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기불교 논문및 평론/논문·평론 163

스리랑카 비구니 승가 소멸에 대한 고찰

佛敎學報 第86輯 스리랑카 비구니 승가 소멸에 대한 고찰 * 이 논문은 2017년 정부(교육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RF2017S1A6A3A02079749). This work was supported by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Grant funded by the Korean Government(NRF-2017S1A6A3A02079749). 김한상/한국외국어대학교 HK연구교수 I. 들어가는 말 II. 테라와다 불교의 남성중심주의적 성향 III. 힌두교의 반여성주의와 남존여비사상 IV. 아란냐까 전통의 대두 V. 나가는 말 이 논문에서 필자는 스리랑카의 비구니 승가의 소멸에 대해 탐구한다. 비구니 승가는 거 의 1200..

제3결집과 남방 테라와다(Theravada) 불교

제3결집과 남방 테라와다(Theravada) 불교 황순일/동국대학교 불교학부 교수 I. 서언 II. 제3결집의 원인 III. 목깔리뿟따띳사(Moggaliputtatissa)와 불교전파 IV. 남방 테라와다(Theravāda) 전통에서 제3결집의 위치 V. 결어 불교국가에서 가장 이상적인 불교적 군주로 받아들여지고 있는 인도 마우리야 왕조의 제3대 아쇼까(Aśoka)왕에 관해서 많은 이견들이 존재하고 있다. 사실상 인도 전역에서 발견되는 아쇼까왕 비문․석주에 나타나는 아쇼까왕과 남방 테라와다(Theravāda) 불교전통에 나타나는 아쇼까왕 사이에는 상당한 차이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붓다고샤(Buddhaghosa)의 까타왓투(Kathāvatthu) 주석서(Aṭṭhakathā)의 서문에 나타난 ..

불교 경전의 결집 과정과 논쟁점/조준호

불교 경전의 결집 과정과 논쟁점 / 조준호 상좌불교, 무시할 것인가 포용할 것인가 [44호] 2010년 09월 06일 (월) 조준호 yathabhuta@hanmail.net 조준호 고려대 연구교수 1.들어가는 말 오래된 불교 문헌에 의하면 인도불교사에 있어 불멸(佛滅) 후 네 차례에 걸친 석가모니 붓다의 말씀에 대한 편집 또는 편찬회의가 있었다. 이 가운데 상좌불교(Theravāda)의 빠알리(Pāli) 전승 문헌에는 세 차례가 언급된다. 불멸 후 처음으로 라자가하(Rājagaha)에서 500 아라한에 의한 제1차 결집, 불멸 100년 후 웨살리(Vēsalῑ)에서 계율상의 문제가 쟁점이 된 제2차 결집, 이후 모리야[Sk. Maurya] 왕조의 아소까 왕 때 적주비구(賊住比丘) 축출이라는 교단 정화적 차..

붓다의 般涅槃(parinibbāna)에 관한 고찰

붓다의 般涅槃(parinibbāna)에 관한 고찰 안 양규/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불교학과 교수. Ⅰ. 시작하는 말 Ⅱ. 붓다의 입멸 과정 1.「열반경」에 보이는 붓다의 입멸과정 2. 입멸과정 기술의 분석 i) 九次第定과 四靜慮 ii)멸진정과 열반 3. 붓다의 最後心에 관한 붓다고사의 견해 Ⅲ. 入滅과 正覺 Ⅳ. 붓다의 死後 Ⅴ. 맺는말 Ⅰ. 시작하는 말 「大般涅槃經」(Mahāparinibbāna-Sutanta, 이하 「열반경」)은 붓다의 입멸 을 주제로 하고 있다. 「열반경」은 편집될 시기의 불교도들이 어떻 게 붓다의 죽음 또는 그의 본질을 이해하고 있었는가를 보여주고 있다. 「열반경」은 크게 두 종류로 나눌 수 있는데, 대승불교의 「열반경」과 초기불교의 「열반경」이 그것이다. 두 종류의 「열반경」 이 ..

고기를 먹는 행위가 살생을 야기하는가

「인도철학」 제61집(2021.4), 97~120쪽 바비베까의 비-채식주의* __고기를 먹는 행위가 살생을 야기하는가, 고기 먹기를 원하는 행위가 살생을 야기하는가?__ 함형석/전남대학교 철학과 조교수. hamhs@chonnam.ac.kr I 서론 II 바비베카 '비-채식주의' 논의의 콘텍스트와 그 내용 III 육식은 살생을 조장하는가? IV 결론 [요약문] 본고는 바비베까(Bhāviveka, 500-570 CE)의 저작 중관심론』(Madhy-amakahṛdayakārikā)과 그에 대한 주석 『이성의 불꽃』(Tarkajvālā)의 아홉 번 째 챕터인 「미망사장」(Mīmāṃsātattvanirṇayāvatāra)에 등장하는 비-채식주의(non-vegetarianism) 논의를 분석한다. 이를 통해 6세..

