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언
242.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한 때에 세존께서는 라자가하에서 웰루나와의 다람쥐 보호구역에 계셨다. 그 무렵에 장자의 아들 싱갈라까가 아침 일찍 일어나 라자가하에서 나와서 옷을 적시고 머리를 적시고(젖은 옷, 젖은 머리로) 합장을 한 채 동쪽, 남쪽, 서쪽, 북쪽, 아래쪽, 위쪽의 각 방향으로 예배하였다.
243. 그때 세존께서는 오전에 옷차림을 바르게 하시고 발우와 가사를 지니시고 탁발을 위해서 라자가하로 들어가셨다. 세존께서는 장자의 아들 싱갈라까가 아침 일찍 일어나 라자가하를 나와서 옷을 적시고 머리를 적시고 합장한 채 동쪽, 남쪽, 서쪽, 북쪽, 아래쪽, 위쪽의 각 방향으로 예배하는 하는 것을 보셨다. 보시고서는 장자의 아들 싱갈라까에게 이렇게 말씀하셨다.
“장자의 아들이여, 그대는 왜 아침 일찍 일어나서 라자가하를 나와서 옷을 적시고 머리를 적시고 합장을 하고 동쪽, 남쪽, 서쪽, 북쪽, 아래쪽, 위쪽의 각 방향으로 예배를 하는가?”라고.
“세존이시여, 아버지께서 돌아가실 때 정에게 ‘아들아, 너는 여러 방위를 향해서 예배를 해야 한다.’라고 말씀하셨습니다. 그래서, 세존이시여, 아버지의 말씀을 존경하고 존중하고 숭상하고 예배하는 저는 아침 일찍 일어나 라자가하에서 나와서 옷을 적시고 머리를 적시고 합장을 한 채 동쪽, 남쪽, 서쪽, 북쪽, 아래쪽, 위쪽의 각 방향으로 각 방향으로 예배를 합니다.”
cha disā (여섯 방향)
244. “장자의 아들이여, 성스러운 율에서는 이렇게 여섯 방향(六方)으로 예배를 하지 않는다.”
“그러면, 세존이시여, 성스러운 율에서는 어떻게 여섯 방향으로 예배를 해야 합니까? 세존이시여, 성스러운 율에서 여섯 방향으로 예배하는 법을 세존께서 저에게 설해주시면 고맙겠습니다.”
“그렇다면 장자의 아들이여, 듣고 잘 사고하라. 나는 말할 것이다.”
“알겠습니다, 세존이시여.”라고 장자의 아들 싱갈라까는 세존께 대답했다.
세존께서는 이렇게 말씀하셨다.
“장자의 아들이여, 성스러운 제자에게 네 가지 업의 오염원이 버려질 때, 네 가지 조건의 악한 업을 짓지 않고, 여섯 가지로 된 타락의 입구를 실천하지 않는다. 이렇게 열네 가지 악을 제거한 그는 여섯 방향을 보호하는 자여서 양쪽 세상에서 승리하기 위해 닦는다(실천한다). 그에게 이 세상도 확고하고 저 세상도 확고하다(그는 이 세상과 저 세상을 다 얻는다). 그는 몸이 무너져 죽은 뒤 좋은 곳에 나아가 천상세계에 태어난다.
cattārokammakilesā (네 가지 업의 오염원)
245. 어떤 네 가지 업의 오염원이 버려지는가?
장자의 아들이여, 생명을 해치는 행위가 업의 오염원이고, 주지 않은 것을 가지는 행위가 업의 오염원이고, 음행에 대한 삿된 행위가 업의 오염원이고, 거짓을 말하는 행위가 업의 오염원이다. 이런 네 가지 업의 오염원들이 버려진다.”
세존께서는 이렇게 말씀하셨다. 스승이신 선서께서는 이렇게 말씀하신 뒤 다시 이렇게 [게송으로] 말씀하셨다.
생명을 해치는 행위, 주지 않은 것을 가지는 행위, 거짓을 말하는 행위와
남의 아내에게 가는 것이 업의 오염원이라 불린다. 현명한 자들은 칭찬하지 않는다.
catuṭṭhānaṃ (네 가지 조건)
"어떤 네 가지 조건에 의해 악한 업을 짓지 않는가?
