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승불교·한국불교 논문및 평론 147

염불선과 선정계위

「淨土學硏究」 제27집, 2017년 6월 염불선과 선정계위 - 청화스님의 염불선 위차 사상과 관련한 비판적 검토 - (고려대학교에서 지원된 연구비로 수행되었음(Supported by a Korea University Grant)). 조준호/고려대학교 철학연구소 연구교수. • 목 차 • Ⅰ. 들어가는 말 Ⅱ. 초기와 부파불교의 염불선정계위 1. 염불선정계위 2. 초기경전의 염불선정계위 3. 부파불교의 염불선정계위 4. 심사(尋伺 : vitakka-vicārā)와 선정계위의 문제 5. 심사와 염불선정의 문제 Ⅲ. 마치는 말 [한글요약] 초기불교에서 염불은 선 또는 삼매의 수행범위로 나타난다. 이는 이후 인도불교 전통과 현재의 다른 불교권 에서도 마찬가지이다. 그렇지만 동 아시아에서 염불 이해는 다른 양상으로..

염불삼매는 어느 선정 단계까지 가능한가

佛敎學報 第79輯 염불삼매는 어느 선정 단계까지 가능한가 : 대승불교의 염불삼매 계위에 대한 경론 전거 (고려대학교에서 지원된 연구비로 수행되었음.(Supported by a Korea University Grant) 조준호/고려대학교 철학연구소 연구교수 Ⅰ. 들어가는 말 Ⅱ. 염불삼매의 계위 1. 「대방등대집경」과 「불설보살내계경」 2. 「불장경」과 「십주비바사론」의 수행계위 3. 「십주비바사론」에서 사선 ․ 사무색 염불 4. 「오문선경요용법」에서 사선 염불 Ⅲ. 염불삼매의 재평가 Ⅳ. 마치는 말 부파불교 전적에서는 염불삼매와 선정계위가 결부되어 설명되는 전거를 찾을 수 없다. 상좌부 불교전통의 대표적인 논서인 Visuddhimagga에서 염불은 본선정[本三昧]으로 나아 갈 수 없다고까지 한다. 염불선..

看話禪에서 話頭의 양면적 기능/ 김 호귀

看話禪에서 話頭의 양면적 기능 김 호귀 1. 간화선과 화두 2. 화두의 수행 3. 화두수행의 목적 4. 화두의 양면적 기능 1. 간화선과 화두 간화선은 화두수행이다. 이것은 화두의 수행이라는 의미로서 그 수행방식에 기초한 말이 기도 하다. 그런데 화두수행이라는 말은 구체적으로 무엇인가. 화두 그 자체를 수행한다는 말인가, 화두를 통해서 그 어떤 것을 수행한다는 것인가, 아니면 화두가 그대로 수행이라는 말인가. 이만큼 화두수행에서 화두와 수행의 관계는 밀접하면서도 한편으로는 별개적인 것 이다. 그러나 화두와 수행에 대하여 이것이다 저것이다 하고 딱히 갈라서 논할 수 없다는 것에 화두수행의 본질이 있다. 곧 화두와 수행은 전혀 별개의 갈래이기 때문이다. 굳이 말하 자면 화두는 種의 개념이고 수행은 類의 개념..

중국불교 대승화에 대한 이해의 한 측면/석길암

「동아시아불교문화」35집, 2018. 9, 101~123 중국불교 대승화에 대한 이해의 한 측면 석 길 암/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부교수 1. 문제의 제기 2. 중국 불교 이해의 한 장면 3. 교판(敎判)과 종(宗)의 성립이 의미하는 것 1) 인도불교에서 부파와 대승-율의(律儀)와 논전(論典)의 불교 2) 중국 불교 대승화의 출발점, 도안(道安)과 구마라집(鳩摩羅什) 3) 교판(敎判)과 종판(宗判)-대승경전(大乘經典) 중심 불교의 심화 4. 결론을 대신하여-붓다관의 재발견과 중국적 대승의 출현 본 논문은 중국적 불교의 출현과 성장을 인도 대승불교의 중국적 수용과 재생산 과정이라는 측면에서 검토한 것이다. 논의의 초점은 두 가지이다. 첫 째는 불교교단의 존재양상 변화로, 인도의 부파 혹은 학파불교가 중국의 ..

