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오심요

원오심요(41-80)

실론섬 2015. 8. 24. 17:11


 

원오선사의 혀 무덤으로 알려져 있음

 

 

41. 용도자(湧道者)에게 주는 글

 

옛사람은 이 큰법을 위해 신명을 버리고 한량없는 괴로움을 겪었다. 그리하여 깊은 종지를 환하게 밝히고서는 지극한 보배처럼 소중히 여겼으며, 눈동자처럼 보호하였다. 엉겁결에도 경솔하게 행동하지 않았으며, 털끝만큼이라도 수승하다는 생각이 일어났다 하면 마치 맑은 하늘에 구름이 낀 듯 여겼다.

 

그러므로 조주스님은 "내가 남방에 삼십년 동안 있으면서 죽 먹고 밥 먹는 두 때는 제외하니, 두 때는 마음을 잡되게 쓴 곳이니라"고 하였던 것이다. 그런가 하면 조산(曹山)스님은  보임(保任)하는 것을 납자들에게 지도하기를 "독충이 사는 곳을 지나듯 물 한 방울조차 적시지 않아야만 한다"고 하였다.

 

마음도 잊고 마음의 작용[照]도 끊김으로 실천을 삼아서, 여여하고 실다운 경계에 다다르니, 마음에 일삼을 것이 없다. 마음에 일삼을 것이 없으므로 평온하고 고요하여 함이 없이 초연하게 홀로 움직인다.

 

스스로 실제의 경지를 밟고 나야만 다른 사람의 결박을 풀어 주고 모든 사람을 다 제도하리라. 그러나 실제로는 제도한 사람이 없는 것이니, 반드시 최후의 구절을 얻어야만 두두물물(頭頭物物) 모든 곳에서 몸을 벗어날 경지가 있게 되리라.

 

42. 실상인(實上人)에게 주는 글

 

옛사람은 이 큰 일을 생각하여 심산유곡에 있으나 그것에 잠시도 어긋나지 않았다. 바깥 경계와 인연을 만나면 물질[色]이든 소리[聲]든 행동이든 베풂이든 그것을 모두 자기의 본분으로 되돌렸으니, 투철히 깨달은 옛사람과 행적이 전혀 다르지 않았다.

 

그래서 근본이 견고하여 경계의 바람을 따라 움직이지 않았다. 고요하고도 편안하여 성인이니 범부니 하는 알음알이에 떨어지지 않고 곧바로 완전하게 쉬어서, 자기 자리를 얻고 옷을 입었다.

 

지금 그대는 고향으로 돌아갔으니, 옛사람이 빈 틈 없이 간파해버리듯 할 수만 있다면 종산(鐘山) 방장스님이 백추를 치고 불자를 든 일과 나아가 세 가닥 서까래 아래 일곱 자 떨어진 단(單) 앞에서 정진하는 일에까지 무엇이 다르랴.

 

만일 조금이라도 어긋남이나 끊어짐이 있으면 전혀 관계없는 곳에 들어간다. 갈림길에 임하게 되거든 부디 이 말을 기억하고, 뒷날 앞길에서 거꾸로 헤아리지 말아라.

 

43. 추선인(樞禪人)에게 주는 글

 

현묘함을 배우는 사람이 본성을 보고 이치를 깨달아 부처의 계단을 밟는 것은 일상의 다반사이다. 모름지기 불조의 정수리 위에 환골탈태시킬 만한 오묘한 이치가 있는 줄을 알아야만 격식과 종지를 초월하여 향상인의 행동거지를 행하며, 덕산스님과 임제스님이라도 작용을 베풀 곳이 없게 한다.

 

평소에 무심한 경지만을 지킬 뿐이니, 애초부터 재주를 부리지 않아 흡사 무식한 촌사람 같다. 그렇기만 하면 바로 모든 하늘이 꽃을 받치려 해도 길이 없고 마군 외도가 가만히 엿보려 해도 볼 수가 없다. 넓고도 넓어서 털끝만큼의 모서리도 노출되지 않으며, 마치 억만의 보배더미 속에 있으면서 굳게 닫힌 듯하다.

 

또한 얼굴에는 흙 바르고 머리에는 재를 쓰면서, 미천한 사람들과 함께 섞여 살면서 입으로는 말하지 않고 마음으로는 생각하지 않아, 세상 사람들이 헤아릴 수는 없으나 신의(神意)는 태연하였다. 이것이 어찌 도가 있어 함이 없고 조작 없는, 진정으로 하릴없는 사람이 아니랴!

 

말을 이해하는 것은 혀에 달려 있지 않고 말을 잘하는 것은 언사에 있지 않으니, 옛사람이 혀끝으로 한 말은 의지할 곳이 못된다는 점을 분명히 알아야 한다. 그러니 옛사람이 한두 마디 한 것은 그 의도가 사람들로 하여금 곧바로 본래의 일대사인연을 깨닫게 하려는 데 있었을 뿐이다.

 

그렇기 때문에 경전의 가르침은 달을 가리키는 손가락에 불과하고 조사의 말씀은 문을 두드리는 기왓조각인 것이다. 이러한 사실을 알면 그대로 쉬어서 행리처가 면밀하고 수용처가 관통하리라. 이렇게 오래하다 보면 흔들리거나 바뀌지 않아서 염법(拈法) 농법(弄法)과 거두고 놓아줌에 익숙하게 된다. 소소한 경계까지도 모두 다 관조하여 끊어버리며 어떠한 조짐이나 흔적도 남기지 않는다.