열의(관심) 때문에 방향 아닌 곳으로 가는 사람은(하지 않아야 할 것을 하면서) 악한 업을 짓는다. 성냄 때문에 방향 아닌 곳으로 가는 사람은 악한 업을 짓는다. 어리석음 때문에 방향 아닌 곳으로 가는 사람은 악한 업을 짓는다. 두려움 때문에 방향 아닌 곳으로 가는 사람은 악한 업을 짓는다.
장자의 아들이여, 성스러운 제자가 열의 때문에 방향 아닌 곳으로 가지 않고, 성냄 때문에 방향 아닌 곳으로 가지 않고, 어리석음 때문에 방향 아닌 곳으로 가지 않고, 두려움 때문에 방향 아닌 곳으로 가지 않을 때, 이런 네 가지 조건에 의해 악한 업을 짓지 않는다."
세존께서는 이렇게 말씀하셨다. 스승이신 선서께서는 이렇게 말씀하신 뒤 다시 이렇게 말씀하셨다.
열의와 성냄과 어리석음과 두려움 때문에 법을 무시하는 사람(법을 파하는 사람)
그믐으로 가는 보름 동안의 달처럼(하현달과 같이), 그에게 명성은 부서진다.
열의와 성냄과 어리석음과 두려움 때문에 법을 무시하지 않는 사람
보름으로 가는 보름동안의 달처럼(상현달과 같이), 그에게 명성은 충만해 진다.
*'(방향이 아닌 곳으로) 가지 않음'으로 직역한 원어는 agati이다. '하지 않아야 할 것'으로 의역할 수 있다. 본경에서처럼 네 가지 가지 않음으로 정리되어 나타난다. 예를 들면 청정도론에서는 버려야 할 법을 ①족쇄 ②오염원 ③삿됨 ④세간적인 법 ⑤인색 ⑥전도 ⑦매듭 ⑧가지 않음(하지 않아야 함) ⑨번뇌 ⑩폭류 ⑪속박 ⑫장애 ⑬고수(固守) ⑭집착 ⑮잠재성향 ⑯더러움 ⑰[열가지] 해로운 업의 길(불선업도, 不善業道) ⑱[해로운] 마음의 일어남의 18가지로 정리하고 있는데, 그 여덟 번째에 이 '가지 않음'을 들고 있다.
'가지 않음'은 본 문액에 나타나듯이 열의(chanda), 성냄(dosa), 어리석음(moha), 두려움(bhaya) 때문에 가지 않아야 할 것의 넷이다. 이것은 성자들이 가지 않아야 하기 때문에 가지 않음이라 한다. 여기에 대해서는 청정도론 XXII.47과 55를 참조할 것. 본서의 정신경(D29)에서는 아라한이 범할 수 없는 아홉 가지에 포함되어 나타났다. 그리고 본 문맥에서는 이러한 네 가지를 행하는 것을 악한 업(papa-kamma)이라고 부르고 있다.
cha apāyamukhāni (여섯 가지 타락의 입구)
247. “어떤 여섯 가지로 된 타락의 입구를 실천하지 않는가?
장자의 아들이여, 술과 발효액 등 취하게 하는 것으로 인한 방일한 머묾에 열심인 것이 타락의 입구이고, 때아닌 때에 열심히 길거리를 돌아다니는 (배회하는) 것이 타락의 입구이고, 열심히 구경거리(공연)를 보러 다니는 것이 타락의 입구이고, 도박으로 인한 방일한 머묾에 열심인 것이 타락의 입구이고, 나쁜 친구를 사귀는 것에 열심인 것이 타락의 입구이고, 게으름에 열심인 것이 타락의 입구이다.
