korean Government(NRF-2017S1A6A3A02079749). 김한상/한국외국어대학교 HK연구교수 I. 들어가는 말 II. 테라와다 불교의 남성중심주의적 성향 III. 힌두교의 반여성주의와 남존여비사상 IV. 아란냐까 전통의 대두 V. 나가는 말 이 논문에서 필자는 스리랑카의 비구니 승가의 소멸에 대해 탐구한다. 비구니 승가는 거 의 1200..

제3결집과 남방 테라와다(Theravada) 불교

제3결집과 남방 테라와다(Theravada) 불교 황순일/동국대학교 불교학부 교수 I. 서언 II. 제3결집의 원인 III. 목깔리뿟따띳사(Moggaliputtatissa)와 불교전파 IV. 남방 테라와다(Theravāda) 전통에서 제3결집의 위치 V. 결어 불교국가에서 가장 이상적인 불교적 군주로 받아들여지고 있는 인도 마우리야 왕조의 제3대 아쇼까(Aśoka)왕에 관해서 많은 이견들이 존재하고 있다. 사실상 인도 전역에서 발견되는 아쇼까왕 비문․석주에 나타나는 아쇼까왕과 남방 테라와다(Theravāda) 불교전통에 나타나는 아쇼까왕 사이에는 상당한 차이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붓다고샤(Buddhaghosa)의 까타왓투(Kathāvatthu) 주석서(Aṭṭhakathā)의 서문에 나타난 ..

불교 경전의 결집 과정과 논쟁점/조준호

불교 경전의 결집 과정과 논쟁점 / 조준호 상좌불교, 무시할 것인가 포용할 것인가 [44호] 2010년 09월 06일 (월) 조준호 yathabhuta@hanmail.net 조준호 고려대 연구교수 1.들어가는 말 오래된 불교 문헌에 의하면 인도불교사에 있어 불멸(佛滅) 후 네 차례에 걸친 석가모니 붓다의 말씀에 대한 편집 또는 편찬회의가 있었다. 이 가운데 상좌불교(Theravāda)의 빠알리(Pāli) 전승 문헌에는 세 차례가 언급된다. 불멸 후 처음으로 라자가하(Rājagaha)에서 500 아라한에 의한 제1차 결집, 불멸 100년 후 웨살리(Vēsalῑ)에서 계율상의 문제가 쟁점이 된 제2차 결집, 이후 모리야[Sk. Maurya] 왕조의 아소까 왕 때 적주비구(賊住比丘) 축출이라는 교단 정화적 차..

병자, 유가족, 임종자에 대한 붓다의 돌봄

「동아시아불교문화」 46집, 2021. 6, 369~401 http://dx.doi.org/10.21718/EABC.2021.46.12 병자, 유가족, 임종자에 대한 붓다의 돌봄 윤희조 / 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 Ⅰ. 서론 Ⅱ. 병자의 돌봄 1. 몸은 병들어도 마음은 병들지 않는다 2. 칠각지 3. 열 가지 인식 Ⅲ. 유가족의 돌봄 1. 손자 - 할머니 2. 어머니 - 아들 3. 수행자 - 수행자 Ⅳ. 임종자에 대한 돌봄 1. 하착 2. 지계와 후회 3. 참회와 가벼운 과보 4. 삼법인과 사념처 5. 논의 Ⅴ. 결론 본고는 붓다가 문제의식으로 삼고 있는 생노병사 가운데 병과 죽음을 어 떻게 다루는지를 실천적 관점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병자의 돌봄에서는 몸 은 병들어도 마음은 병들지 않는다는 가르침과 화살의 ..

붓다의 般涅槃(parinibbāna)에 관한 고찰

붓다의 般涅槃(parinibbāna)에 관한 고찰 안 양규/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불교학과 교수. Ⅰ. 시작하는 말 Ⅱ. 붓다의 입멸 과정 1.「열반경」에 보이는 붓다의 입멸과정 2. 입멸과정 기술의 분석 i) 九次第定과 四靜慮 ii)멸진정과 열반 3. 붓다의 最後心에 관한 붓다고사의 견해 Ⅲ. 入滅과 正覺 Ⅳ. 붓다의 死後 Ⅴ. 맺는말 Ⅰ. 시작하는 말 「大般涅槃經」(Mahāparinibbāna-Sutanta, 이하 「열반경」)은 붓다의 입멸 을 주제로 하고 있다. 「열반경」은 편집될 시기의 불교도들이 어떻 게 붓다의 죽음 또는 그의 본질을 이해하고 있었는가를 보여주고 있다. 「열반경」은 크게 두 종류로 나눌 수 있는데, 대승불교의 「열반경」과 초기불교의 「열반경」이 그것이다. 두 종류의 「열반경」 이 ..

고기를 먹는 행위가 살생을 야기하는가

「인도철학」 제61집(2021.4), 97~120쪽 바비베까의 비-채식주의* __고기를 먹는 행위가 살생을 야기하는가, 고기 먹기를 원하는 행위가 살생을 야기하는가?__ 함형석/전남대학교 철학과 조교수. hamhs@chonnam.ac.kr I 서론 II 바비베카 '비-채식주의' 논의의 콘텍스트와 그 내용 III 육식은 살생을 조장하는가? IV 결론 [요약문] 본고는 바비베까(Bhāviveka, 500-570 CE)의 저작 중관심론』(Madhy-amakahṛdayakārikā)과 그에 대한 주석 『이성의 불꽃』(Tarkajvālā)의 아홉 번 째 챕터인 「미망사장」(Mīmāṃsātattvanirṇayāvatāra)에 등장하는 비-채식주의(non-vegetarianism) 논의를 분석한다. 이를 통해 6세..