 

생사의 순간에 이르러서는 물소 뿔에 달그림자가 새겨지듯하여 서로가 섞이지 않는다. 조용히 움직이지 않은 채 홀연히 벗어나버리니, 이것이 바로 섣달그믐 열반당(涅槃堂) 속의 참선이다.

 

44. 실선노(實禪老)에게 주는 글

 

위음왕불(威音王佛) 이전에는 스승 없이 스스로 깨달았다. 한 번에 훌쩍 뛰어 증득하여 모든 성인과 같은 길을 갔다. 그리하여 놓아서 행하게 하고 잡아서 머물게 하며, 지어서 주인이 되게 하여 전체가 그대로 이루어지니, 단련하지 않더라도 저절로 완전하게 익었다.

 

그런가 하면 위음왕불 이후에는 비록 자기에게 높이 초월한 곳이 있어 곧바로 알아차려 의심 없는 경지에 이르렀다 해도, 반드시 스승을 의지하여 결택해서 인가를 받아 법기(法器)가 되도록 해야만 한다. 그렇지 않으면 반드시 마군의 재앙이 있어 정인(正因)이 파괴되리라.

 

그러므로 조사가 계신 이래로 스승 제자 간에 전함에 있어서는 스승의 법을 가장 귀하게 여겼던 것이다. 그런데 하물며 이 일은 세간의 지혜나 변론 및 총명으로 알 수 있는 것이 아니며, 견문각지에 구애될 것이 아니다. 참으로 용맹한 대장부의 뜻과 기상을 지니지 못했다면 진정으로 좋은 벗과 선지식을 만나서 생사의 흐름을 끊고 무명의 껍데기를 부술 수 있으랴.

 

자주자주 참당하여 묻고 오래도록 한결같이 하다 보면 시절 인연이 익어 단박에 통 밑이 빠진 듯 확연하게 깨달으리라. 그런 뒤에 정성을 다해 결탁하여 증거를 받으면 자연히 마치 흐르는 물을 따라 내려가는 배에서 노 젓는 수고를 하지 않는 것과 같이, 또한 바늘과 겨자씨가 서로 투합하듯 하리라.

 

이미 종지를 체득한 뒤엔 면면히 지니고 계속 끊임이 없게 하여 성태(聖胎)를 길러야 한다. 설사 나쁜 인연이나 경계를 만난다 해도 바른 지견에서 나오는 선정의 힘[定力]으로 이를 원융하게 섭수하여 한 덩이를 이룬다면 생사의 큰 변고라 할지라도 움직이기엔 부족하다. 자기의 가슴 속에 오래도록 길러가다 보면 함이 없고 하릴없는 큰 해탈인이 되는 것이니, 이 어찌 할 일을 끝내고 수행하는 일을 모두 마쳤다고 하지 않겠는가!

 

45. 영상인(瑛上人)에게 주는 글

 

이 일은 당사자의 예리함에 달려 있으니, 이미 알아차려 짐을 걸머졌으면 자기의 근본이 있음을 알고 더욱 우뚝 서서 홀로 행해야만 한다. 모름지기 알음알이를 끊고 작용[照]을 떠나 확연히 텅 비고 고요하게 해서 한 법도 얻을 만한 게 없어야만 하며, 모든 인연을 끊어버리고 쇄쇄낙락하여 완전히 안온한 경지에 도달하여 물샐 틈 없이 면밀하게 해야 한다.

 

이른바 만길 절벽에 서 있는 듯 높고 우뚝한 경지인 것이니, 그런 뒤에 다시 돌아와서 속세에 뛰어들어 중생을 제접해야 한다. 애초에 나라는 생각[我相]이 없는데, 어찌 성색(聲色)에 맞고 거슬리는 경계와 마군이니 부처니 하는 경계가 있으랴!

 

가장 곤란한 일은 등한하게 아무 뜻도 없이 있던 자리에서 갑자기 끌려들어가 휘둘리는 것이니, 그러면 곧 허물을 짓는 것이다. 반드시 끊임없이 지켜서 조작으로 치달리지 말게 해야 한다. 그러기를 오래하면 한 덩어리를 이루어 쉴 곳이 되리라. 그런 뒤에 다시 향상의 행리를 알아야 하니, 옛사람은 말하기를, "자리에 앉아 옷을 입은 다음에, 스스로 살펴보라"고 하였다.

 

46. 천상인(泉上人)에게 주는 글

 

법을 묻는 데는 본성을 보아 이치를 깨닫는 것이 필요하다. 알음알이를 잊고 작용[照]을 끊어 가슴을 깨끗이 해야 하니, 마치 어리석고 우둔한 듯 잘잘못을 따지지 말고 우열을 다투지 말아야한다. 조금이라도 맞서거나 거슬림이 있으면 다 끊어버려 이어지지 않도록 해야 한다. 그러기를 오래하면 자연히 함이 없고 하릴없는 경지에 이르리라.

 

그러나 털끝만큼이라도 일부러 함이 없게 하려 하면 벌써 일이 생겨 버린다. 파도 하나가 움직이면 모든 파도가 따라서 움직이는데, 어찌 끝날 기약이 있으랴. 바로 이럴 때 죽음이 찾아와 손발을 허둥대는 까닭은 씻은 듯 말숙하게 벗어버리지 못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이것만은 확실히 하면 자연히 시끄러움 속에서도 물같이 고요하리니, 어찌 자기 일을 결판내지 못할까 근심하랴.