surāmerayassa cha ādīnavā (술과 발효액의 여섯 가지 위험)
248. 장자의 아들이여, 술과 발효액 등 취하게 하는 것으로 인한 방일한 머묾에 열심인 것에 이런 여섯 가지 위험(잘못됨)이 있다. 이 세상에 속한 재산을 잃고, 분쟁이 늘어나고, 병을 위한 토대가 되고, 나쁜 명성이 생기고, 부끄러워 할 줄 아는 힘이 없어지고, 여섯 번째로 지혜가 무력해진다. 장자의 아들이여, 술과 발효액 등 취하게 하는 것으로 인한 방일한 머묾에 열심인 것에 이런 여섯 가지 위험이 있다.
vikālacariyāya cha ādīnavā (때아닌 때에 돌아다니는 것의 여섯 가지 위험)
249. 장자의 아들이여, 때아닌 때에 열심히 길거리를 돌아다니는 것에 이런 여섯 가지 위험이 있다. 자기 스스로를 지키지 못하고 보호하지 못한다. 자식과 아내도 지키지 못하고 보호하지 못한다. 재산도 지키지 못하고 보호하지 못한다. 범죄의 장소에서 의심 받는다. 그에 대한 헛소문이 늘어난다. 많은 괴로운 사건들을 마주친다. 장자의 아들이여, 때아닌 때에 열심히 길거리를 돌아다니는 것에 이런 여섯 가지 위험이 있다.
samajjābhicaraṇassa cha ādīnavā (공연을 보러 다니는 것의 여섯 가지 위험)
250. 장자의 아들이여, 공연을 보러 다니는 것에 이런 여섯 가지 위험이 있다. ‘어디에서 춤추는가? 어디에서 노래하는가? 어디에서 악기를 연주하는가? 어디에서 낭송하는가? 어디에서 손뼉을 치는가? 어디에서 북을 치는가?’라고.[찾아 다녀 다른 것을 소홀히 한다]. 장자의 아들이여, 공연을 보러 다니는 것에 이런 여섯 가지 위험이 있다.
jūtappamādassa cha ādīnavā (DN 31.9-도박(노름)으로 인한 방일한 머묾의 여섯 가지 위험)
251. 장자의 아들이여, 도박으로 인한 방일한 머묾에 열심인 것에 이런 여섯 가지 위험이 있다. 이기면 증오가 따르고, 진 자는 [남에게 잃은] 재물을 한탄하고, 이 세상에 속한 재산을 잃고, 법정에서 하는 진술에 신빙성이 없어지고, 친구와 동료들로부터 멸시를 받고, ‘도박꾼인 이 사람은 아내를 부양하기에 적절하지 않다.’라며 결혼 상대로 원하지 않는다. 장자의 아들이여, 도박으로 인한 방일한 머묾의 열심인 것에는 이런 여섯 가지 위험이 있다.
pāpamittatāya cha ādīnavā (나쁜 친구와의 사귐의 여섯 가지 위험)
252. 장자의 아들이여, 나쁜 친구를 사귀기에 열심인 것에 이런 여섯 가지 위험이 있다. 폭력배, 방탕한 자, 술꾼, 사기꾼, 거짓말쟁이, 싸움꾼들이 친구가 되고 동료가 된다. 장자의 아들이여, 나쁜 친구를 사귀기에 열심인 것에는 이런 여섯 가지 위험이 있다.
ālasyassa cha ādīnavā (게으름의 여섯 가지 위험)
253. 장자의 아들이여, 게으름에 열심인 것에 이런 여섯 가지 위험이 있다. '너무 춥다.'라고 일하지 않고, '너무 덥다.'라고 일하지 않고, 너무 이르다.'라고 일하지 않고, '너무 늦었다.'라고 일하지 않고, '너무 배고프다.'라고 일하지 않고, '너무 배부르다.'라고 일하지 않는다. 이렇게 해야 할 일에 대한 핑계를 많이 가지고 머무는 그에게 생기지 않은 재물은 생기지 않고, 생긴 재산은 소진된다. 장자의 아들이여, 게으름에 열심인 것에 이런 여섯 가지 위험이 있다.”
세존께서는 이렇게 말씀하셨다. 스승이신 선서께서는 이렇게 말씀하신 뒤 다시 이렇게 말씀하셨다.
“참으로 술친구가 있고, ‘벗이여, 벗이여’라고 말만 하는 자가 있다.
