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기불교 논문및 평론/율장 53

인도 불교 승원의 질병과 치료 __마하박가(Mahāvagga)를 중심으로__

「인도철학」 제65집(2022.08), 355~389쪽 인도 불교 승원의 질병과 치료 (이 논문은 2019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RF-2019S1A6A3A04058286). 이은영(주저자):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HK+통합의료인문학연구단 HK연구교수. ley0401@khu.ac.kr 양영순(교신저자): 한국외국어대학교 인도연구소 HK연구교수. suriya77@naver.com I 머리말. II 인도 불교 승원의 질병. III 인도 불교 승원의 치료. IV 의료와 수행의 균형. V 맺음말. [요약문] 고대 인도의 불교 승원은 수행의 공간이었을 뿐만 아니라, 의료의 공 간이었다. 본고는 고대 인도 불교 승원의 의료를 연구하기 위해 비나야삐 따까(Vinayapiṭak..

비구니 바라이 불공계(不共戒) 의 제정 의도에 관한 고찰/이자랑

한국불교학 제 집89 , pp.163~188. 서울 (사) 한국불교학회 : 2019.02.28. 비구니 바라이 불공계(不共戒) 의 제정 의도에 관한 고찰 * 2011 ( ) 이 논문은 년도 정부 교육과학기술부 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연구되었음 [NRF-2011-36-A00008]. 이 자 랑/동국대학교 불교학술원 HK 교수 Ⅰ 서론 Ⅱ 비구니 바라이 불공계 Ⅲ 마촉계( ) 摩觸戒 와 팔사성중계( ) 八事成重戒 Ⅳ 부비구니중죄계( ) 覆比丘尼重罪戒 Ⅴ 수순피거비구위간계( ) 隨順被挙比丘違諫戒 Ⅵ. 결론 [ 요 약 문 ] 본 논문은 빨리율에 보이는 비구니 바라이 '불공계(不共戒)' 의 제정 의도를 검토한 것이다 비구니 바라이 불공계란 비구 구족계에는 없으며 비구니 구족계에만 있는 바라이 조문..

大天五事로 본 교단분열에 대한 再考 - 불타와 아라한의 相異를 중심으로 -/박상갑

한국선학 제35호 大天五事로 본 교단분열에 대한 再考 - 불타와 아라한의 相異를 중심으로 - 박상갑/(지일, 동국대학교 대학원 불교학과, 박사과정) [목 차] Ⅰ. 머리말 Ⅱ. 교단분열의 근원적 발생 요인 1. 대천 인물의 전기 2. 五事의 각 항목별 내용 3. 아라한의 聖者觀에 대한 한계 Ⅲ. 불타와 아라한에 대한 상좌부, 대중부의 異論 1. 불타와 아라한의 相異 2. 대중부 계통의 교상학적 견해 3. 상좌부 계통의 교상학적 견해 Ⅳ. 맺음말 ◈ 국문 요약문 불교사에서는 불교교단이 上座部와 大衆部로 분열된 것을 근본분열로 보고 이를 ‘2부 분열 사건’으로 여기고 있다. 本 分列의 원인을 밝혀볼 수 있는 자료로는 남전의 『디파밤사(Dīpavaṃsa)』와 『마하밤사(Mahāvaṃsa)』, 북전의 『十誦律』..

인도불교에서 부파의 성립과 발전 - 부파 성립에 있어 율의 역할을 중심으로 - 이자랑

佛敎學報 第74輯 인도불교에서 부파의 성립과 발전 - 부파 성립에 있어 율의 역할을 중심으로 - 이자랑 / 동국대학교 불교학술원 HK연구교수 * 본고는 금강대학교 HK연구단 주최로 열린 제1회 동아시아불교집중담론(제1차 2015.2.9 및 제2차 2015.8.27)에서 구두 발표한 원고를 수정 ․ 보완한 것이다. Ⅰ. 머리말 Ⅱ. 부파 발생에 관한 전승: 근본분열과 지말분열 Ⅲ. 부파의 정체성 확립과 율의 공유 Ⅳ. 부파와 대승의 관계 : 학파로서의 대승 Ⅴ. 맺음말 불멸(佛滅) 후 100년경부터 시작된 불교교단의 분열은 이후 200~300년 동안 이어졌 으며, 그 결과 교단은 18 혹은 20여개의 집단으로 나뉘었다. 일반적으로 학계에서는 이 기간을 ‘부파불교(시대)’, 이때 발생한 각 집단을 ‘부파’라..