 

"시비가 있기만 하면 어지러이 마음을 잃으리라"고 한 이 한 구절은 많은 사람들을 놀라게 하여 이런저런 생각을 내게 하였다. 만일 애초에 끊어버린다면 위음왕불 저쪽으로 훌쩍 벗어날 것이요, 이 말에 끄달려 간다면 정말로 어지러워지리라. 반드시 스스로 회광반조(回光返照) 해야만 하리라.

 

여래선(如來禪)과 조사선(祖師禪)이 어찌 두 가지랴. 어리석음을 면치 못하여, 각자 검고 흰 것을 나누어 크게 어긋나버린 것이다. 사리(事理)의 기봉(機鋒)을 일시에 끊어버림이 바로 정결한 공을 치는 것이다. 확실한 곳을 알았느냐! 놓아버리고 보도록 하라.

 

47. 사선인(思禪人)에게 주는 글

 

일체 만법은 모두 자기에게 위배됨이 없어 곧바로 투철히 벗어나 한 덩어리를 이루니, 시작 없는 때로부터 다만 이러할 뿐이다. 단지 당사자가 스스로 위배할까 걱정일 뿐이다. 억지로 취사하는 마음을 내면 하릴없는 데서 일을 만들어 그 결과 쾌활하지 못하다.

 

그러나 만약 밖으로 반연을 끊고 안으로 자기라는 견해를 잊을 수 있다면 외물이 그대로 나이며, 내가 그대로 외물이다. 사물과 내가 하나여서 탁 트여 경계[際]가 없어지면 하루 종일 무엇을 하든지 간에 모두가 만 길 절벽에 서 있는 듯 하리라. 그러니 어느 곳에 허다한 수고로움이 있으랴.

 

구참들을 볼 때마다 그들은 정신을 응집하고 관조를 맑게 한지가 오래되어, 비록 어떤 들어갈 곳이 있긴 해도 문득 한 기틀 한 경계를 단단히 부여잡고 뽑아내주는 것을 받아들이지 않으니, 이게 바로 큰 병통이다. 요컨대 녹이고 놓아버려 스스로 크게 쉴 곳을 얻어야만 옳으리라.

 

48. 걸상인(傑上人)에게 주는 글

 

그대는 행각하고 참문(參問) 청익(請益)하여 이미 선지식에 의지하였고, 대총림(大叢林)에서 청아하고 고상한 대중에 참례한지가 오래 되었다. 어느 날 아침에 부모의 인연 때문에 꼭 잠깐 되돌아가지만 움직였다 하면 수백 리 먼 길을 가야 한다.

 

그러니 모름지기 자기의 역량을 따라 실천할 것을 잊지 말고, 가는 곳마다 티끌이 나지 못하게 해야 하리라. 더구나 이 하나의 일은, 선지식의 주변에 살 때는 있다가 고향에 거처할 때는 문득 없어진다고 하지 말아야 하리라. 이른바 잠시라도 도에 생각이 떠나면 죽은 사람과 같다고 하는 것이다.

 

그렇다고 생각이 도에 있을 때라 해도 그림을 본 뜨는 시늉이나 내서는 안 된다. 비록 평상(平常)이라 해도 단절 없이 빼어나게 정식(情識)을 끊어 함이 없고 하릴없고 무심한 사업을 이루어야 한다. 겉과 속이 툭 트여 경계가 없고 만법과도 서로 짝이 되지 않으며, 모든 성인과도 길을 함께 하지 않아야 한다.

 

뿌리를 깊이 박고 줄기를 단단히 하여 다만 한가하게 길러가고 길러오면 철저히 깨닫지 못할까를 근심하지 않아도 된다. 그저 범부의 망정을 다하여 자기의 공부를 할 뿐, 외연을 관계하지 말며, 명예와 이익을 쫓아 아견(我見)을 일으켜 승부를 다투지도 말아라.

 

그러므로 옛사람은 말하기를, "임운 등등하여 마치 어리석은 사람처럼 해야 한다"고 하였는데, 그분들은 스스로 남들을 틔워주는 사랑이 있었던 것이다. 걸선인이 갑자기 찾아와 고향으로 떠나려 하면서 경책을 구하므로, 이 말을 적어주노라.

 

49. 성수조(成修造)에게 주는 글

 

나의 문하엔 설명할 선(禪)도 없으며, 전수할 도도 없다. 비록 5백 명의 납자가 모이긴 했으나 오로지 금강권 율극봉만을 들 뿐이니, 뛸 자는 힘껏 뛰고 삼킬 자는 뜻을 다해 삼키라. 아무 맛이 없다거나 몹시 험하다고 해서 괴이하게 여기지 말라. 만일 단박에 체득하기만 하면 마치 비단 옷 입고 고향으로 되돌아가니 천만 사람의 선망을 받듯 하리라.

 

요컨대 그가 어디서부터 오는지를 찾지 못하는 점이니, 이른바 사람마다 있는 본분사라고 한 것이 바로 그것이다. 조금이라도 마음을 내고 생각을 움직여 알아차렸다고 하면 벌써 본분이 아니다.

