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역 아함경/중아함경

013. 도경(度經)

실론섬 2015. 5. 10. 17:56

도경(度經) 제 3 [초 1일송]


나는 이와 같이 들었다.

어느 때 부처님께서 사위국을 유행하실 적에 승림급고독원(勝林給孤獨園)에 계셨다. 

그때 세존께서는 여러 비구들에게 말씀하셨다.

 

"3도처(度處)가 있으니, 성(姓)이 다르고 이름이 다르며, 종지[宗]도 다르고 교설[說]도 다르다. 이른바 지혜 있는 자가 잘 받아 꼭 지니고 남을 위해서 설법하지만 아무런 이익도 얻지 못한다. 


어떤 것이 세 가지인가? 

어떤 사문 범지는 '사람이 하는 일은 일체가 다 전생[宿命]에 지은 것을 원인으로 한다'는 견해를 내어 이와 같이 말한다. 

또 어떤 사문 범지는 '사람이 하는 일은 일체가 다 존우(尊祐: 造物主)의 지음을 원인으로 한다'는 견해를 내어 이와 같이 말한다. 

또 어떤 사문 범지는 '사람이 하는 일은 일체가 다 인(因)도 없고 연(緣)도 없다'는 견해를 내어 이와 같이 말한다.

  

그 중에서 만일 어떤 사문 범지가 '사람이 하는 일은 일체가 다 전생[宿命]에 지은 것을 원인으로 한다'고 하면서, 그렇게 보고 그렇게 말하다면 나는 곧 그에게 가서 '여러분, 진실로 사람이 하는 일은 일체가 다 전생에 지은 것을 원인으로 한다고 그렇게 보고 그렇게 말하는 것인가?'라고 물을 것이다. 그래서 그들이 '그렇다'고 대답한다면, 나는 다시 그들에게 '만일 그렇다면 여러분들은 다 살생자가 될 것이다. 왜냐 하면 일체는 다 전생에 지은 것을 원인으로 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아서 여러분은 다 주지 않는 것을 가지며, 삿된 음행을 하고 거짓말하며 나아가 삿된 견해를 가진 사람이 될 것이다. 왜냐 하면 일체는 다 전생에 지은 것을 원인으로 하기 때문이다. 여러분이 만일 일체는 다 전생에 지은 것을 원인으로 한다고 진정 그렇게 본다면 내인(內因) 안에서 해야 할 일과 하지 않아야 할 일에 대해 전혀 욕망도 없고 노력할 것도 없을 것이다. 여러분이 만일 해야 할 일과 하지 않아야 할 일에 대해서 진실되게 알지 못하면 곧 바른 생각을 잃고 바른 지혜도 없으리니, 그러면 가르칠 수도 없을 것이다'라고 말할 것이다. 만일 사문의 법대로 그와 같이 말한다면 곧 이치로써 그 사문 범지들을 항복시킬 수 있을 것이다.

  

그 중에서 만일 어떤 사문 범지가 '사람이 하는 일은 일체가 다 존우(尊祐 : 조물주)의 지음을 원인으로 한다'고 하면서 그렇게 보고 그렇게 말한다면, 나는 곧 그에게 가서 '여러분, 진실로 사람이 하는 일은 일체가 다 존우의 지음을 원인으로 한다고 그렇게 보고 그렇게 말하는 것인가?'라고 물을 것이다. 그래서 그들이 '그렇다'고 대답한다면, 나는 다시 그들에게 '만일 그렇다면 여러분들은 모두 살생자가 될 것이다. 왜냐 하면 일체는 다 존우의 지음을 원인으로 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아서 여러분은 다 주지 않는 것을 가지며, 삿된 음행을 하고 거짓말하며 나아가 삿된 견해를 가진 사람이 될 것이다. 왜냐 하면 일체는 다 존우의 지음을 원인으로 하기 때문이다. 여러분이 만일 일체는 다 존우의 지음을 원인으로 한다고 진정 그렇게 본다면 내인(內因) 안에서 해야 할 일과 하지 않아야 할 일에 대해 전혀 욕망도 없고 노력할 것도 없을 것이다. 여러분이 만일 해야 할 일과 하지 않아야 할 일에 대해서 진실되게 알지 못하면 곧 바른 생각을 잃고, 바른 지혜도 없으리니, 그러면 가르칠 수도 없을 것이다'라고 말할 것이다. 만일 사문의 법대로 그와 같이 말한다면 곧 이치로써 그 사문 범지들을 항복시킬 수 있을 것이다.

