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기불교 논문및 평론/교리 및 수행 65

고대인도 전적에서 선정의 기원 문제/조준호

「인도철학」 제66집(2022.12), 37~67쪽 고대인도 전적에서 선정의 기원 문제 (본 논문은 2021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NRF-과제번호 2021S1A5B5A16077556) 조준호/동국대학교 불교학술원 불교문화연구원 초빙교수. yathabhuta@hanmail.net I. 들어가는 말. II. 알라라 깔라마와 웃다까 라마뿟따의 바라문교 수행자설 검증. III. 알라라 깔라마와 웃다까 라마뿟따의 니간타 수행자설 논증. IV. 자이나교 선정 사상과 석가모니 붓다 V. 성도 이전의 석가모니 붓다의 6년 고행. VI. 마치는 말. [요약문] 사띠(sati)와 사마타 그리고 위빠사나는 선정의 가장 핵심적인 전문용어 이다. 본고는 사띠와 사마타 위빠사나의 기원을 ..

심해탈을 위한 수행 과정과 몸관찰 명상에 대한 고찰/심준보

『동아시아불교문화』 40집, 2019. 12, 135~155 http://dx.doi.org/10.21718/EABC.2019.40.05 심해탈을 위한 수행 과정과 몸관찰 명상에 대한 고찰 - 한역 4부아함에 나타난 심해탈의 차제성을 중심으로 - 심 준 보/금강대학교 연구교수 Ⅰ. 들어가는 말 Ⅱ. 심해탈을 위한 수행과정 1. 심해탈과 5종 덕목의 수습 2. 심해탈과 4종의 차서수행 Ⅲ. 심해탈과 몸의 관계 1. 심해탈과 12처 2. 심해탈과 오온 Ⅳ. 나가는 말 본 연구는 한역 4부 아함의 여러 경증을 통해 초기불교의 심해탈의 성취 과정에 대한 내용을 고찰하고, 심해탈과 혜해탈이 차제적인 수행 과정을 통 해 성취됨을 확인하려는 것이다. 아함은 심해탈과 혜해탈의 두 체계로 해탈 을 설명하는데, 이 두 체..

장애의 두 가지 기능에 대한 연구 ‒ 사마타와 위빠사나 수행을 중심으로 ‒/정준영

한국불교학 제86집, pp.255~283 장애의 두 가지 기능에 대한 연구 ‒ 사마타와 위빠사나 수행을 중심으로 ‒ 정준영/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 불교학과 명상학전공 교수 Ⅰ. 들어가는 말 Ⅱ. 사마타 수행의 장애 1. 장애의 소멸과 선정 2. 선지와 삼행의 중지 Ⅲ. 위빠사나 수행의 장애 1. 심관수염과 칠각지 2. 두려움, 위험 그리고 혐오 Ⅳ. 마치는 말 [ 요 약 문 ] 불교수행은 장애(hinderance, nīvaraṇa)를 수반한다. 본고는 사마타와 위빠사나 수행에서 나타나는 장애들의 발생 원인을 분석하고, 이들의 순기능과 역기능에 대해서 살펴본다. 일부 서구학자들은 불교수행이 부작용을 수반하기에 대안이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또한 불교수행에서 체험한 경험은 객관적으로 평가하기 어려운 문제점을 지닌..

팔리(Pāli)문헌에 나타나는 우뻬카(upekkhā, 平靜.평정)의 역할과 구분에 대한 연구/박재은

불교학연구 제39호(2014.6) 팔리(Pāli)문헌에 나타나는 우뻬카(upekkhā, 平靜.평정)의 역할과 구분에 대한 연구 박재은/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 박사수료 Ⅰ. 서론 Ⅱ. 초기경전의 우뻬카 1. 우뻬카의 용례 2. 우뻬카의 기능적 분류와 특징 Ⅲ. 『청정도론』의 우뻬카 1. 우뻬카의 기능적 분류와 특징 2. 초기경전과 『청정도론』의 비교 Ⅳ. 우뻬카의 구분과 문제점 1. 기능적 분류가 지닌 문제 2. 타트라마자따타 Ⅴ. 결론 [요약문] 팔리(Pāli)어 우뻬카(upekkhā, 平靜)는 주요한 수행적 자질로서 소 개된다. 그것은 중립적 느낌 또는 주관적 관념을 배제한 관찰, 존재를 차별하지 않는 지혜 등으로 표현되는데, 주로 내면적인 조화나 균형적 자질을 의미하는 정신적 중립의 태도로서 이해되고 있..