 

곧바로 모든 틀을 쉬어버려 모든 성인들과도 함께 하지 않는다 하더라도, 기특함에 의지함이 있으니 어찌하랴! 모름지기 뿌리치고 저쪽 편으로 투철히 벗어나야만 하리라. 때문에 말하기를 "털끝만큼이라도 있으면 바로 티끌이며 뜻[意]을 일으켰다 하면 그대로 마군에게 휘둘리리라"고 하였던 것이다.

 

모든 것이 그로 말미암아 성취되고 일체가 파괴되는 것도 오직 그로 말미암는다. 기특하고 수승함이 항하사처럼 많은 공덕장에서 연유하고, 한량없이 오묘한 장엄과 세간을 초월한 희유한 일들이 모두 그것에서 성취되는 것이다. 그런가 하면 간탐과 증오, 질투, 헤아림, 집착, 유위(有爲)와 유루(有漏), 물듦과 잡됨, 알음알이와 명상(名相) 및 지견(知見)과 망정이 모두 그것으로 인해 파괴되는 것이다.

 

오직 그만이 일체의 사물을 움직이게 할 뿐 일체의 사물은 그를 움직이지 못한다. 비록 형체나 겉모습은 없으나 10허(十虛)를 둘러싸고 범부와 성인을 모두 그 속에서 기른다. 그러나 만약 이를 모양을 지어 취한다면 바로 견해의 가시에 떨어져 끝내 어찌해 볼 수가 없으리라.

 

모든 부처님께서 열어 보여주시고 조사께서 곧바로 지적하신 것은 오로지 이 오묘한 마음이니, 곧 알아차려서 한 생각도 일으키지 않으면 처음부터 끝까지 있는 그대로 나타난다. 있는 그대로의 순간에 마음에 힘을 들이지 않고 자유롭게 소요하여 취하거나 버림이 전혀 없어야만 그것이 진실한 밀인(密印)이다.

 

이 밀인을 옆에 차고 마치 어둠 속에서 등불을 든 것처럼 세간에 유희하면서 기쁨과 두려움을 품지 않으면, 어디나 나의 큰 해탈마당이다. 영겁토록 한 번도 끊어진 적이 없으니, 때문에 말하기를, 장육금신으로 한 줄기 풀을 만들어 쓰기도 하고 한 줄기 풀로 "장육금신을 만들어 쓰기도 한다" 하였으니, 어찌 다른 것이 있겠느냐.

 

설봉(雪峰)스님은 "이것이 무엇이냐?" 하였고, 운문(雲門)스님은 "수미산이다" 하였으며, 동산(洞山守初)스님은 "삼 서 근(麻三斤)이다" 하였고, 조주스님은 "차나 마시게" 하였다. 암두(巖頭)스님은 "허허(噓)"하였으며, 투자(投子)스님은 "악( )" 하였고, 임제스님은 "할" 하였으며, 덕산스님은 몽둥이로 때렸다. 주장자를 높이 쳐들고 손가락을 들며, 북을 치고 연자방아를 돌리는 이 낱낱이 향상의 종풍을 나타내고 사물마다에서 본분의 소식을 보인 것이다.

 

크게 통달한 자라면 한 번 엿보고 곧바로 꿰뚫으며, 한 번 들어주면 귀결점을 알아 종풍을 감당하여 일러 받으리라. 그러나 어리석은 놈은 모래를 세듯 하여 당장에 빗나가버린다. 그러므로 준수한 부류를 만나야만 종자 [種草〕를 삼을 수 있는 것이다.

 

50. 유상인(逾上人)에게 주는 글

 

뜻을 품은 사람이 결정코 이 큰 일에 믿고 들어가려 한다면 모름지기 이제껏 지혜와 총명으로 이해하고 알았던 것을 몽땅 버려야만 한다. 그리하여 마치 어리석은 사람처럼 가슴 속을 허허로이 텅 비우며, 모든 것을 다 몰라서 천 번 쉬고 만 번 쉬어야 한다. 단박에 본지풍광을 좇아 어디에도 얽매이지 않고 투철히 벗어나 앞뒤가 모두 끊겨서, 마치 한 타래의 실을 단박 가지런히 자르듯 철저하게 스스로 깨달아 금강정체에 계합해야 한다.

 

비록 겁화(劫火)가 활활 탄다 해도 애초에 조금도 달라짐이 없으니, 믿어서 다다르고 꽉 붙들어 두며 작용하여 주체가 되어, 하나를 하면 모든 것을 하고 하나를 알면 모든 것을 알게 되어야 한다. 잠깐 동안에 몸을 옮기고 걸음을 옮기는 등의 모든 행위가 완전히 하나의 바탕으로 귀결하는데, 다시 무슨 세간법과 불법을 말하랴.

 

두두물물(頭頭物物) 부딪치는 곳마다 있는 그대로여서 바로 불조(佛祖)와 다름이 없으며, 뭇 생령들과도 차이가 없다. 왜냐하면 근본이 이미 밝아서 밝히지 못할 어둠이 없기 때문이니, 손 가는 대로 집어내 오고, 발걸음 가는 대로 가며, 입에서 나오는 대로 말하여도 원래 그가 아니며, 그렇다고 다른 곳을 따라서 움직이는 것도 아니다. 이를 두고 "크게 베푸는 문을 연다"고 한다.

 

갖가지 오묘한 작용을 종횡으로 하면서 처음부터 끝까지 꿰뚫는다. 불성을 분명히 증득하여 긴 시간 끊임없이 해야 하리라. 한 번 체득하면 영원히 체득하여 실천이 순숙하였으니, 어찌 요점을 살펴서 힘을 얻은 곳이 아니랴. 이처럼 믿고 들어가기만 한다면 분명히 남을 가르치지는 않으리라.