  

그 중에서 만일 어떤 사문 범지가 '사람이 하는 일은 일체가 다 인(因)도 없고 연(緣)도 없는 것이다'라고 하면서 그렇게 보고 그렇게 말한다면, 나는 곧 그에게 가서 '여러분, 진실로 사람이 하는 일은 일체가 다 인(因)도 없고 연(緣)도 없다고 그렇게 보고 그렇게 말하는가?'라고 물을 것이다. 그래서 그들이 '그렇다'고 대답한다면, 나는 다시 그들에게 '만일 그렇다면 여러분들은 모두 살생자가 될 것이다. 왜냐 하면 일체는 다 인도 없고 연도 없다고 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아서 여러분은 다 주지 않는 것을 가지며 삿된 음행을 하고 거짓말하며 나아가 삿된 견해를 가진 사람이 될 것이다. 왜냐 하면 일체는 다 인도 없고 연도 없다고 하기 때문이다. 여러분이 만일 일체는 다 인도 없고 연도 없다고 진정 그렇게 본다면 내인(內因) 안에서 해야 할 일과 하지 않아야 할 일에 대해 전혀 욕망도 없고 노력할 것도 없을 것이다. 여러분이 만일 해야 할 일과 하지 않아야 할 일에 대해서 진실 되게 알지 못하면 곧 바른 생각을 잃고 바른 지혜도 없으리니, 그러면 가르칠 수도 없을 것이다. 


만일 사문의 법대로 그렇게 말한다면 곧 이치로써 그 사문 범지들을 항복시킬 수 있을 것이다. 내가 스스로 알고 스스로 깨달은 법을 너를 위해 설명한다면, 사문(沙門) 범지(梵志)나 혹은 하늘[天] 악마[魔] 범(梵), 그리고 그 밖의 세간은 아무도 항복받지 못하고, 아무도 더럽히지 못하며, 아무도 제어하지 못할 것이다. 내가 스스로 알고 스스로 깨달은 법을 너를 위해 설명한다면, 사문 범지나 혹은 하늘 악마 범, 그리고 그 밖의 세간은 아무도 능히 항복받거나, 능히 더럽히거나, 능히 제어하지 못한다는 것은 무슨 뜻인가? 


이른바 6처법(處法)이 있다. 그것은 내가 스스로 알고 스스로 깨달은 것으로서 너를 위해 설명한다면, 사문 범지나 혹은 하늘 악마 범과 그 밖의 세간은 아무도 능히 항복받거나 더럽히거나 능히 제어하지 못할 것이다. 또 6계법(界法)이 있다. 그것은 내가 스스로 알고 스스로 깨달은 것으로서 너를 위해 설명한다면, 사문 범지나 혹은 하늘 악마 범과 그 밖의 세간은 아무도 능히 항복받거나 능히 더럽히거나 능히 제어하지 못할 것이다. 어떤 것이 6처법으로서 내가 스스로 알고 스스로 깨달아 너를 위해 설명하는 것인가? 