무아·윤회 문제의 공약불가능성/조종복

『동아시아불교문화』33집, 2018. 3, 135~160 무아·윤회 문제의 공약불가능성 조 종 복/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과정 수료. Ⅰ. 문제의 제기 Ⅱ. 윤회의 주체에 관한 전통적 학설들의 한계 Ⅲ. 무아․윤회 논쟁과 공약불가능성 Ⅳ. 맺음말 무아설에서는 주체가 부정되지만 윤회설에서는 주체가 필연적으로 전제 되는 사실에서 무아와 윤회의 주체성을 모순 없이 연결하는 문제를 두고 그 동안 많은 해석과 논쟁이 있어 왔다. 본고는 무아와 윤회가 공약불가능하기 때문에 그 둘이 공존할 수 없다는 것을 주장하는 것이 아니라, 반대로 무아와 윤회가 서로 충돌되거나 모순되지 않음을 공약불가능성(incommensura bility) 개념에 의탁하여 살펴보자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토머스 쿤(Kuhn, T. S.)이 ?..

아라한의 해탈에 관한 고찰 -심해탈과 혜해탈/한상희

불교학연구(Journal for Buddhist Studies) 제53호(2017.12) pp. 163∼193 아라한의 해탈에 관한 고찰-심해탈과 혜해탈 * 본 논문은 니까야의 교설의 동질성과 본질적 정통성을 인정하며, 교설들을 사상적 정합성을 가지는 단일한 체계로서 이해하는 입장에서 고찰을 진행한다. 4부 니까야를 중심으로 하며 자의적 해석을 피하기 위해 주석서를 비판적으로 참고한다. 빠알리어 원전은 PTS판본을 중심으로 제6차결집판과 비교하며 사용하고(비교에는 Digital Pali Reader를 활용한다), 페이지 수는 PTS를 따른다. 두 판본에 서 서로 다른 표기 및 표현이 보이는 부분에 대해서는 원문으로 채택하지 않은 판본의 표현을 옆에 함께 제시한다. 한상희/동경대학교 박사과정 졸업 I. 들..

초기불교 공( ) 개념의 수행적 성격/박재은

『인도철학』 제52집(2018.4), 209~243쪽 초기불교 공( ) 개념의 수행적 성격 __빠알리 니까야를 중심으로__ 박재은/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 강사. jaeeun8@daum.net Ⅰ 서론. Ⅱ 공의 개념 및 용례. Ⅲ 공의 실현 기법. Ⅳ 수행에 의한 공의 실현. Ⅴ 결론. [요약문] 빠알리어 순냐타(suññatā)는 우리말로 ‘공’, ‘공함’ 또는 ‘공성(空性)’이 라 하는데 무언가 ‘결여’되거나 ‘결핍’되어 있는 상황을 묘사할 때 주로 사 용된다. 공 개념은 기본적으로 수행자들을 해탈로 이끌기 위해 교설되었던 교리와 체험의 장으로서의 기능과 역할을 담당한다. 그런데 공 개념이 실수 (實修)에 반영되고 투영된 결과, ‘공에 머물기’나 ‘공의 실현’이 교설되고 권 장된다. 초기불교 공 개념이 지..

초기불교의 자기사랑에 관한 고찰/안양규

[佛敎學報] 第76輯 초기불교의 자기사랑에 관한 고찰 안양규/동국대학교(경주) 불교학부 교수 I. 서언 II. 초기불교의 자기사랑 1. 초기경전의 자기사랑 개념 2. 자아와 자기사랑 III. 자기사랑의 교학적 논의 1. 연기와 자타불이(自他不二) 2. 자리이타(自利利他) 3. 자기사랑과 무아 IV. 결어 자기사랑에 대한 논의는 자기사랑을 어떻게 이해하느냐에 따라 긍정적으로도 진행 될 수 있고 또는 반대로 비판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본고에선 자기사랑을 긍정적인 의 미로 이해하여 초기불교 경전에 나타나고 있는 자기사랑에 대한 정의를 살피고 자기사 랑을 불교의 주요 교리와 연관하여 논의하였다. 붓다에 의하면 진정한 자기사랑은 결코 다른 존재를 해치지 않는 마음을 전제하고 있다. 자기 사랑은 적어도 다른 존재..

아비달마불교에서의 마음에 관한 몇 가지 쟁점/권오민

[동아시아불교문화] 28집, 2016. 12, 아비달마불교에서의 마음에 관한 몇 가지 쟁점 권 오 민/경상대학교 인문대학 철학과 교수 Ⅰ. 서언 Ⅱ. 마음의 정의 Ⅲ. 마음의 생기 1. 유부의 심․심소 상응구기(相應俱起) 설 2. 경량부의 심․심소 차제계기(次第繼起) 설 Ⅳ. 심․심소의 생기조건 1. 소의(所依)와 소연(所緣) 2. 소연(所緣)과 행상(行相) 3. 상응(相應) Ⅴ. 결어 마음이란 무엇인가? 대승불교에서의 마음은 만물의 근원으로 간주되기도 하지만, 불교철학의 최초의 전개라고 할 만한 아비달마불교에서는 다만 인간 /세계존재의 한 조건, 인식이나 사유의 주체로 간주하였다. 따라서 대개는 존 재론적 차원이 아닌 인식론적 차원에서 다루어졌다. 그럴 경우 마음은 그 자 체로서는 설명될 수 없고, 인..