그러나 이익이 생겼을 때 함께 동료가 되어 주는 자, 그가 진정한 벗이다.
해가 뜬 뒤에도 잠자는 자, 남의 아내와 음행에 대해 삿된 행위를 하는 자
증오하는 자, 불이익을 주는 자, 나쁜 친구, 매우 인색한 자
이런 여섯 경우는 사람을 파멸하게 한다.
나쁜 친구, 나쁜 벗, 나쁜 행위의 영역을 가진 자는
이 세상과 저 세상의 양쪽에서 사람을 파멸하게 만든다.
도박과 여자, 술, 춤과 노래, 낮에 잠자고, 때아닌 때에 돌아다니는 것,
나쁜 친구, 매우 인색한 자, 이런 여섯 경우는 사람을 파멸하게 만든다.
도박을 즐기고, 술을 마시고, 남들에게 목숨처럼 소중한 여자들을 범하고
나쁜 교제를 하고, 노인을 섬기지 않는 자는 그믐달처럼 파멸하게 된다.
술꾼이 재산도 없고 무일푼인데 목마른 자가 물마시듯 술만 마셔대면
물에 던진 돌멩이처럼 빚 속에 가라 앉아 빠르게 자신의 가문조차 빚에 빠지게 만든다.
낮에 자는 습성을 가진 자, 밤에 일어나 돌아다니는 자
항상 술에 취해 있는 자는 가정을 가져 머물 수 없다.
너무 춥고, 너무 덥고, 너무 이르다고 하면서
이렇게 일을 던져버리는 젊은이에게 성공은 지나가 버린다.
이 세상에서 춥고 더움을 마른 풀보다 하찮은 것으로 간주하여
사람으로서 해야 할 바를 하는 자에게 행복은 버려지지 않는다.
mittapatirūpakā (친구인 척하지만 친구가 아닌 네 가지)
254. “장자의 아들이여, 이런 네 가지 친구 아닌 자, 거짓된 친구를 알아야 한다. 아무 것도 가져오지 않았으면서도 분명히 가져왔다고 하는 자는 친구 아닌 자, 거짓된 친구라고 알아야 한다. 말은 뛰어나지만, 실제로 행동하지 않는 자는 친구 아닌 자, 거짓된 친구라고 알아야 한다. 듣기 좋은 말만 하는 자는 친구 아닌 자, 거짓된 친구라고 알아야 한다. 타락의 동반자는(나쁜 짓에 동반자가 되는 자는) 친구 아닌 자, 거짓된 친구라고 알아야 한다.
255. 장자의 아들이여, 네 가지 조건에 의해 [아무 것도 가져오지 않았으면서도 분명히 가져왔다고 하는] 자는 친구 아닌 자, 거짓된 친구라고 알아야 한다.
가져오지 않았으면서도 가져왔다고 하는 자이고, 적게 주고 많은 것을 원하고,
두려움 때문에 의무를 행하고, 자신의 이익을 위해 행위를 실행한다(자신의 이익만 챙긴다).
장자의 아들이여, 이런 네 가지 조건에 의해 [아무 것도 가져오지 않았으면서도 분명히 가져왔다고 하는] 자는 친구 아닌 자, 거짓된 친구라고 알아야 한다.
256. 장자의 아들이여, 네 가지 조건에 의해 말은 뛰어나지만, 실제로 행동하지 않는 자는 친구 아닌 자, 거짓된 친구라고 알아야 한다. 과거에 이렇게 하려 했다는 가식적인 말에 의지하고, 미래에 이렇게 할 것이라는 가식적인 말에 의지하고, 아무 의미 없는 말로 호의를 얻으려 하고, 일이 생겼을 때는 문제가 생겨서 도와줄 수 없다고 한다. 장자의 아들이여, 네 가지 조건에 의해 말은 뛰어나지만, 실제로 행동하지 않는 자는 친구 아닌 자, 거짓된 친구라고 알아야 한다.
