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선비구경 하권 나선비구경 하권 역자 미상[『동진록』에 부록되어 있음] 이창숙 번역 왕이 나선에게 다시 물었다. “사람이 착한 일을 하려고 하면 마땅히 앞서 착한 일을 해야 합니까, 곧 뒤에 해야 합니까?” “마땅히 앞서 착한 일을 해야 합니다. 뒤에 하는 것은 사람에게 이익이 되지 않습니다. 대.. 대승경전/밀린다 팡하 2016.02.08
나선비구경(那先比丘經) 상권 나선비구경(那先比丘經) 나선비구경(那先比丘經) 상권 역자 미상[동진록(東晉錄)에 부록됨] 이창숙 번역 부처님께서는 사위국(舍衛國)의 기수급고독원(祇樹給孤獨園)에 계셨다. 그때 여러 비구ㆍ비구니ㆍ우바새ㆍ우바이ㆍ천신ㆍ대신ㆍ장자ㆍ백성과 96종의 외도 등 합쳐서 만 명이 넘는 .. 대승경전/밀린다 팡하 2016.02.08
10. 신통력(神通力)을 칭찬하는 이유 10. 신통력(神通力)을 칭찬하는 이유 [대왕] 나아가세나 존자여, 세존께서 말씀하시기를, `아아난다(阿難)야, 부처님(如來)은 네 가지 신통력의 근거(四如意足, 또는 四神足)를 생각하여 철저하게 훈련하고 닦아서 그 근거에 도달했으며, 그것을 정신의 발전 수단과 계발 근거로서 사용할 .. 대승경전/밀린다 팡하 2015.04.23
9. 부처님(如來)에게 다시 더 수행해야 할 것이 있는가 9. 부처님(如來)에게 다시 더 수행해야 할 것이 있는가 [대왕] 나아가세나 존자여, 그대 비구들은 말하기를 `부처님(如來)은 성취할 모든 것을 보리수 아래서 이미 다 이루시어, 그 이상 수행해야 할 아무것도 없다. 이미 성취한 것에 더 부가해야 할 아무 것도 없다.' 고 말합니다. 그러나 .. 대승경전/밀린다 팡하 2015.04.23
8. 세존께서는 모든 죄악을 소멸하고 부처님이 되셨는가 8. 세존께서는 모든 죄악을 소멸하고 부처님이 되셨는가 [대왕] 나아가세나 존자여, 세존께서는 모든 죄악을 다 태워 없애고 부처님이 되셨습니까. 아니면 죄악(不善)이 아직 남아 있는데도 부처님(全知者)이 되셨습니까. [존자] 세존께서는 모든 죄악을 다 태워 없애고 부처님이 되셨습니.. 대승경전/밀린다 팡하 2015.04.23
7. 부처님 가르침(正法)의 존멸(存滅) 7. 부처님 가르침(正法)의 존멸(存滅) [대왕] 나아가세나 존자여, 세존께서 말씀하시기를, `아아난다(阿難)야, 이제 올바른 가르침(正法)은 5백년간 존속할 것이다.'고 하셨습니다. 그러나, 또 한편 세존께서는 완전한 열반(般涅槃)에 드실 때(즉 임종시에), 수밧다(須跌陀)의 질문을 받고 이.. 대승경전/밀린다 팡하 2015.04.23
6. 수태(受胎)에 관하여 6. 수태(受胎)에 관하여 [대왕] 나아가세나 존자여, 세존께서 말씀하셨습니다. `비구들아, 세 가지 것이 화합(三事和合)해서 수태가 된다. 즉 부모가 교합하는 것, 어머니는 월경(月經)을 거친 여자라는 것, 수태를 맡는 간달바 신이 있다는 것, 이 세 가지가 화합해서 수태가 된다.' 이 말씀.. 대승경전/밀린다 팡하 2015.04.23
5. 눈을 보시한 시비(尸毘)왕 5. 눈을 보시한 시비(尸毘)왕 [대왕] 나아가세나 존자여, 그대 비구들은 말하기를, `시비왕은 자기 눈을 달라는 사람에게 두 눈을 주고 장님이 되었을 때, 하늘로부터 새로운 눈(天眼)이 주어졌다' 고 합니다. 이 말은 사리에 맞지 않습니다. 거기에는 비난받을 점이 있고 잘못이 있습니다. .. 대승경전/밀린다 팡하 2015.04.23