『四分律』에 나타난 神異現狀에 관한 硏究 - 바라제목차와 건도부를 중심으로 -/이현배

『동아시아불교문화』33집, 2018. 3, 317~344 『四分律』에 나타난 神異現狀에 관한 硏究 - 바라제목차와 건도부를 중심으로 - 이 현 배(탄공)/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외래강사 Ⅰ. 들어가는 말 Ⅱ. 『사분율(四分律)』 바라제목차(波羅提目叉) 에 나타나는 신이, 신통현상 1. 사바라이법 1) 음계 2) 살인계 2. 십삼승잔법 1) 촉여인계 2) 파승위간계 3. 삼십사타 Ⅲ.『사분율(四分律)』건도분(揵度分) 에 나타나는 신이, 신통현상 1.선정의 단계와 신통 2.신통과 묘용 Ⅳ. 나오는 말 『사분율四分律』에서 지계(持戒)를 통한 청정수행은 비구의 필수항목이며 자신의 생명을 비롯한 타인의 생명과 존엄성의 가치를 소중하게 다루고 있 다. ?율장?속에 신이(神異)와 신통(神通) 현상이 보편적으로 나타나고..

「선원청규」로부터 본 총림의 식생활 - 율장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이자랑

[동아시아불교문화] 32집, 2017. 12, 255~282 「선원청규」로부터 본 총림의 식생활 - 율장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 이 논문은 2011년도 정부(교육과학기술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연구되었 음[NRF-2011-36-A00008].) 이 자 랑/동국대학교 HK교수 Ⅰ. 서론 Ⅱ. 계율에서 청규로 –자각 종색의 계율관 Ⅲ. 호계(護戒) 에 보이는 불응식․비시식 1. 먹어서는 안 될 음식 2. 비시식과 재죽이시(齋粥二時) Ⅳ. 부죽반(赴粥飯) 에 보이는 발우공양의 특징 1. 정인(淨人)의 역할 2. 끽식법과 중학법 Ⅴ. 결론 본고는 현존하는 최고(最古)의 청규로 알려진 자각 종색(自覺宗賾)의「선 원청규(禪苑淸規)」에 나타나는 식생활을 율장과 비교하며, 양자 간의 유사성 및 청..

화합승(和合僧)의 의미와 실현 방법에 관한 고찰/이 자랑

화합승(和合僧)의 의미와 실현 방법에 관한 고찰 (이 논문은 2011년도 정부(교육과학기술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연구되었음 [NRF-2011-36-A00008]) 이자랑/동국대 HK교수 I. 서론 II. 화합의 정의 III. 화합의 실현 방법 - 여법화합갈마의 실행 IV. 여법화합갈마의 실행, 왜 화합승의 상징인가? V. 결론 요약문 대소승을 불문하고 불교문헌에서 승가는 종종 화합승(和合僧)이라는 말로 표현된다. 이는 승가를 상징하는 주요 개념이 ‘화합’이며, 화합이야말로 승가 운영에 있어 추구해야 할 최고의 이념이라는 점을 보여준다. 그렇다면, 화합의 구체적인 기준은 무엇이며, 그것은 어떻게 실현해 가야 하는 것일까? 본 논문에서는 초기불교문헌에 근거하여 화합의 의미, 화합 실현의 ..

초기불교승가의 운영 원리와 지도자의 역할/이자랑

[동아시아불교문화]28집 초기불교승가의 운영 원리와 지도자의 역할 (이 논문은 2011년도 정부(교육과학기술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연구 되었음[NRF-2011-36-A00008].) 이 자 랑/동국대학교 불교학술원 HK교수 Ⅰ. 서론 Ⅱ. 승가의 구성과 운영 방법 Ⅲ. 현전승가의 운영 원리 Ⅳ. 화합의 실현과 지도자의 역할 Ⅴ. 결론 승가(僧伽, saṃgha)는 고따마 붓다의 법과 율에 근거하여 수행하고자 모인 사람들로 구성된 공동체이다. 세간과 다른 가치를 추구하는 출세간의 집단 인 만큼, 운영 원리 역시 세간과는 다르다. 본고에서는 초기불교승가의 운영 원리를 정신과 물질의 두 가지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정신적인 면에서 가장 가치를 두는 운영 원리는 ‘화합갈마(和合羯磨, samagg..

破法輪僧(파법륜승)의 원인에 관한 고찰/염중섭

동양철학연구 제 5 2집 동양철학연구회 / 2007년 11월 28일 破法輪僧(파법륜승)의 원인에 관한 고찰 - 佛傳과 律藏의 관점차이와 화해를 중심으로 - 염 중 섭 (동국대학교 문과대학 철학과 강사) Ⅰ. 序論 Ⅱ. 佛傳의 관점 1. 감정적인 대립 2. 결혼과 관련된 경쟁 Ⅲ. 律藏의 관점 1. 교단의 승계요청 2. 승단의 문제의식 Ⅳ. 佛傳과 律藏의 관점 1. 종교와 사실의 간극 2. 차이와 접근 Ⅴ. 結論 본 고찰은 破法輪僧의 원인에 대한 佛傳과 律藏의 상이한 관점과 그럼 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논리구조가 하나로 화해될 수 있는 측면을 조명 한 것이다. 파법륜승은 붓다 재세시 불교교단에서의 가장 큰 사건이다. 또한 이는 붓다라는 불교의 교조에 대한 반대라는 측면에서 이후 불교가 종교화되 면서도 계속해..