인도초기대승의 수행문화 - 출가보살과 재가보살의 기원과 전개

[동아시아불교문화] 41집, 2020. 3, 109~136 인도초기대승의 수행문화 - 출가보살과 재가보살의 기원과 전개 (이 논문은 2017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NRF-2017S1A5B5A07063913). 본 논문은 필자가 2016년 12월 15일에 열린 ‘제6회 한국밀교문화총람 논문발표회’에서 발표한 ‘인도 사문주의의 문화사적 전개와 밀교적 수용’을 토대로 재작성한 것임을 밝힌다.) 최경아/강릉원주대학교 강사. Ⅰ. 서론 Ⅱ. 인도수행문화의 기원 Ⅲ. 초기불전에 등장하는 수행자의 위상 Ⅳ. 출가와 재가 – 초기 대승의 보살 Ⅴ. 수행과 성취 – 불교딴뜨리즘의 싯다 Ⅵ. 결론 [국문초록] 불교의 수행문화는 사문주의에 근간을 두고 있고 그 핵심은 출가수행이 다...

비구니 바라이 불공계(不共戒) 의 제정 의도에 관한 고찰/이자랑

한국불교학 제 집89 , pp.163~188. 서울 (사) 한국불교학회 : 2019.02.28. 비구니 바라이 불공계(不共戒) 의 제정 의도에 관한 고찰 * 2011 ( ) 이 논문은 년도 정부 교육과학기술부 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연구되었음 [NRF-2011-36-A00008]. 이 자 랑/동국대학교 불교학술원 HK 교수 Ⅰ 서론 Ⅱ 비구니 바라이 불공계 Ⅲ 마촉계( ) 摩觸戒 와 팔사성중계( ) 八事成重戒 Ⅳ 부비구니중죄계( ) 覆比丘尼重罪戒 Ⅴ 수순피거비구위간계( ) 隨順被挙比丘違諫戒 Ⅵ. 결론 [ 요 약 문 ] 본 논문은 빨리율에 보이는 비구니 바라이 '불공계(不共戒)' 의 제정 의도를 검토한 것이다 비구니 바라이 불공계란 비구 구족계에는 없으며 비구니 구족계에만 있는 바라이 조문..

大天五事로 본 교단분열에 대한 再考 - 불타와 아라한의 相異를 중심으로 -/박상갑

한국선학 제35호 大天五事로 본 교단분열에 대한 再考 - 불타와 아라한의 相異를 중심으로 - 박상갑/(지일, 동국대학교 대학원 불교학과, 박사과정) [목 차] Ⅰ. 머리말 Ⅱ. 교단분열의 근원적 발생 요인 1. 대천 인물의 전기 2. 五事의 각 항목별 내용 3. 아라한의 聖者觀에 대한 한계 Ⅲ. 불타와 아라한에 대한 상좌부, 대중부의 異論 1. 불타와 아라한의 相異 2. 대중부 계통의 교상학적 견해 3. 상좌부 계통의 교상학적 견해 Ⅳ. 맺음말 ◈ 국문 요약문 불교사에서는 불교교단이 上座部와 大衆部로 분열된 것을 근본분열로 보고 이를 ‘2부 분열 사건’으로 여기고 있다. 本 分列의 원인을 밝혀볼 수 있는 자료로는 남전의 『디파밤사(Dīpavaṃsa)』와 『마하밤사(Mahāvaṃsa)』, 북전의 『十誦律』..

인도불교에서 부파의 성립과 발전 - 부파 성립에 있어 율의 역할을 중심으로 - 이자랑

佛敎學報 第74輯 인도불교에서 부파의 성립과 발전 - 부파 성립에 있어 율의 역할을 중심으로 - 이자랑 / 동국대학교 불교학술원 HK연구교수 * 본고는 금강대학교 HK연구단 주최로 열린 제1회 동아시아불교집중담론(제1차 2015.2.9 및 제2차 2015.8.27)에서 구두 발표한 원고를 수정 ․ 보완한 것이다. Ⅰ. 머리말 Ⅱ. 부파 발생에 관한 전승: 근본분열과 지말분열 Ⅲ. 부파의 정체성 확립과 율의 공유 Ⅳ. 부파와 대승의 관계 : 학파로서의 대승 Ⅴ. 맺음말 불멸(佛滅) 후 100년경부터 시작된 불교교단의 분열은 이후 200~300년 동안 이어졌 으며, 그 결과 교단은 18 혹은 20여개의 집단으로 나뉘었다. 일반적으로 학계에서는 이 기간을 ‘부파불교(시대)’, 이때 발생한 각 집단을 ‘부파’라..

심해탈을 위한 수행 과정과 몸관찰 명상에 대한 고찰/심준보

『동아시아불교문화』 40집, 2019. 12, 135~155 http://dx.doi.org/10.21718/EABC.2019.40.05 심해탈을 위한 수행 과정과 몸관찰 명상에 대한 고찰 - 한역 4부아함에 나타난 심해탈의 차제성을 중심으로 - 심 준 보/금강대학교 연구교수 Ⅰ. 들어가는 말 Ⅱ. 심해탈을 위한 수행과정 1. 심해탈과 5종 덕목의 수습 2. 심해탈과 4종의 차서수행 Ⅲ. 심해탈과 몸의 관계 1. 심해탈과 12처 2. 심해탈과 오온 Ⅳ. 나가는 말 본 연구는 한역 4부 아함의 여러 경증을 통해 초기불교의 심해탈의 성취 과정에 대한 내용을 고찰하고, 심해탈과 혜해탈이 차제적인 수행 과정을 통 해 성취됨을 확인하려는 것이다. 아함은 심해탈과 혜해탈의 두 체계로 해탈 을 설명하는데, 이 두 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