초기선종에 나타난 ‘見性’의 구조와 의미에 대한 고찰/김호귀

초기선종에 나타난 ‘見性’의 구조와 의미에 대한 고찰 김호귀/ Ⅰ. 서언 Ⅱ. 열반경의 불성 Ⅲ. 견불성 Ⅳ. 초기선종의 견성 1. 도신과 홍인의 견성 2. 혜능의 견성 3. 일행삼매와 견성 Ⅴ. 결어 초기선종에서 사용되고 있는 견성의 의미는『열반경』에서 말하는 견불성의 의미로 요약된 다. 이후 吉藏에게 와서는 견성이 불성을 깨치는 입장으로 강조되었다. 더욱이 그 구조에 대 해서도 見佛性․見實性․堅眞如 등의 다양한 활용으로서 나타난다. 달마의「혈맥론」과「능 가사자기」의 도신에 이르러서는 見과 佛性을 동일시하는 자각이 보이고, 見이라는 의미가 불성을 본다라든가 性을 본다는 표현이 아니라 卽見性의 당체가 불성이고 佛로 변화되어 있 다. 따라서 性卽是心 心卽是佛과 마찬가지로 見本性은 見佛性과 동일한 의미를 지..

조사들의 공안 활용법/조영미

불교학연구(Journal for Buddhist Studies) 제51호(2017.6) pp. 31∼60 조사들의 공안 활용법 조영미/성균관대학교 한문학과 박사 I. 머리말 II. 병통의 비판적 활용 III. 의단의 기능과 활용 IV. 맺음말 [요약문] 공안 참구에서 주된 소재로 등장하는 병통과 이를 적극 활용하는 조사들의 수단을 살피는 데에 이 논문의 주목적이 있다. 이를 통해 공안 참구가 갖는 현실적 의미를 한층 깊이 있게 조명할 수 있으리라 생각하기 때문이다. Ⅱ장에서는 공안 참구의 주요 소재가 되는 병통에는 어떠한 것이 있으며, 조사들이 이를 어떻게 인식하고 활용하는가의 문제를 검토한다. 무엇을 병통으로 보며 이에 어떻 게 대처하는가를 검토함으로써 조사들의 인식 세계의 일단을 엿볼 수 있으리라 본..

십우도와 목우도의 비교 고찰/신명희

『동아시아불교문화』 34집, 2018. 6, 41~66 십우도와 목우도의 비교 고찰 ( 이 논문은 대한불교조계종 교육원의 지원금으로 작성된 논문임.) 신 명 희(정운)/조계종 교육아사리 Ⅰ. 들어가면서 Ⅱ. 경전과 선문답에 묘사된 소[牛] Ⅲ. 곽암의 십우도 Ⅳ. 보명의 목우도 Ⅴ. 십우도 와 목우도 의 비교[同異點] Ⅵ. 나오면서 불교는 수행의 종교로서 경전과 어록은 수행법을 서술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인도 경전에서는 코끼리를 통해 수행자의 모범상을 비유한 반면 중국 에서는 소[牛]를 통해 수행길을 묘사하였다. 중국은 농경사회인데다 선이 태 동하고 발전한 곳이 강서성과 호남성이다. 더욱이 청규 제정으로 노동과 선 의 일치가 보편화되어 선사들의 선문답에 자연스럽게 축생들이 등장한다. 특히 소를 주제로..

대웅전을 폐지하고 법당을 세우다- 당송시대 선종사원/윤창화

불교평론[73호] 2018년 03월 15일 (목) 대웅전을 폐지하고 법당을 세우다- 당송시대 선종사원 2017 불교평론 학술상 수상기념 강연 윤창화 changhwa9@hanmail.net 1. 불전(佛殿) 폐지와 법당(法堂)의 등장 당말오대(唐末五代, 835~959)는 선불교의 전성기였고 황금기였다. 이 시기 선종사원은 성불작조(..

