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통사상/원효스님 9

元曉 行狀 원효스님행장

元曉 行狀원효스님행장 元曉不羈 원효 얽매이지 않는 자 唐新羅國黃龍寺元曉傳 당 신라국 황룡사 원효의 전기 唐新羅國義湘傳 당 신라국 의상의 전기 중에서 元曉國師傳 원효국사의 전기 1. 원효 : 얽매이지 않는 자[元曉不羈]1) 1) 저본(底本)은『한국불교전서』제6책(동국대학교출판부, 1979)에 수록(pp.347b17~348b19)된 『삼국유사(三國遺事)』권4의「의해(義解)」제5「원효불기(元曉不覊)」 조이다. 이에 대한 교감본으로 갑본(甲本)은『대정신수대장경』제49권에 수록된『삼국유사』「원효불기」조이고, 을본(乙本)은 최남선(崔南善)의『삼국유사』 (삼중당, 1943)에 수록된「원효불기」 조이다.『한국불교전서』에서는 고려대학교에서 소장하고 있는 1512년 간행본『삼국유사』를 저본으로 하였다. 성사(聖師) 원효(..

대승육정참회 大乘六情懺悔

대승육정참회 大乘六情懺悔 1) 석원효 지음 釋元曉撰 1) 저본(底本)은『한국불교전서』제1책(동국대학교출판부, 1979)에 수록(pp.842a1~ 843a7)된『대승육정참회(大乘六情懺悔)』이다. 이에 대한 교감본으로 갑본(甲本) 은『대정신수대장경』 제45권에 수록된『대승육정참회』이다.『한국불교전서』에 서도 갑본(甲本)을 저본으로 하였다. 법계를 의지하여 비로소 유행하려는 사람이라면 사위의(四威儀)2)에서 한 가지도 헛되이 유행함이 없으며, 모든 부처님의 불가사의한 공덕을 마음에 새기고, 항상 실상을 생각하여 업장(業障)3)을 녹이며, 널리 육도(六道)4)의 가없는 중생을 위하여 시방의 한량없는 모든 부처님께 목숨 바쳐 귀의합니다. 若依法界, 始遊行者, 於四威儀, 無一唐遊, 念諸佛不思議德, 常思實相, 朽銷業..

발심수행장發心修行章

발심수행장發心修行章1) 분황사 사문 원효 지음 芬皇寺沙門 元曉述2) 1) 저본(底本)은『한국불교전서』제1책(동국대학교출판부, 1979)에 수록(p.841a1~ c6)된『발심수행장(發心修行章)』이다. 이에 대한 교감본으로 갑본(甲本)은 1570 년에 무위사(無爲寺)에서 개간(開刊)된『발심수행장』이고, 을본(乙本)은 1579년 에 신흥사(新興寺)에서 각판(刻板)한『초발심자경문(初發心自警文)』이고, 병본 (丙本)은 1635년에 운주(雲住) 용장사(龍藏寺)에서 간행한『초발심자경문』이고, 정본(丁本)은 1883년에서 해인사(海印寺)에서 간행한『초발심자경문』이다.『한 국불교전서』에서는 정본(丁本)을 저본으로 하였다. 2) 저본(底本)에는 다음과 같은 구절이 첨가되어 있다. “해동의 초조이며 모든 산 을 유행하고 역..

菩薩戒本持犯要記 보살계본지범요기

菩薩戒本持犯要記 보살계본지범요기 보살계본지범요기 菩薩戒本持犯要記1) 신라국 사문 원효 지음 新羅國沙門 元曉述 1) 저본(底本)은『한국불교전서』제1책(동국대학교출판부, 1979)에 수록(pp.581a1~ 585c17)된『보살계본지범요기(菩薩戒本持犯要記)』이다. 이에 대한 교감본으로 갑본(甲本)은 고야산대학(高野山大學) 도서관에서 소장하고 있는『보살계본지 범요기』이고, 을본(乙本)은『대정신수대장경』제45권에 수록된『보살계본지범 요기』이고, 병본(丙本)은 『대일본속장경』제1편 61투 3책에 수록된『보살계본지 범요기』이다.『한국불교전서』에서는 을본(乙本)을 저본으로 하였다. 1. 서문 보살계2)란 흐름을 돌이켜 본원으로 돌아오는 큰 나루이며, 삿된 것을 버 리고 바른 데로 나아가는 핵심 문이다. 菩薩戒者, 返流..