 

어떤 스님이 설봉스님에게 물었다.

"저는 이제 막 총림에 들어왔습니다. 스님께서 들어갈 곳을 지시해 주시기 바랍니다."

그러자 설봉스님이 말하였다.

"잠깐 티끌처럼 몸을 부숴버릴 수만 있다면 결코 스님의 눈을 멀게 하진 않겠다."

 

자, 옛사람이 이처럼 했던 의도는 어느 곳에 있겠느냐? 가령 참구하는데 있는 것이라면, 회피할 수 없어서 모름지기 들어갈 길이 분명코 있다 하리라. 다만 그저 말이나 따라가고 의미만을 좇는다면 적지 않게 빗나가리라. 나도 벌써 눈썹을 아끼지 않느니라.

 

어떤 스님이 석두(石頭)스님에게 물었다.

"어떤 것이 도입니까?"

석두스님은 말하였다.

"나무토막이지."

다시 "어떤 것이 선(禪)입니까?" 하고 묻자 석두스님은 말하였다.

"푸른 벽돌이다."

 

기괴하도다, 옛사람은 이처럼 유난히도 단도직입적이어서 겨를도 없었음이여! 이를 두고 이른바 "매우 적실하고 가까워서 지견(智見)이 있어 충분히 계교를 부릴 사람이라도 마치 은산철벽에 가로막힌 듯하다"고 한 것이다.

 

그렇지 않으면 입에 붙은 말을 종승(宗乘)으로 오인하여 더더욱 멀게 된다. 그러므로 진실한 도인은 순박함에 힘쓸 뿐, 지견을 내지 않고 곧바로 알아차린다. 그러나 이렇게 설명하는 것도 벌써 흙 위에 진흙을 수백 겹이나 더하는 격이니, 나에게 석두스님의 본분스님의 본분소식을 되돌려주는 것만 못하다.

 

삼조(三祖)스님께서도 말하기를, "급히 상응하려느냐. 다만 불이(不二)라고 할 뿐이다"라고 하였는데, 나 같으면 "불이(不二)라고 해도 벌써 둘이 되어 버렸다"라고 하리라. 참구하라.

 

조주스님이 노파를 감파해 버린데 대해 총림에서는 천만 가지로 의론하면서 수많은 견해를 짓는다. 이야말로 저들 고인이 자재로이 깨끗한 곳에 서서 그대들이 진흙구덩이 속에서 출몰하는 것을 보고 있다는 사실을 전혀 모른다 하리라.

 

마조스님께서 말하기를, "그대가 한 입에 서강(西江)의 물을 모두 마신 뒤에야 비로소 그대에게 말해 주리라" 하였다. 진실로 이 어른은 천하 사람을 밟아 버렸다 하리니, 무심하게 꺼낸 한마디 말이 문득 무한한 지견을 짓게 하였다. 이 늙은이의 까다로운 언구[葛藤]를 끊어버릴 줄 아는 사람이 있다면, 곧바로 참구를 그만두라고 청하리라.

 

51. 정선인(淨禪人)에게 주는 글

 

정도인(淨道人)이 입실했을 때 의심하던 것에 대해 마침내 묻기를, "이 일은 무엇 때문에 종사들이 이쪽저쪽을 사람에게 많이 제시합니까?"하였다. 이 말을 살피건대, 본분에 의거하여 끊는다면 어찌 군더더기가 있으랴.

 

그러나 방편을 드리우는 쪽에서는 들어갈 길을 찾는 것을 귀하게 여긴 것이니, 애써 나누기는 했으나 뜻은 실제로 두 종류가 아니다. 그대는 듣지도 못했느냐. 어떤 스님이 조산(曹山) 스님에게 묻기를, "옛사람은 저쪽 사람[那邊人]을 이끌어주었는데, 학인이 어떻게 나아가야할지 가르쳐 주십시오"라 하였다. 조산스님은 말하기를 "뒤로 물러나 자기에게로 나아가라. 그러면 만에 하나도 잃지 않으리라"라고 하자, 그 스님은 깨달은 바가 있었다.

 

이는 이른바 "낚시 바늘 끝의 뜻을 알아차릴지언정 저울 눈금을 잘못 읽지는 말라"한 것이니, 다만 현실[今時]을 극진히 다 하고서 향상(向上)의 일을 알아차리게 하려 하였던 것이다.

 

그런데 현실이란 것을 어떻게 해서 극진히 하여 다다를 수 있을까? 다만 당사자가 정신을 바짝 차려 반연의 티끌을 떨쳐버리는 데 달려 있을 뿐이다. 곧바로 가슴 속을 말끔히 씻어버려, 가는 터럭이라도 남겨 두지 않아 철두철미하게 환히 비워서 고요해야 하니, 빼어난 지식으로 알음알이를 짓는 것을 무엇보다 조심해야 한다.

 

본래면목에 상응하게 되면 자연히 스스로 깨달아 완전히 안온한 경지를 얻을 수 있을 터인데, 어찌 종이 위에다 말로써 설명할 수 있는 것이겠느냐. 스스로 착안해 보도록 하라.