중도와 초기불교 수행/김 재성

[중도포럼 2017] 중도中道, 이 시대의 길 고요한 소리 창립 30주년 중도와 초기불교 수행 김재성/능인대학원대학교 명상심리학과 [요약문] 빠알리 니까야와 율장 그리고 한역 아함경과 율장으로 대표되는 초기불교 문헌에서 붓다는 다양한 수행법을 가르쳤고 제자들은 이 수행법을 통해 궁극의 해탈과 열반을 추구했다. 본고에서는 빠알리 니까야을 중심으 로 초기불교에서 말하는 중中과 중도中道의 의미, 그리 고 초기불교의 수행을 고찰해 보았다. 중中은 두 가지 극단적인 존재론적 주장인 극단적 실재 론과 극단적 허무론에 대한 비판으로 연기의 순관과 역관으로 제시되었다. 중도 즉 중中의 실천은 바른 실 천으로 괴로움의 소멸에 이르는 길 즉 연기의 역관인 환멸문으로 팔정도八正道/팔지성도八支聖道를 의미한다. 이는 바라나시,..

부파불교의 선정론 - 『청정도론』과 『구사론」을 중심으로 -

부파불교의 선정론 - 『청정도론』과 『구사론」을 중심으로 - 김 재성/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 교수 목차 I. 머리말 II. 예비적 고찰 1. 기존의 연구성과 2. 초기불교의 선정 III. 『청정도론』의 정(定) 1. 定이란 무엇인가? 2. 四禅・安止定・近行定 3. 4선정과 수행 주제 4. 삼매 수행의 공덕 IV. 『구사론』의 선정론 1. 「구사론」의 선정론의 구조 2. 근본정(根本定)의 구성요소의 차이 3. 근본정(根本定), 근분정(近分定)/ 안지정(安止定), 근행정(近行定) 4. 미지정과 찰나정 V. 맺는 말 I. 머리말 초기불교의 선정론은 다른 교설과 함께 부파불교의 전통에 따라서 각기 다른 방식으로 해석되었다. 본고에서는 『청정도론』을 중심으로 하여 남방상좌불교의 선정론을 중심으로 다루면서 『아비달마구..

니까야와 구사론에 나타나는 사념처(四念處)의 비교/임승택

[보조사상 40집(2013.8)] 니까야와 구사론에 나타나는 사념처(四念處)의 비교 임 승 택 / 경북대학교 철학과 * 이 논문은 2012학년도 경북대학교 학술연구비에 의하여 연구되었음. ** 이 논문은 동국대학교 개교 100주년(2006년) 기념사업의 일환으로 추진되었던 ‘불교학개념 사전’의 ‘사념처’ 항목으로 최초의 집필이 시도되었다. 그러나 해당 원고를 작성하여 제출한 이후 7년이 지난 현재 사전 발간 작업이 중단되었고, 이러한 상황에서 기존의 원고에 대한 전면적인 수정․보완의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다. 이에 논의의 범위를 니까야와 구사론이라는 두 문헌에 한정하고, 다시 이 범위 안에서 기존에 다루었던 내용을 대폭 수정하는 방식으로 본고를 작성하게 되었음을 밝힌다. 목 차 Ⅰ. 시작하는 말 Ⅱ. 니까..

초기불교에서 오정심관(五停心觀)의 위치/김재성

《불교학연구》제14호(2006.8) 초기불교에서 오정심관(五停心觀)의 위치 김재성 (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 불교학과 교수) Ⅰ. 머리말 인도 부파불교와 대승불교 그리고 동아시아 불교에서 선정 수행의 기초적인 방법으로 제시된 오정심관이라는 수행법이 인도 초기불교 전통에서는 어떠한 위치에 있었는지 알아보는 것이 본 논고의 목적이 다. 오정심관이라는 용어의 어원적인 의미와 각 항목의 개념에 대한 이 해, 그리고 인도초기불전의 용례를 검토하면서 인도불교에서의 오정 심관의 위치에 대한 초기불교의 입장을 살펴본다. 이러한 고찰을 통 해서 오정심관이라는 수행법이 부파불교나 대승불교에서 그리고 중 국불교 전통에서 기초적인 단계의 수행법으로 정립되기 이전에 불교 수행의 핵심을 이루는 수행법의 측면이 있다는 점이 밝혀질 것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