부파분열과 破僧

부파분열과 破僧 佛敎硏究 제38집 권오민/경상대학교 철학과 교수. Ⅰ. 부파의 분열 항쟁과 파승 Ⅱ. 파승의 諍事와 滅諍法 1. 파승을 초래하는 쟁사: 言諍 2. 言諍의 멸쟁법 1) 現前比尼와 多人語 2) 如草覆地 Ⅲ. 不同住의 갈마와 부파분열 Ⅳ. 法輪의 파괴를 인정하지 않는 불교 Ⅴ. 결어 요약문 諸部의 율장에서는 破僧 즉 승가의 분열(saṃghabheda)을 일차적 으로 이설의 제시(唱說)와 승가를 구성하는 최소인원의 동의(取籌)라 는 두 조건에 의해 일어나는 無間罪로 규정하지만, 제 부파 중 가장 보수적이라는 설일체유부의 아비달마에서는 불타입멸 이후에는 법륜 의 파괴에 따른 승가분열(破法輪僧)은 일어나지 않았다고 말한다. 이 에 따르는 한 그들의 부파분열(nikāyabheda)은 破法輪僧이 아닐뿐..

율장의 불탑 기술에 관한 일고찰 불탑=붓다의 관점을 중심으로/이자랑

율장의 불탑 기술에 관한 일고찰 불탑=붓다의 관점을 중심으로 「불교연구」제43집(2015 * 이 논문은 2011년도 정부(교육과학기술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연구되었음[NRF-2011-36-A00008]. 이자랑/동국대학교 불교학술원 HK연구교수 Ⅰ. 서론 Ⅱ. 발조탑의 의의 Ⅲ. 불탑에 대한 예경과 공양 Ⅳ. 불탑 공양물=불물(佛物)로의 인식 변화 Ⅴ. 결론 [요약문] 불탑은 석가모니의 유골인 사리를 봉안한 분묘(墳墓) 내지 그 종 교적 건축물을 의미한다. 불멸 후, 불탑은 붓다를 대신하는 가장 중 요한 신앙 대상으로 발전한 것으로 보이는데, 한때 히라카와 아키라 의 ‘대승불교 재가 불탑 기원설’의 영향으로 출가자와 불탑 신앙은 무관하다는 인식이 있었다. 하지만, 그 후 동서양의 여러..

승가화합의 판단 기준에 관하여/이자랑

승가화합의 판단 기준에 관하여 이 자랑/동국대학교 Ⅰ. 서론 한국불교를 비롯하여 중국과 일본 등, 동아시아 불교권에서는 계 (界, sīmā), 즉 경계가 승가공동체의 생활에서 필수적인 개념은 아 니다. 그러나 율장에 의하면, 승가의 성립은 경계의 설정[結界]부 터 시작된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사방으로 산이나 바위 등의 표식 을 정해 이를 기준으로 형성된 하나의 경계는 현전승가(現前僧伽, sammukhībhūtasaṃgha)1)라 불리는데, 이 개개의 현전승가야말로 율장 건도부에 기술된 모든 규정이 그 효력을 발휘하게 되는 기본 단위 이다. 따라서 경계의 설정 없이는 승가의 운영 자체가 불가능하다. 1) 현전승가란 지금 여기 성립하고 있는 승가, 즉 시간적으로나 공간적으로나 한정되는 승가이다. 사방으로 ..

比丘尼 八敬法에 대한 考察/마성 스님

比丘尼 八敬法에 대한 考察 「불교학연구」 제15호(2006.12) 李秀昌 (摩聖, 동국대학교 강사) Ⅰ. 머리말 현대는 모든 분야에서 성차별적 조항들이 하나하나 철폐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도 종교계에는 성차별적 조항들이 많이 남아 있다.1) 불교 승단에서도 비구와 비구니의 불평등 조항이 여전히 남아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불평등의 근거로 제시되고 있는 것이 바로 比丘尼 ‘八敬法’(aṭṭha garudhammā)이다. 이 비구니 ‘팔경법’은 승단의 二部僧(ubhato-saṅgha, 兩僧伽) 제도의 根幹이 되고 있기 때문에 매우 중요한규정이다. 1) 2006년 7월 22일 만해NGO교육센터 2층 세미나실에서 종교비판자유실현시민연대와 세계와기독교변혁을위한연대가 공동 주최한 「종교계 성차별 문제에 대한 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