선시의 본질과 영역에 관한 일고찰/박규리

「동아시아불교문화」32집, 2017. 12, 391~409 선시의 본질과 영역에 관한 일고찰 박 규 리/*동국대 불교대학원 겸임교수 Ⅰ. 들어가는 말 Ⅱ. 선시 본질의 문제 1. 선시의 연원과 선시 본질과의 상관성 2. 선종과 선시 발생-선가(禪家)에서의 선시의 역할 Ⅲ. 선시 영역의 문제 1. 선시와 오도(悟道)의 문제 2. 선시작자의 태도문제 Ⅳ. 나가는 말 선시란 한 선사의 투철한 오도의 경계와 그 선사상이 집약된 깨달음의 노 래다. 그러므로 선시독법의 완성은 바로 그 선사의 선사상과 오도의 경계를 얼마나 명확히 요해하고 갈파했는가에 달려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선시 최종의 목적은 우리의 고정관념과 무명에 가려진 아견(我見)을 혁파 하는데 있는 것이지 언어나 내용 자체의 파격을 위한 파격, 혹은..

대승불교의 실천 덕목 재조명 - 6바라밀을 중심으로/ 손 병 욱

[동아시아불교문화] 32집, 2017. 12, 133~168 대승불교의 실천 덕목 재조명 - 6바라밀을 중심으로 - 손 병 욱/경상대 윤리학 교수 Ⅰ. 들어가면서 Ⅱ. 대승불교란 무엇인가? Ⅲ. 대승불교의 기존 견해 비판 및 바른 견해와 그 근거 제시 Ⅳ. 6바라밀을 오독(誤讀)한 이유의 탐구 Ⅴ. 나오면서 본고에서는 한국불교가 대승불교이면서도 명실상부(名實相符)하지 못하 는 이유로서 그것이 대승보살도(大乘菩薩道)를 제대로 살리지 못한데 기인 한다고 봤다. 대승보살도의 핵심인 대승보살은 개인적인 깨달음을 바탕으 로 하화중생에 의거하여 성불(成佛)을 추구하는 존재이다. 이때 개인적 깨달 음의 핵심이 반야바라밀인데, 이 반야바라밀을 얻기 위한 수행방법이 4제8정 도이다. 그리고 하화중생을 위한 실천덕목은 6..

보살계의 성립에 대한 재고 /신성현

보살계의 성립에 대한 재고 신 성 현 / 동국대학교 불교대학 교수 목 차 1. 들어가는 말 2. 재가신자의 계율 3. 보살계의 성립과 사상적 의의 4. 맺는 말 [국문 요약] 본 논문은 대승불교의 보살계가 어떠한 과정과 단계를 거쳐 성립 되었는가를 밝힌 글이다. 특히 보살계의 대표라고 할 수 있는 3취 정계가 어떻게 성립되었는가를 살펴보는 것은 대승만의 독자적인 계의 확립이라는 면에서 의미있다고 생각한다. 불교교단에서 재 가자는 중요한 구성원이다. 초기불교 또는 부파불교시대에 재가 자는 우바새(Upāsaka) 또는 우바이(Upāsikā)라고 불렸다. 재가 자는 3귀의, 5계, 8재계 등을 수지해야 한다. 초기불교시대에서의 3귀의, 5계, 8재계는 다양한 형태의 변화를 보여준다. 특히 대승 불교시대에는 재..

공안선(公案禪)과 화두선(話頭禪)

공안선(公案禪)과 화두선(話頭禪) 인경/ 명상상담연구원 1. 머리말 2. 공안의 의미 3. 원오극근의 공안선 1) 공안의 역할 2) 현성공안 4. 대혜종고의 화두선 1) 공안과 화두의 구별 2) 화두선의 성격 5. 맺는말 1. 머리말 간화선은 한국의 대표적인 전통 수행체계이다. 간화선은 화두를 그 참구의 대상으로 한다. 그 런데 이때 선문답의 공안(公案)과 화두(話頭)의 의미를 어떻게 이해할까 하는 문제에 대해서, 수 행자들이나 학자들 사이에서 서로 다른 두 견해가 있다. 하나는 공안과 화두를 동일한 의미로 이해한 경우이고, 다른 하나는 양자를 구분하는 경우이다. 첫째는 공안과 화두를 동일한 개념으로 파악한 것으로, 일본에서 편찬된『선학대사전』에서 도 지지하는 견해이다.1) 간화선의 성립시기를 공안의 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