 

52. 견도자(堅道者)에게 주는 글

 

불조의 오묘한 도는 지름길이어서 오직 사람의 마음을 바로 가리켜서 견성성불(見性成佛)에 힘쓸 뿐이다. 이 마음의 근원은 본래 텅 비어서 고요하고 밝고 묘하여 애초부터 털끝만큼의 막힘도 없다. 그러나 망상의 자애 때문에 가리움이 없는 자리에서 스스로 물듦의 장애를 내, 근본을 위배하고 지말을 쫓으면서 생사윤회를 부질없이 받는 것이다.

 

그러나 만약 큰 근기를 갖추었다면 다시는 밖에서 구하지 않고 자신이 서 있는 자리에서 씻은 듯이 홀로 깨닫는다. 잘못된 깨침의 들뜬 가리움이 사라지고 나면 본래의 바른 견해가 뚜렷하고 오묘하리라. 이를 두고 마음이 그대로 부처[卽心卽佛]라고 말한다. 이렇게 해서 한 번 얻고 나면 영원히 얻어 마치 통 밑이 빠진 듯 활연히 계합하여 한 법도 망정에 해당함이 없으리라.

 

당체를 보아 순수하고 고요하여 수용(受用)함에 의심할 것이 없게 되면 하나를 알 때 모두를 알 것이다. 나아가 "마음도 아니고 부처도 아니다"는 말을 듣는다든지 혹은 같으니 다르니 하는 갖가지 뒤섞인 지견이 있으랴.

 

그러므로 옛사람은 한 기틀, 한 경계, 한 마디 말, 한 번의 침묵에 성의를 다하여 진리에 들어가니 천만 가지 방법이 전혀 차이가 없었던 것이다. 이를 비유하면 백천 갈래 다르게 흘러들어온 물이 큰 바다로 모이는 것과도 같다. 그렇게 되면 자연히 거처가 편안해지고 작용이 투철해져서, 함이 없고 하릴없어 배울 것이 없는 도인이 되리라.

 

하루 종일 다른 마음을 내지 않고 다른 견해를 일으키지 않아, 때 되면 먹고 마시고 옷 입으면서 모든 경계와 인연에서 텅 비어 응결하지 않음이 없다. 비록 천만 년이 지난다 해도 한 털끝만큼도 변하지 않고 이 큰 성전에 처하니, 어찌 불가사의한 큰 해탈이 아니랴.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언제까지나 끊임없이 안·밖·중간이나 유무나 더러움·깨끗함에 떨어지지 말고 당장에 쉬어버려 부처와 중생을 아무 차이 없이 똑같이 보아야만 비로소 안락한 경지를 완전히 이룬 것이다. 그대는 지금 이미 방향을 잡았으니 다만 그것을 오랫동안 길러 익혀야 한다. 백 번 단련한 순금처럼 끊임없이 단련해야 비로소 큰 법기를 이루리라.

 

53. 상선인(尙禪人)에게 주는 글

 

다행히 그 자체로 완전한데 그 밖에 무엇이 특별히 필요하랴. 설사 자비심을 내어 손 가는 대로 집어내 보인다 해도 억지로 군더더기 내는 것을 면치 못하리니, 도리어 이전에 칼끝을 드러내지 않았을 때만 못하리라.

  

지금 이렇게 하는 것도 결국 진창에 뒹구는 격이 적지 아니하니, 무엇보다 그 속에서 알아야만 한다. 잘 알겠느냐! 한 톨의 작은 알갱이 속에 온 세계를 간직하고, 온 천지를 두루하여 시절인연에 응하여 거두도록 하라. 

 

54. 영상인(瑛上人)에게 주는 글

 

도는 본래 말이 없으나 말을 통해야 도가 드러난다. 만일 진실로 도를 체득한 사람이라면 마음을 통달하고 근본을 밝혀서 곧바로 천겹만겹의 땀 냄새 밴 장삼을 벗어버리고 본래의 진정명묘하고 텅 비고 고요하여 담박하고 여여부동하고 진실한 바른 몸을 활연히 깨닫는다.

 

한 생각도 나지 않고 앞뒤가 끊긴 자리에 이르러 본지풍광을 밟아서 다시는 많은 잘못된 깨달음과 지견, 나와 남, 옳고 그름, 사람과 죽음의 더러운 마음이 없다. 밝고 청정함을 드러내어 믿고 사무쳐서 옛사람들과 비교하여 조금도 다름이 없다.

 

무심하여 인위적인 조작이 없고 단단히 고집하지도 않아 허통(虛通)하여 자재롭고 원융하기가 끝이 없다. 시절에 맞게 밥 먹고 입으면서 평상에 계합하니, 이를 두고 '함이 없고 하릴없는 진정한 도인'이라 말한다.

 

이는 근본이 이미 밝아졌기 때문에 6근이 순수하고 고요하여 지혜와 이치가 모두 그윽해지고 경계와 마음(神)이 모두 회합하였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더 깊게 할 그 무엇도 없고 더 이상 오묘하게 할 것도 없게 된다. 나아가 실천하는 데 있어서도 스스로 알아서 두루 융통하니, 이를 두고 "자리에 앉아 옷을 입는다"고 한다.

 

그리하여 이후로는 스스로 살펴서, 결코 언구 속에서 살 길과 옛사람의 공안 사이에 매몰되거나 귀신의 굴속이나 검은 산 속에서 살 궁리를 하지 않는다. 오직 깨달아 들어가 깊이 증득하는 것을 요점 삼으면 자연히 지극히 간단하고 쉬운 평상의 하릴없는 자리에 이르게 된다. 그러나 결코 죽은 듯이 앉아서 도리어 하릴없는 세계 속으로 떨어지지 말아야 한다.

