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어록/나옹선사 어록 3

나옹의 無心學: ‘劒風’과 ‘喝風’의 화쟁과 회통

나옹의 無心學: ‘劒風’과 ‘喝風’의 화쟁과 회통 高榮燮(고영섭)/(동국대 불교학과) 1. 화두: 문제와 구상 2. 劒風과 喝風의 和會 3. 無心禪의 살림살이 1) 無心의 구조 2) 照見의 논리 3) 利生의 실현 4. 보림: 정리와 과제 1. 화두: 문제와 구상 한 사상가의 생평을 온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두 가지 갈래의 조명은 있어야만 한다. 하나는 해당 시대 속에서 그가 ‘어떻게 살았는가’라는 측면이며, 다른 하나는 그 역정 속에서 그가 ‘어떤 생각을 하고 살았느냐’라는 측면이다. ‘삶’의 과녁에 집중하는 전자를 역 사적 접근이라 한다면, ‘생각’의 과녁을 겨냥하는 후자는 철학적 접근이라 할 수 있다. 한 사 상가의 생평을 종합적으로 평가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이러한 양면의 조망이 요청된다. 그..

懶翁語錄 나옹어록

懶翁語錄 나옹어록 ● 광제선사 개당법회 廣濟禪寺開堂 ● 신광사 주지가 되어 절에 들어가는 날 神光寺入院 ● 결제상당 1 結制上堂 ● 해제상당 解制上堂 ● 내원당에서의 보설 入內普說 ● 소참 小參 ● 제야소참 除夜小參 ● 보설 普說 ● 욕불상당 浴佛上堂 ● 결제상당 2 結制上堂 ● 달마상에 점안하다 達磨開光祝筆 ● 지공화상 탄생일에 指空和尙誕生之晨 ● 지공의 입적일 1 入寂之辰 ● 지공의 입적일 2 又 ● 지공의 입적일 3 又 ● 지공의 입적일 4 又 ● 시중 示衆 ● 입문삼구 入門三句 ● 삼전어 三轉語 ● 17일 수어 十七日垂語 ● 공부십절목 工夫十節目 ● 왕사로 봉숭되는 날의 보설 王師封崇日普說 ● 일주수좌에게 주는 법어 示一珠首座 ● 굉장주에게 주는 법어 示宏藏主 ● 각성선화에게 주는 법어 示覺成禪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