인도초기대승의 수행문화 - 출가보살과 재가보살의 기원과 전개

[동아시아불교문화] 41집, 2020. 3, 109~136 인도초기대승의 수행문화 - 출가보살과 재가보살의 기원과 전개 (이 논문은 2017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NRF-2017S1A5B5A07063913). 본 논문은 필자가 2016년 12월 15일에 열린 ‘제6회 한국밀교문화총람 논문발표회’에서 발표한 ‘인도 사문주의의 문화사적 전개와 밀교적 수용’을 토대로 재작성한 것임을 밝힌다.) 최경아/강릉원주대학교 강사. Ⅰ. 서론 Ⅱ. 인도수행문화의 기원 Ⅲ. 초기불전에 등장하는 수행자의 위상 Ⅳ. 출가와 재가 – 초기 대승의 보살 Ⅴ. 수행과 성취 – 불교딴뜨리즘의 싯다 Ⅵ. 결론 [국문초록] 불교의 수행문화는 사문주의에 근간을 두고 있고 그 핵심은 출가수행이 다...

초기 인도불교에서의 제법무아와 열반/김한상

초기 인도불교에서의 제법무아와 열반 * 이 논문은 2017년 정부(교육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NRF-2017S1A6A3A02079749). 김한상 한국외국어대학교 인도연구소 HK 연구교수 Ⅰ 머리말. Ⅱ 담마의 속성과 유위법. Ⅲ 열반과 무위법. Ⅳ 긍정적 실재로서의 열반. Ⅴ 맺음말. [요약문] 이 논문의 목적은 테라와다 불교의 렌즈를 통해서 제법무아(諸法無我, sabbe dhammā anattā)에서 Dhamma가 주어로 사용된 이유를 고찰하는 것이다. 초기 인도불교는 모든 현상과 사물들의 특성들을 제행무상(諸行無 常), 일체개고(一切皆苦), 제법무아(諸法無我)의 세 가지로 묘사한다. 제행 무상과 일체개고는 모든 상카라들이 무상하고 괴로움이라고 말한다. 반면 에 제..

부파불교 불설 논쟁으로 본 불설의 의미/황정일

「동아시아불교문화」35집, 2018. 9, 75~99 부파불교 불설 논쟁으로 본 불설의 의미 황 정 일/동국대학교 연구교수 1. 들어가는 말 2. 초기불교의 불설론과 그 기준 3. 부파불교의 불설·비불설 논쟁 1) 유부의 불설론 2) 경량부의 비판과 중현의 반론 4. 대승경전 불설론에 미친 영향 1) 무착의 불설론 2) 세친의 불설론 3) 청변의 불설론 5. 나가는 말 한국불교사에서 불설․비불설 논란이 불거진 것은 1990년대 이후 초기불 교에 대한 연구가 본격화 되는 시점부터일 것이다. 이후 이 논란은 최근 권오 민이 대․소승의 불설 기준은 전통이나 권위가 아닌 법성에 근거한다는 초종 파적 불설론을 재기하면서 다시 촉발되었다. 하지만 권오민의 주장은 그의 의도와 상관없이 초기경전과 대승경전의 친설·비친..

초기경전의 한계와 의의/정준영

「동아시아불교문화」 35집, 2018. 9, 49~74 초기경전의 한계와 의의 정 준 영/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 불교학과 명상학전공 교수 1. 들어가는 말 2. 초기경전의 결집과 한계 3. 초기불교의 실천과 의의 4. 마치는 말 본고는 불교의 근본가르침과 정체성의 문제를 재고하는 차원에서 초기불 교가 무엇인지를 다룬다. 특히, 경전을 통한 가르침을 파악하기 위해 초기경 전의 역사적 위치와 실천적 입장을 논의한다. 먼저 역사적 위치를 조망하기 위해 초기경전의 결집과 한계 다룬다. 붓다의 입멸 후 진행된 결집의 한계에 서는 1차 결집의 구성과 내용에 대한 학자들의 의견에 집중한다. 에띠엔 라 모뜨(Etienne Lamotte), 프레비시(Charles S. Prebish), 올덴베르그(Oldenberg), 빈테..

고대인도 슈라마니즘의 윤리 논쟁/최지연

[인도철학]제53집(2018.8), 63~94쪽 고대인도 슈라마니즘의 윤리 논쟁 불교「우팔리경」(Upāli-sutta)을 중심으로 (이 논문은 2017년 정부(교육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RF-2017S1A6A3A02079749).) 최지연/한국외국어대학교 인도연구소 HK 연구교수. Ⅰ 들어가는 말. Ⅱ「우팔리경」의 쟁점. Ⅲ 불교와 자이나교의 윤리적 입장: 무엇이 해탈에 영향을 미치는 행위인가? Ⅳ 나오는 말. 인도철학은 해탈을 최종 목적으로 설정하고 체계화된 이론이라는 점에 서 서양철학과 차별화 된다. 윤리학적인 측면에서도 인도철학의 선(善)은 해탈을 위해 좋은 것이고 불선(不善)은 해탈에 도움이 되지 않는 것이다. 그래서 인도철학의 윤리관은 업론을 통해 설명될 수..