257. 장자의 아들이여, 네 가지 조건에 의해 듣기에 좋은 말만 계속하는 자는 친구 아닌 자, 거짓된 친구라고 알아야 한다. 나쁜 일에도 조언하고, 좋은 일에도 조언한다(사악한 것에는 동의를 하고, 좋은 것에는 동의를 하지 않는다). 면전에서는 칭송하는 말을 하고, 뒤에서는 비난하는 말을 한다(흉을 본다). 장자의 아들이여, 네 가지 조건에 의해 듣기에 좋은 말만 계속하는 자는 친구 아닌 자, 거짓된 친구라고 알아야 한다.
258. 장자의 아들이여, 네 가지 조건에 의한 타락의 동반자는(나쁜 짓에 친구가 되는 자는) 친구 아닌 자, 거짓된 친구라고 알아야 한다. 술과 발효액 등 취하게 하는 것으로 인한 방일한 머묾에 열심인 것들을 동반하고(몰두할 때 친구가 되고), 때아닌 때에 열심히 길거리를 돌아다니는 것들을 동반하고(길거리를 돌아다닐 때 친구가 되고), 열심히 공연을 보러 다니는 것들을 동반하고, 도박으로 인한 방일한 머묾에 열심인 것들을 동반한다. 장자의 아들이여, 이런 네 가지 조건에 의한 타락의 동반자는 친구 아닌 자, 거짓된 친구라고 알아야 한다."
259. 세존께서는 이렇게 말씀하셨다. 스승이신 선서께서는 이렇게 말씀하신 뒤 다시 이렇게 말씀하셨다.
가져오지 않았으면서도 분명히 가져왔다고 하는 친구, 말은 뛰어나지만 행동하지 않는 친구,
듣기 좋은 말만 계속하는 친구, 나쁜 짓에 열심인 친구(타락의 동반자인 친구)
현명한 사람은 이 네 사람에 대해 친구가 아니라고 알아서
그런 두려운 길을 멀리 피해야 한다.
suhadamitto (가슴을 나누는 네 가지 친구)
260. “장자의 아들이여, 이런 네 가지 친구, 진정한 친구를 알아야 한다. 도움을 주는 친구는 진정한 친구라고 알아야 한다. 즐겁거나 괴로울 때 한결같은 친구는 진정한 친구라고 알아야 한다. 이로운 것을 알려주는(조언해 주는) 친구는 진정한 친구라고 알아야 한다. 언제나 연민하는 친구는 진정한 친구라고 알아야 한다.
261. 장자의 아들이여, 네 가지 조건에 의해(경우를 통해서) 도움을 주는 친구는 진정한 친구라고 알아야 한다. 취해 있을 때 보호해 주고, 취해 있을 때 소지품을 보호해 주고, 두려울 때 의지처가 되어 주고, 해야 할 일이 생겼을 때 그 두 배로 필요한 물품을 보태어 준다. 장자의 아들이여, 네 가지 조건에 의해 도움을 주는 친구는 진정한 친구라고 알아야 한다.
262. 장자의 아들이여, 네 가지 조건에 의해 즐겁거나 괴로울 때 한결같은 친구는 진정한 친구라고 알아야 한다. 비밀을 털어놓고(숨겨야 할 것을 말해주고), 비밀을 지켜주고(숨겨야 할 것을 숨겨주고), 어려움에 처했을 때 떠나지 않고, 그를 위해서 목숨도 버린다. 장자의 아들이여, 네 가지 조건에 의해 즐겁거나 괴로울 때 한결같은 친구는 진정한 친구라로 알아야 한다.
263. 장자의 아들이여, 네 가지 조건에 의해 이로운 것을 알려주는 친구는 진정한 친구라고 알아야 한다. 나쁜 일을 못하게 하고, 좋은 일을 안내하고, 듣지 못한 것을 알려주고, 천상에 태어나는 길을 말해준다. 장자의 아들이여, 네 가지 조건에 의해 이로운 것을 알려주는 친구는 진정한 친구라고 알아야 한다.
264. 장자의 아들이여, 네 가지 조건에 의해 언제나 연민하는 친구는 진정한 친구라고 알아야 한다. 친구의 불행에 대해서 기뻐하지 않고(없는 것을 기빠하지 않고), 친구의 행운에 대해서 기뻐하며(있는 것을 기뻐하고), 친구에 대해서 비난하는 자를 못하게 하고, 친구에 대해서 칭찬하는 자를 칭찬한다. 장자의 아들이여, 네 가지 조건에 의해 언제나 연민하는 친구는 진정한 친구라고 알아야 한다.”
