海印三昧論 해인삼매론 明皛 명효 해제 1. 귀경송(歸敬頌) 2. 해인삼매 다라니 3. 도인과 게송 4. 해인삼매의 의의 5. 도인의 모양과 읽기 6. 다라니의 이해 7. 회향송(迴向頌) 해인삼매론海印三昧論1) 『대방광불화엄경』에 의해 명효(明皛) 지음 1) 해인삼매(海印三昧, sāgara-mudrā-samādhi)는『화엄경』의 전체적인 선정을 말 한다.『화엄경』은 7처8회로 구성되어 있고(이는 60화엄에 의함. 80화엄은 7처9회 여서 다소 다르나, 명효가 의거한『화엄경』은 60화엄이므로 7처8회임), 각 회마다 설법에 들어가기에 앞서 부처님은 특별한 선정에 들어간다. 해인은 비유이다. 큰 바다에 바람이 그쳐 파도가 고요해지고 물이 맑아지면 온 세상의 모든 것이 해 면에 비추어지지 않는 것이 없다. 이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