무아에 대한 형이상학적 해석의 양상들/임승택

[인도철학]제51집(2017.12), 101~138쪽 무아에 대한 형이상학적 해석의 양상들 니까야(Nikāya)에 나타나는 ‘실천적 무아’와 비교를 위한 시론 (이 논문은 2015학년도 경북대학교 복현학술연구비에 의하여 연구되었음.) 임승택/경북대학교 철학과 교수 Ⅰ 시작하는 말. Ⅱ 형이상학적 무아의 단초. Ⅲ 윤회 부정의 무아. Ⅳ 비아와 교체 가능한 무아. Ⅴ 윤회와 공존하는 무아. Ⅵ 마치는 말. 필자는 무아 해석의 시대적 단층이 ‘형이상학적 무아’와 ‘실천적 무아’로 대별될 수 있다고 전제한다. 본고는 전자의 ‘형이상학적 무아’를 규명하는 데 주력한 것으로, 거기에 는 다시 3가지 유형의 세부적 해석 양상이 존재한다. 단멸론의 방식으로 윤 회의 교리를 배척하는 ‘윤회 부정의 무아’, 초월적 자아..

초기 불교에서 재가자의 깨달음에 대한 재고 -깨달음의 세 가지 특성들과 관련하여/김한상

불교학연구(Journal for Buddhist Studies) 제54호(2018.3) pp. 49∼74 초기 불교에서 재가자의 깨달음에 대한 재고 -깨달음의 세 가지 특성들과 관련하여 김한상/한국외국어대학교 HK연구교수 I. 들어가는 말 II. 깨달음의 보편성 III. 깨달음의 다면성 IV. 깨달음의 순차성 V. 나가는 말 [요약문] 이 논문은 초기 불교에서 재가자의 깨달음(bodhi)을 깨달음의 세 가지 특성들인 보편 성, 다면적 과정, 점진적 과정과 연관시켜서 재조명해보려는 시도이다. 일부 학자들은 재가자가 이번 생에 깨달음을 얻을 수 없으며 그들의 종교적 이상은 선하게 살고 출가 자들을 물질적으로 후원함으로써 하늘에 재생하는 것이라는 견해를 가지고 있다. 하지 만 이는 오해이다. 깨달음은 헌신이나..

초기불교 문헌에 나타나는 깨달음의 다원적 양상 -니까야를 중심으로/이필원

불교학연구(Journal for Buddhist Studies) 제54호(2018.3) pp. 21∼48 초기불교 문헌에 나타나는 깨달음의 다원적 양상 -니까야를 중심으로 이필원/동국대학교(경주) 파라미타칼리지 I. 이끄는 말 II. 유학과 무학의 깨달음 III. 운문경전에 나타난 깨달음 IV. 결론 [요약문] 불교가 추구하는 목적은 ‘깨달음의 성취’를 통해 고통의 문제를 해결하는데 있다. 결 국 깨달음이란 고통을 해결하는 궁극적인 방법인 것이다. 하지만 사람마다 세상을 바라 보는 시각이 다르고, 삶에서 마주하는 고통의 내용도 같지 않다. 그렇기에 깨달음 또한 다양한 방식으로 표현될 수 있다. 이것이 바로 깨달음의 다원적 양상을 말할 수 있는 이 유이다. 일반적으로 깨달음을 논할 때 bodhi라는 말을 ..

초기불교의 해오(解悟)/ 김준호

불교학연구(Journal for Buddhist Studies) 제54호(2018.3) pp. 1∼19 초기불교의 해오(解悟) 김준호/ 울산대 I. 시작하는 글 II. 해오(解悟)의 의미와 위상 III. 마치는 글 [요약문] 이 글은 선불교의 ‘해오(解悟)와 증오(證悟)’라는 깨달음의 구조를 초기불교에서도 논의할 필요가 있다는 전제에서 출발하였다. 이 중에서 해오를 채택하여 깨달음을 논의 한 것은 깨달음의 어원이 ‘알다’에서 비롯하기 때문에 앎/이해/사유/인식의 성격을 배제 하기 어렵다는 문제의식을 토대로 한 것이다. 따라서 일상의 앎과 깨달음에 내재된 앎 의 성격 사이에는 어떤 점에서 동일과 차이가 드러나는 지가 논의되어야 할 것이다. 그 러므로 해오(解悟)의 정의를 ‘이해를 통해 성취하는 깨달음’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