265. 세존께서는 이렇게 말씀하셨다. 스승이신 선서께서는 이렇게 말씀하신 뒤 다시 이렇게 말씀하셨다.
도움을 주는 친구, 즐겁거나 괴로울 때 한결같은 친구
이로운 것을 알려주는 친구와 언제나 연민하는 친구
현명한 사람은 이 네 가지 친구를 이렇게 안 뒤에
오직 그들과 교제해야 한다. 어머니가 친아들에게 하듯이.
계를 갖춘 현명한 사람은 불이 타오르는 것처럼 빛난다.
마치 부지런히 움직이는 벌들처럼 재물을 모으는 사람에게
개미 집이 높이 자라는 것처럼 재물이 쌓여 간다.
재가자는 이렇게 재물을 쌓은 뒤에 재물을 넷으로 나누어
자신의 가문을 충분하게 부양하고, 그는 참으로 친구들을 내치지 않고 돕는다.
첫 번째 몫의 재물은 생활에 사용하고, 두 번째와 세 번째 몫은 사업하는데 쓰고(일을 하는데 사용하고)
네 번째는 저축을 해야 한다. 어려움에 대처하기 위해서이다.
chaddisāpaṭicchādanakaṇḍaṃ (여섯 방향을 보호하는 자)
266. “장자의 아들이여, 성스러운 제자는 어떻게 여섯 방향을 보호하는가? 장자의 아들이여, 이런 여섯 방향을 알아야 한다. 동쪽 방향은 부모라고 알아야 하고, 남쪽 방향은 스승들이라고 알아야 하고, 서쪽 방향은 자식과 아내라고 알아야 하고, 북쪽 방향은 친구와 동료라고 알아야 하고, 아래 방향은 하인과 고용인들이라고 알아야 하고, 위 방향은 사문과 바라문들이라고 알아야 한다.
*부모는 앞에서 도와주시기 때문에 동쪽(puratthima,앞쪽) 방향이라고 알아야 한다. 스승은 보시를 드려야 하기 때문에 남쪽(dakkhina) 방향이다. 자식과 아내는 뒤에서 따라오기 때문에 서쪽(pacchima) 방향이다. 친구와 동료를 의지해서 특별한 괴로움을 건너기 때문에 북쪽(uttar) 방향이다.(DA.iii.952)
267. 장자의 아들이여, 자식은 다섯 가지 조건에 의해(경우로) 동쪽 방향인 부모를 섬겨야 한다. ‘나는 (하인처럼) 그분들을 위해 봉양할 것이다. 그분들을 위해 의무를 행할 것이다. 가문의 대를 유지할 것이다. 계승된 것을 실천할 것이다. 한편으로는 돌아가신 조상님들을 위해 보시를 이어갈 것이다.’라고. 장자의 아들이여, 이런 다섯 가지 조건으로 아들에 의해 섬겨진 동쪽 방향인 부모는 다시 다섯 가지 조건으로 자식을 연민한다(아들을 사랑으로 돌본다). 나쁜 일을 못하게 하고, 좋은 일을 안내하고, 기술을 배우게 하고, 어울리는 아내를 맺어주고, 때가 되면 유산을 물려준다. 장자의 아들이여, 이런 다섯 가지 조건으로 아들에 의해 섬겨진 동쪽 방향인 부모는 다시 이런 다섯 가지 조건으로 자식을 연민한다. 이렇게 그 동쪽 방향은 보호되고, 안온하게 되고, 두려움이 없게 된다.