 

그러므로 예부터 작가선지식과 고덕들은 몽둥이질과 할을 행하면서 종지를 세우고 부정과 긍정으로 밝히며, 조(照)와 용(用), 3현3요(三玄三要), 5위편정(五位偏正)을 시설하고, 준엄한 기틀로써 번개 말아 올리듯 하고, 말 이전의 격외도리로써 옆으로 끌고 바로 누르는 이 모든 일들이, 오로지 천만 사람도 붙들어 둘 수 없는 당사자의 활발하고 당당함을 귀하게 여겼을 뿐이었다. 그리하여 향상의 종승이 있는 줄 알게 하여 끝내 지시 설명하여 사람을 결코 구덩이에 매몰시켜버리진 않았다.

 

만약 이런 사람이 있다면 그야말로 쓸 데 없는 짓을 하는 놈으로서, 결코 비분강개한 마음으로 투철히 벗어나 진정한 안목을 갖춘 납자가 아니다. 그러므로 남들이 먹다 남긴 국물이나 쉰밥을 먹으면서 노새 매는 말뚝에 매이지 않아야 한다.

 

이는 종풍을 매몰할 뿐만 아니라 자기 자신도 생사문제를 투철히 벗어나지 못한 것이다. 하물며 나아가 표방이나 격식, 알음알이를 가지고 후학에게 전수해 주는 것이야 말해 무엇하랴. 드디어는 한 봉사가 여러 봉사를 이끌고 함께 불구덩이 속으로 들어가는 격이 되니 어찌 작은 재앙이랴. 나아가 진정한 종풍을 보잘 것 없고 얄팍하게 보이게 하여 부처와 조사의 기강을 땅에 떨어뜨리는데, 어찌 애통하지 않으랴.

 

그러므로 도를 배우려면 우선 올바른 지견을 지닌 스승 문하를 선택하고 그런 뒤에 짐보따리를 내려놓아야만 한다. 세월을 따지지 말고 하는 일을 끊임없이 하여, 들어가기 어려운 고충을 두려워하지 말고 투철하게 참구해나가야 한다.

 

듣지도 못하였느냐. 목주(睦州)스님이 말하기를, "들어갈 곳을 아직 찾지 못했거든 모름지기 들어갈 곳을 찾아야 한다. 만약 들어갈 곳을 찾았다면 노승을 저버리지 말라"고 했던 것을. 오래도록 정성껏 한 뒤에 크게 겸추(鉗鎚)를 거치고 큰 용광로에서 단련해야만 한다. 매일매일 가까워져서 바탕이 은밀해지면 거기서 다시 오래도록 몸에 지녔던 것을 결판내야 한다.

 

여여하게 깨달아 시종 끊임없이 세간법과 불법을 한 덩어리로 만들면 사물마다에 몸을 벗어날 곳이 있어 티끌 인연에 떨어지지 않고 외물에 끄달리지 않는다. 시끄러운 시장의 네거리 속이거나 넓고 넓은 가운데서도 잘 노력해야 한다.

 

오조 노스님께서는 평소에 가장 민첩하고 빠른 길로 학인들을 지도하였다. 매번 제자들에게 법문할 때마다 "물새는 조리니 물새지 않는 나무국자니 대승의 두레박 줄이니 소승의 돈꾸러미니 하고, 혹은 얼굴을 마주하여서 서로 기봉을 드러낼 때는 어떻게 건네주는가. 전좌(典座)여 어떠한 것이 현묘한 종지인가"하고 말했다. 벽 위에 돈을 걸어 놓고 학인들에게 말하였다. "그대들이 가령 이렇게 철저하게 안다면 그대로 참선을 끝내도 되리라"

 

이른바 오직 이 하나의 사실만이 그대로 시뻘건 심장을 굳게 덩어리지어서 한 실낱만큼도 가로막음이 없게 하는 것이다. 만약 진실하게 참구하여 이 경지에 도달할 수 있으면 비로소 강종(綱宗)을 거머쥐고 정법안장을 전수할 수 있으리라.

 

55. 승선인(昇禪人)에게 주는 글

 

참선의 요점은 한결같이 하는데 있으니, 억지로 조작하지 않고 다만 본분을 지켜야 한다. 모름지기 발밑에 투철하게 깨달을 곳이 있으니 본래 면목을 분명하게 보아서 본지풍광을 밟아야 한다. 애초부터 일상 행리처를 조금도 바꾸지 않고 속과 겉이 한결같아 자유롭게 생활한다. 특별난 짓을 하지 않고 보통사람과 조금도 다를 것이 없으니, 이런 사람을 두고 배울 것이 끊겨 함이 없는, 한가하고 고요한 도인이라고 부른다.

 

그리하여 자신이 처한 곳에서 마음의 자취를 드러내지 않으니 설사 모든 하늘들이 꽃을 바치려 해도 길이 없고 마군 외도가 엿보려 해도 보이질 않는다. 이것이 바로 소박 진실하며 착실한 자리이다. 이렇게 오래도록 기르다 보면 세간법과 불법이 한 덩어리 되어 구별 없이 뒤섞여, 힘과 작용이 그대로 이루어져서 생사를 투철히 벗어나는 것이니, 이 어찌 어려운 일이리오.