4. 벳산타라 왕의 보시(布施) 4. 벳산타라 왕의 보시(布施) [대왕] 나아가세나 존자여, 세존께서는 `비구들아, 대지 진동(振動)을 일으키는 데는 8가지 직접 원인과 간접 원인(八因과 八緣)이 있다'고 말씀하셨습니다. 이 말씀은 총괄적이고 보충할 여지가 없는 말씀이오, 완전무결한 말씀입니다. 대지를 진동시키는 아.. 대승경전/밀린다 팡하 2015.04.23
3. 데바닷타(提婆達多)는 어찌하여 출가하게 되었는가 3. 데바닷타(提婆達多)는 어찌하여 출가하게 되었는가 [대왕] 나아가세나 존자여, 데바닷타를 출가시킨 이는 누구였습니까. [존자] 대왕이여, 6명의 귀족(크샤트리아) 청년 즉, 밧디야, 아누룻다, 아아난다, 바구, 킴빌라, 데바닷타와 일곱번째 이발사인 우파알리등, 이들은 모두 세존께서 .. 대승경전/밀린다 팡하 2015.04.23
2. 부처님은 전지자(全知者)다 2. 부처님은 전지자(全知者)다 [대왕] 나아가세나 존자여, 부처님은 모든 것을 알고 계셨습니까. [존자] 그렇습니다. 대왕이여, 부처님은 무엇이든지 알고 계셨습니다. 부처님이 모든 것을 아심은 숙고(熟考=傾注)에 의하였습니다. 부처님은 숙고하시면, 알고 싶어하는 모든 것을 알았습니.. 대승경전/밀린다 팡하 2015.04.23
토론 - 1. 부처님에 대한 공양(供養)은 결과를 맺는다 1. 부처님에 대한 공양(供養)은 결과를 맺는다 그때, 밀린다 왕은 질문해도 좋다는 허락을 받자, 스승의 발 아래 머리 숙여 합장 예배하고, 이렇게 말했다. [대왕] 나아가세나 존자여, 다른 학파(異學)의 지도자들은 이렇게 말합니다. `만일, 부처님이 공양을 받는다면 부처님은 완전한 열반.. 대승경전/밀린다 팡하 2015.04.23
16. 대론을 끝내며 16. 대론을 끝내며 장로는 물었다. [존자] 대왕이여, 지금 몇 시인지 아십니까. [대왕] 알고 있습니다. 지금은 초저녁(初更)이 지나고 밤중(中更)으로 접어들었을 뿐입니다. 등불용 횃불이 켜져 있습니다. 네 개의 기가 세워지고 선물이 그대를 위하여 창고로부터 운반되고 있습니다. 요나카.. 대승경전/밀린다 팡하 2015.04.22
15. 뛰어난 심리현상의 분석 15. 뛰어난 심리현상의 분석 장로는 말했다. [존자] 대왕이여, 세존께서는 이러한 말을 하셨습니다. 세존께서는 하나의 감관 대상에 대하여 작용하는 물질적이 아닌 것, 즉 마음이나 마음의 작용인 사상(諸法)의 구별을 말씀하셨습니다. 그것은 곧 접촉(觸)이오, 감수(受)요, 표상(態)이오, .. 대승경전/밀린다 팡하 2015.04.22
14. 영혼과 정신 작용의 구별 14. 영혼과 정신 작용의 구별 왕은 물었다. [대왕] 나아가세나 존자여, 식별(識)과 지혜(慧)와 생명체의 정신(命, 즉 정신적 자아 또는 영혼)등 세 가지는 본질(義)과 말(語)이 각기 다른 것입니까, 아니면 본질은 같고 말만이 다릅니까. [존자] 대왕이여, 식별은 분별해 아는 지각을 특징으로 .. 대승경전/밀린다 팡하 2015.04.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