268. 장자의 아들이여, 제자는 다섯 가지 조건에 의해 남쪽 방향인 스승을 섬겨야 한다. 일어나서 맞이하고, 섬기고, 배우려하고, 봉사하고, 기술을 잘 배운다. 장자의 아들이여, 이런 다섯 가지 조건으로 제자에 의해 섬겨진 남쪽 방향인 스승은 다시 다섯 가지 조건으로 제자를 연민한다. 잘 훈련된 것을 훈련 시키고, 잘 배운 것을 익히게 하고, 기술을 모두 다 배우도록 잘 가르쳐 주고, 친구와 사람들을 소개해 주고, 모든 곳에서 안전하게 보호해 준다. 장자의 아들이여, 이런 다섯 가지 조건으로 제자에 의해 섬겨진 남쪽 방향인 스승은 이런 다섯 가지 조건으로 제자를 연민한다. 이렇게 그 남쪽 방향은 보호되고, 안온하게 되고, 두려움이 없게 된다.
269. 장자의 아들이여, 남편은 다음의 다섯 가지 조건에 의해(경우로) 서쪽 방향인 아내를 섬겨야 한다. 존중하고, 얕보지 않고(모욕하지 않고), 삿된 음행을 하지 않고, 권한을 넘겨주고, 장신구를 사준다. 장자의 아들이여, 이런 다섯 가지 조건으로 남편에 의해 섬겨진 서쪽 방향인 아내는 다섯 가지 조건으로 남편을 연민한다. 맡은 일을 잘 처리하고, 주위 사람들이 잘 따르게 하고, 삿된 음행을 하지 않고, 모은 재산을 잘 지키고, 모든 할 일에 대해 숙련되고 게으르지 않다. 장자의 아들이여, 이런 다섯 가지 조건으로(경우로) 남편에 의해 섬겨진 서쪽 방향인 아내는 다시 이런 다섯 가지 조건으로 남편을 연민한다. 이렇게 그 서쪽 방향은 보호되고, 안온하게 되고, 두려움이 없게 된다.
270. 장자의 아들이여, 가문의 아들은(선남자는) 다섯 가지 조건에 의해 북쪽 방향인 친구와 사람들을 섬겨야 한다. 베풀고(보시), 친절하게 말하고, 그들에게 이익이 되도록 행하고, 자기 자신에게 하듯이 대하고, 언약을 어기지 않는다. 장자의 아들이여, 이런 다섯 가지 조건으로 가문의 아들에 의해 섬겨진 북쪽 방향인 친구와 사람들은 다시 이런 다섯 가지 조건으로 가문을 아들을 연민한다. 취해 있을 때 보호해 주고, 취해 있을 때 소지품을 보호해 주고, 두려울 때 의지처가 되어 주고, 어려움에 처했을 때 떠나지 않고, 후손들을(그의 자녀들을) 존중한다. 장자의 아들이여, 이런 다섯 가지 조건으로 가문의 아들에 의해 섬겨진 북쪽 방향인 친구와 사람들은 이런 다섯 가지 조건으로 가문의 아들을 연민한다. 이렇게 그 북쪽 방향은 보호되고, 안온하게 되고, 두려움이 없게 된다.
271. 장자의 아들이여, 주인은 다섯 가지 조건에 의해 아래 방향인 하인과 고용인들을 섬겨야 한다. 힘에 맞게 일거리를 배당해 주고, 음식과 보수를 지급하고, 병이 들면 치료해주고, 맛있는 것을 같이 나누고, 때맞춰 쉬게 한다. 장자의 아들이여, 이런 다섯 가지 조건으로 주인에 의해 섬겨진 아래 방향인 하인이나 고용인들은 다시 이런 다섯 가지 조건으로 주인을 연민한다. 먼저 일어나고, 나중에 잠자고, 주어진 것에 만족하고, 일을 잘 처리하고, (주인에 대한)명성과 칭송을 옮긴다. 장자의 아들이여, 이런 다섯 가지 조건으로 주인에 의해 섬겨진 아래 방향인 하인과 고용인들은 다시 이런 다섯 가지 조건으로 주인을 연민한다. 이렇게 그 아래 방향은 보호되고, 안온하게 되고, 두려움이 없게 된다.
