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승경전 140

화엄경(華嚴經)이란 어떤 경전인가

1. 화엄경의 위치 화엄경은 부처님을 말한다. 화엄경의 자세한 이름은 이다. 범어(산스크리트어)로는 라고 하는데 이것을 번역해서 이라고 한다. 이것은 의 자세한 이름이 인 것과 같다.Mahavaiplya-buddha-ganda-vyuha-sutra 과 은 대승불교 경전을 대표하는 것이다. 이 두 개의 경전이 한마디로 무엇을 설명하고 있느냐 하면 은 부처님을 말하고 있는 것이다. '대방광불(大方廣佛)'이란 곧 부처님을 말하는 것이다. 그러면 은 무엇을 설하고 있느냐 하면 '묘법(妙法)'이라는 법을 설명하는 것이다. 에서 묘법이란 제법실상(諸法實相)을 뜻하는 것이다. 의 불(佛)은 대비로자나불(大毘盧遮那佛)이다. 그래서 옛부터 을 불(佛)을 말하는 경, 은 법(法)을 말하는 경이라고 구분해 왔다. '대방광불..

『화엄경』「십회향품」에 담긴 현대 문학성 연구/강기선

「동아시아불교문화」34집, 2018. 6, 3~39 『화엄경』「십회향품」에 담긴 현대 문학성 연구 (이 논문은 2017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NRF-2017S1A5B5A07057834) 강기선/ 동국대 Ⅰ. 서론 Ⅱ. 십회향품 의 핵심사상 Ⅲ. 십회향품 에 담긴 현대 문학성 Ⅳ. 십회향품 의 현대 문학적 위상과 의의 Ⅴ. 결론 불교의 궁극적 목적은 회향에 있다고 할 수 있는데, 회향은 자기가 닦은 공 덕을 남이나 중생에게 되돌려 주어 모두 함께 부처님의 진리를 깨달아 成佛 하는 것을 의미한다.『화엄경』「십회향품」에서 언급되고 있는 10가지 회향이 란 보살이 닦은 善根을 중생과 보리와 진여의 3가지로 회향하는 것이다. 여 기서 10가지 회향은 보살의 한량없는 실천..

화엄 교학에서의 연기(緣起) 개념/고승학

화엄 교학에서의 연기(緣起) 개념 ( 이 논문은 2011년도 정부(교육과학기술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연구되었음 (NRF-2011-361-A00008). 고승학/동국대 불교문화연구원, HK 연구교수 Ⅰ. 들어가는 말 Ⅱ. 연기 개념의 변용과 화엄의 법계연기 개념 Ⅲ. 인과동시로서의 일승 연기 Ⅳ. 성기 개념의 출현과 전개 양상 Ⅴ. 결론 [요약문] 본 논문은 화엄 교학 전통에서 연기 개념이 어떻게 형성되었는지를 고찰하고 단일해 보이는 이 전통 내에 다양한 연기 개념이 존재하였음을 밝히는 것을 목표로 한다. 초기불교의 연기 개념이 시간의 흐름을 중시하여 고통의 발생과 소멸이 특정한 조건에 의지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면, 대승불교의 공 개념은 현상계의 모든 사물들이 상호 의존하고 있다는 직관..

『법화경』에 나타난 증상만(增上慢)의 사상적 연원과 그 정체성 고찰 /차차석

불교학연구 제4호 (2002.6) 『법화경』에 나타난 증상만(增上慢)의 사상적 연원과 그 정체성 고찰 차차석/동국대학교 1. 서론 법화경의 핵심품인 방편품에는 오천명의 비구, 비구니, 우바새, 우바이등이 부처님께서 법화경을 설하려고 하자 자리를 박차고 일어나 퇴장하는 장면이 나오며, ..

범본 법화경 「여래수량품」에 나타난 석존의 보살행에 대한 연구

『불교학리뷰(Critical Review for Buddhist Studies)』 18권(2015. 12) 49p~85p 범본 『법화경』 「여래수량품」에 나타난 석존의 보살행에 대한 연구 (본 논문은 필자가 2015년도에 제출한 박사학위논문의 제4장 중 일부 내용에 다소 수정을 더하여 작성한 것이다.) 하영수/(금강대학교) [국문요약] 『법화경』 「여래수량품」은 붓다의 수명에 관해서 중요한 교설을 설하는 품 으로 예로부터 중시되어 왔다. 그런데 범어본 「여래수량품」에는 “나(=붓다)의 보살행은 끝나지 않았다”라는 경문이 포함되어 있다. 이 구절은 한역 법화경 에는 설해지지 않았는데, 이를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하는 문제의식이 본 논문 을 작성한 계기이다. 본 논문에서는 한역과 범어본 사이의 차이를 해..

화엄경의 편집은 호탄(Khotan)에서 이루어졌는가?/김호귀

화엄경의 편집은 호탄(Khotan)에서 이루어졌는가 (본 논문은 2007년 정부(교육과학기술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KRF-2007-361-AM0046) 석길암/금강대학교 불교문화연구소 huayen@naver.com 차례 I. 문제의 소재 Ⅱ. 호탄을 중심으로 하는 중앙아시아 지역 편집설의 검토 Ⅲ. 간다라 ․ 호탄과 화엄대경의 편집 1. 한역(漢譯)『화엄경』의 출처로부터 2.『화엄경』에 보이는 성문 ․ 연각의 이승과 대승의 대립으로부터 3. 화엄경변상의 등장으로 본 편집과 유통의 문제 Ⅳ. 결 론 [요약문] 『화엄경』의 편집 장소에 대한 다수설의 견해는 호탄(Khotan, 于闐)을 중심으로 하는 중앙아시아를 지목한다. 그런데 논자는 이전의 논문에서 1)『화엄경』이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