大意 대의

大意 대의 佛說阿彌陀經疏〈大意〉불설아미타경소〈대의〉 彌勒上生經宗要〈大意〉미륵상생경종요〈대의〉 大慧度經宗要〈大意〉 대혜도경종요〈대의〉 불설아미타경소〈대의〉佛說阿彌陀經疏1)〈大意2)〉 당3) 해동신라국 사문 원효 지음 唐海東新羅國沙門 元曉述 1) 저본(底本)은『한국불교전서』제1책(동국대학교출판부, 1979)에 수록(pp.562c1~ 563a11)된『불설아미타경소(佛說阿彌陀經疏)』이다. 이에 대한 교감본으로 갑본 (甲本)은『가흥대장경(嘉興大藏經)』제5권에 수록된『불설아미타경소』이고, 을 본(乙本)은『영락북장(永樂北藏)』제175책에 수록된『불설아미타경소』이고, 병 본(丙本)은『대정신수대장경』제37권에 수록된『불설아미타경소』이다.『한국불 교전서』에서는 병본(丙本)을 저본으로 하였다. 2) 저본과 교감본에는 다음과..

無量壽經宗要 무량수경종요

無量壽經宗要 무량수경종요 1. 경의 대의 2. 경의 근본 뜻 1) 정토의 과덕 (1) 깨끗한 문과 깨끗하지 않은 문 (2) 색이 있는 문과 색이 없는 문 (3) 함께하는 문과 함께하지 않는 문 (4) 번뇌가 있는 문과 번뇌가 없는 문 2) 정토의 인 (1) 성판인 (2) 왕생인 3. 사람에 의거하여 분별함 1) 세 부류의 중생 2) 네 가지 의혹을 가진 중생 (1) 의혹의 경계 (2) 네 가지 의혹의 모습 무량수경종요 無量壽經宗要1) 1) 저본(底本)은『한국불교전서』제1책(동국대학교출판부, 1979)에 수록(pp.553c1~ 562b10)된 『무량수경종요(無量壽經宗要)』이다. 이에 대한 교감본으로, 갑본(甲本)은『대일본속장경』제 1편 32투 3책의『무량수경종요』이고, 을본(乙本)은『대정신수대장경』권37에..

法華宗要 법화종요

法華宗要 법화종요 1. 대의를 서술함 2. 경의 근본 뜻을 가림 3. 경의 작용을 밝힘 4. 제목 해석 5. 가르침의 포섭 법화종요 法華宗要 1) 1) 저본(底本)은『한국불교전서』제1책(동국대학교출판부, 1979)에 수록(pp.487c1~ 494c21)된 『법화종요(法華宗要)』이다. 이에 대한 교감본으로, 갑본(甲本)은『대 정신수대장경』제34권에 수록된『법화종요』이고, 을본(乙本)은『동문선(東文選)』제83권(경희출판사, 1966)에 수록된 「법화경종요서(法華經宗要序)」이고, 병 본(丙本)은『동문선(東文選)』제83권(조선고서간행회, 1915)에 수록된「법화경종요서」이다.『한국불교전서』에서는 갑본(甲本)을 저본으로 하였으며, 을본(乙本) 과 병본(丙本)은 저본의「대의」부분에 해당된다. 이 경을 해석하려고 함..

序서

序서 晉譯華嚴經疏序 진역화엄경소서 本業經疏序 본업경소서 解深密經疏序 해심밀경소서 金剛三昧經論序 금강삼매경론서 涅槃宗要序 열반종요서 진역화엄경소서 晉譯華嚴經疏序1) 1) 저본(底本)은『한국불교전서』제1책(동국대학교출판부, 1979)에 수록(p.495a1~b19)된 「진역화엄경소서(晉譯華嚴經疏序)」이다. 이에 대한 교감본으로 갑본(甲本)은『동문선 (東文選)』제83권(경희출판사, 1966)에 수록된「진역화엄경소서」이고, 을본(乙本)은『동 문선(東文選)』제83권(조선고서간행회, 1915)에 수록된「진역화엄경소서」이고, 병본 (丙本)은『조선불교총보(朝鮮佛敎總報)』 제12호(삼십본산연합사무소, 1912)에 수록된 「진역화엄경소서」이다.『한국불교전서』에서는 갑본(甲本)을 저본으로 하였다. 무릇 막힘없고 걸림 없는 법..

원효스님 - 解題 해제

解題 해제 1. 머리말 2. 원효스님의 생애 3. 원효스님의 저술과 사상 4. 수록된 저술의 개요 5. 맺음말 1. 머리말 한국전통사상총서 『정선원효(精選元曉)』는 대한불교조계종에서 한국불교의 전통 사상을 알리는 총서로 기획하여 『한국불교전서』1)를 저본으로 역주한 것이다. 이 책에서는 한국 불교를 대표하는 인물 중에서 신라시대 학승인 원효(元曉, 617~686)스님의 행장과 저술 중 일부를 번역하여, 원효 스님 저술의 한 단면을 볼 수 있다. 그러나 원효스님의 수많은 저술에서 핵심을 담고 있는 서문과 대의(大意), 종요(宗要) 그리고 수행과 신행을 강조 하는 단편을 중심으로 발췌 번역하였으므로 원효스님 사상의 핵심과 저술의 전반적인 분위기를 파악할 수 있다. 1)『한국불교전서(韓國佛敎全書)』 제1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