272. 장자의 아들이여, 가문의 아들은 다섯 가지 조건에 의해 위 방향인 사문∙바라문들을 섬겨야 한다. 자애로운 몸의 업으로 대하고, 자애로운 말의 업으로 대하고, 자애로운 마음의 업으로 대하고, 대문을 항상 열어두고, 일용품{의식주와 약품)을 공양한다. 장자의 아들이여, 이런 다섯 가지 조건으로 가문의 아들에 의해 섬겨진 위 방향인 사문∙바라문들은 다시 이런 여섯 가지 조건으로 가문의 아들을 연민한다. 나쁜 일을 못하게 하고, 좋은 일을 하게 하고, 선한 마음으로 자애롭게 돌보며, 배우지 못한 것을 가르쳐 주고, 배운 것을 청정하게 해주고, 천상으로 가는 길을 가르쳐 준다. 장자의 아들이여, 이런 다섯 가지 조건으로 가문의 아들에 의해 섬겨진 위 방향인 사문과 바라문은 이런 다섯 가지 조건으로 가문의 아들을 연민한다. 이렇게 그 위 방향은 보호되고, 안온하게 되고, 두려움이 없게 된다.”
273. 세존께서는 이렇게 말씀하셨다. 선서께서는 이엏게 말씀하신 뒤 다시 게송으로 이렇게 말씀하셨다.
동쪽 방향은 부모, 남쪽 방향은 스승, 서쪽 방향은 자식과 아내, 북쪽 방향은 친구과 사람들
아래 방향은 하인과 고용인들, 위 방향은 사문과 바라문들
재가자는 자신의 가문을 충분하게 하고, 이 방향들을 존중해야 한다.
계를 갖추고, 온화하고, 지성을 갖추고, 겸허하고, 완고하지 않은
현명한 사람은 명성을 얻는다.
흠이 없고 지혜로운 자는 정열적이고 게으르지 않고, 어려움에 처했을 때 흔들리지 않는다.
이런 사람은 명성을 얻는다.
따르게 하여 친구를 만들고, 편견이 없고, 인색하지 않은 사람
인도하는 자, 교육하는 자, 조정하는 자, 이런 사람은 명성을 얻는다.
이 세상에서 베풀고, 사랑스럽게 말하고, 이익이 되도록 행하며,
법답게 함께함을 여기저기서 적절하게 행하면
가고 있는 마차의 바퀴처럼, 이들이 세상에서 따르게 하는 사람들이다.
따르게 하는 이런 사람들이 없으면,
자부심고 존경을 얻을 수 있는 어머니를 위한 아들의 행위도,
아버지를 위한 아들의 행위도 없다.
이들, 현명한 사람들은 따르게 함을 바르게 보기 때문에
그들은 위대함을 얻고, 존경을 받는다.
274. 이렇게 말씀하시자 장자의 아들 싱갈라까는 세존께 이렇게 말씀드렸다.
“경이롭습니다, 세존이시여. 경이롭습니다, 세존이시여. 마치 넘어진 것을 일으켜 세우듯이, 혹은 감추어져 있는 것을 드러내듯이, 아니면 길을 잃고 헤매던 사람에게 길을 가리켜 주시듯, 또는 눈 있는 자 형상을 보라고 어둠 속에서 등불을 가져 오시듯, 세존께서는 여러 가지 방법으로 진리를 밝혀 주셨습니다. 저는 이제 세존께 귀의합니다. 또한 법에 귀의합니다. 또한 그 제자들의 모임인 승가에 귀의합니다. 세존께서는 저를, 오늘부터 목숨이 있는 날까지 귀의한 청신사로 받아 주십시오(세존께서는 저를 오늘부터 살아있는 동안 귀의한 남신자로 받아 주십시오).”
싱갈라 경이 끝났다.
'빠알리어 경전 > 디가 니까야' 카테고리의 다른 글
D33. 합송 경(Saṅgītisuttaṃ) (0) | 2014.04.16 |
---|---|
D32. 아따나띠야 경(Āṭānāṭiyasuttaṃ) (0) | 2014.04.16 |
D30. 삼십이상 경(三十二相經.Lakkhaṇasuttaṃ) (0) | 2014.04.15 |
D29. 정신 경(淨信 經)(pasadikasuttaṃ) (0) | 2014.04.15 |
D28. 믿음을 가지게 하는 경(Sampasadaniyasuttaṃ) (0) | 2014.04.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