이른바 안처(眼處) 이처(耳處) 비처(鼻處) 설처(舌處) 신처(身處) 의처(意處)가 그것이다. 이것을 6처법으로서 내가 스스로 알고 스스로 깨달아 너를 위해 설명하는 것이라 한다. 어떤 것이 6계법(界法)으로서 내가 스스로 알고 스스로 깨달아 너를 위해 설명하는 것인가? 이른바 지계(地界) 수계(水界) 화계(火界) 풍계(風界) 공계(空界) 식계(識界)가 그것이다. 이것을 6계법으로서 내가 스스로 알고 스스로 깨달아 너를 위해 설명하는 것이라 한다.

  

6계(界)가 합함으로써 곧 어머니의 태에 나고, 6계로 인하여 곧 6처(處)가 있으며, 6처로 인하여 곧 갱락(更樂 : 觸)이 있고, 갱락으로 인하여 문득 감각[覺]이 있다. 비구들아, 만일 감각이 있으면 문득 괴로움에 대하여 사실 그대로 알고, 괴로움의 발생[習]을 알며, 괴로움의 소멸[滅]을 알고 괴로움의 소멸에 이르는 길에 대하여 사실 그대로 안다. 


어떤 것이 괴로움에 대하여 사실 그대로 아는 것인가? 

이른바 태어남의 괴로움 늙음의 괴로움 병듦의 괴로움 죽음의 괴로움 원수를 만나는 괴로움 사랑하는 사람과 이별하는 괴로움 구하는 것을 얻지 못하는 괴로움이며, 생략하여 5음(陰)이 왕성해서 생기는 괴로움이다. 이것을 괴로움에 대하여 사실 그대로 아는 것이라 한다. 어떤 것이 괴로움의 발생에 대하여 사실 그대로 아는 것인가? 이른바 이 애(愛)의 감수작용과 미래 세계의 존재에 대한 낙욕(樂欲)이 함께 어우러져 여기저기에 태어나기를 구한다. 이것을 괴로움의 발생에 대하여 사실 그대로 아는 것이라 한다. 


어떤 것이 괴로움의 소멸에 대하여 사실 그대로 아는 것인가? 

이른바 이 애(愛)의 감수작용과 미래 세계의 존재에 대한 낙욕이 함께 어우러져 여기저기에 태어나기를 구하는 것을 남김 없이 끊어 버리고 토하여 다하고 욕심이 없으며 멸하여 그치고 다 없어지기를 구한다. 이것을 괴로움의 소멸에 대하여 사실 그대로 아는 것이라 한다. 


어떤 것이 괴로움의 소멸에 이르는 길에 대하여 사실 그대로 아는 것인가? 

이른바 8정도[支聖道]로서, 바른 견해[正見]에서부터 바른 선정[正定]에 이르기까지를 말하는 것이니, 이것이 여덟 가지이다. 이것을 괴로움의 소멸에 이르는 길에 대하여 사실 그대로 아는 것이라고 한다.

  

비구는 마땅히 괴로움에 대하여 사실 그대로 알아야 하고, 마땅히 괴로움의 발생을 끊어야 하며, 괴로움의 소멸을 증득하여야 하고, 괴로움의 소멸에 이르는 길을 닦아야 한다. 만일 비구가 괴로움에 대하여 사실 그대로 알고 괴로움의 발생을 끊으며, 괴로움의 소멸을 증득하고 괴로움의 소멸에 이르는 길을 닦으면, 이것이 비구가 일체의 번뇌[漏]가 다하고 모든 결(結 : 번뇌의 일종)이 이미 풀려, 능히 바른 지혜로써 괴로움의 끝을 얻었다고 하는 것이다."

  

부처님께서 이렇게 말씀하시자, 모든 비구들은 부처님 말씀을 듣고 기뻐하며 받들어 행하였다.



'한역 아함경 > 중아함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015. 사경(思經)   (0) 2015.05.10
014. 라운경(羅云經)  (0) 2015.05.10
012. 화파경(破經)   (0) 2015.05.10
제3권 - 업상응품(業相應品) - 011. 염유경(鹽喩經)  (0) 2015.05.10
010. 누진경(漏盡經)  (0) 2015.05.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