 

다만 깨달아 들어가는 곳이 진실로 합당하지 못할까만을 염려해야 한다. 가슴 속에 무엇인가가 있으면 그것에 머물러 장애가 되니, 급히 깨닫고자 할진댄 휘돌려야 할 것은 마땅히 휘돌리면 마치 활활 타는 화로에 눈을 떨어뜨리듯 녹을 것이다. 그러면 자연히 툭 트여 고요하여 큰 해탈을 얻으리라.

 

다만 스스로 물러나 살펴보라. 선지식을 가까이 한 지가 오래지 않은 것은 아닌데, 그 때문에 닦아온 경지에 분명하고 확실한 귀결점이 있느냐? 귀결점이 있다면 다시 무엇을 의심하겠는가. 당장 한 생각도 일으키지 않으면 그대로 깨달으리라. 한 곳이 진실하기만 하면 천곳 만곳인들 어찌 그렇지 않겠느냐.

 

조사께서는 오로지 사람들이 견성하기를 바랐고, 모든 부처님들은 그저 다만 사람들에게 마음을 깨치라고 했다. 심성이 참되어 순일 무잡하면 4대 5온과 6근 6진, 나아가 일체의 모든 존재가 모두 자기 신명을 놓아버릴 곳 아닌 데가 없다. 무심하고 호호탕탕하여 마치 해가 두루두루 비추어 허공 끝을 헤아릴 수 없는 것과도 같다. 그러니 어찌 한계 있는 몸과 마음으로 도리어 자신을 구속하고 국한시켜 자유스럽지 못하게 하겠는가.

 

옛 사람은 10년이고 20년이고 오로지 참구하여 뚫으려고만 했고, 한 번 뚫고 나면 그런 뒤에 계책 세울 줄 알았었다. 그러니 요즘이라고 해서 어찌 못하겠느냐. 다만 하려는 생각을 일으키지 않을 뿐이다. 집착을 내지 말며 능력에 따라 인연을 만나면 투철하게 사무치지 못할 것이 없다. 무엇보다도 한결같음과 순일하게 고요함만을 귀하게 여길 뿐이다. 비록 일과 인연에 관계하더라도 바깥대상이 아니니 이를 거두어 자기에게로 귀결한다면 바로 오묘한 작용이 된다.

 

8만의 번뇌가 즉시에 8만의 바라밀로 뒤바뀌어 다시는 따로 선지식을 참례할 필요가 없다. 늘 생활하는 속에서 이루 다 셀 수 없는 불사(佛事)를 이룬다. 또 한량없는 법문을 두루 섭렵하더라도 모두가 자기 가슴 속에서 흘러나오니, 어찌 다른 것이 있으랴. 이른바 백척의 장대 끝에서 한 걸음을 더 내디뎌야 대천사계(大千沙界)에 온몸을 드러낸다는 것이다.

 

56. 민상인(民上人)에게 주는 글

 

도를 배우려면 절실히 한 걸음 물러나 몸소 참구하되 오로지 생사 문제만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세속법은 덧없고 이 몸도 오래 가지 않아서 한 번의 숨이 끊어지면 바로 다른 세상 다른 몸이 되어버린다. 혹시라도 이류(異類)속으로 빠져들면 계속하여 천생만겁을 지나도록 전혀 벗어날 기약이 없다.

 

요행히도 지금 나이가 있으니 잘 노력하여 생각 생각에 목적을 향하고 마음 마음에 변하지 않아 근본을 포착해내서, 한 생각도 일어나지 않고 앞뒤가 끊긴 경지에 도달하면 홀연히 깨달아, 마치 물통 밑이 빠져버린 듯하여 그 기쁨이 생기는 곳이 있을 것이다. 그윽하고 깊숙함을 지극히 하여 본지풍광을 밟고 본래면목을 분명하게 보아 천하 노화상들의 혀끝을 의심하지 않는다.

 

눌러 앉아 꽉 붙들어 두고 무심(無心)·무위(無爲)·무사(無事)로 길러나간다면 하루 종일을 결코 부질없이 보낸 공부가 되지는 않는다. 항상 마음이 사물에 구애되지 않고 걸음마다 일정한 처소가 없는 바로 이것이 일을 모두 마쳐버린 납승인 것이다.

 

명예를 도모하지 않고 이익에 구애받지 않으며 만 길 절벽에 서서 자유롭게 자기를 결판하고 생사문제를 투철하게 벗어난다. 그 나머지는 관계하지 않으며 성색(聲色)에 흔들리지 않고 여러 사람을 놀라게 하지 않으면서 문득 홀로 벗어나니, 육진을 진실로 벗어난 아라한이다. 간절히 믿고 실천해야만 한다.

 

옛날 몽산(蒙山) 땅의 혜명(慧明)도인이 황매산(黃梅山)으로부터 노(盧)노인(6조 혜능스님)을 좇아가 대유령(大庾嶺)에 이르러 따라잡았다. 이윽고 "의발 때문에 온 것이 아니라 법을 위해서 왔을 뿐입니다"라고 말씀드리자, 노행자는 반석에 앉아 마음을 잠잠하게 한 다음에 그에게 말하였다.

 

"그대는 선악을 모두 생각하지 말라. 바로 그러한 때에 한 물건도 생각하지 않은 채로 나에게 명상좌의 본래면목을 가져오너라."

혜명이 그 말에 의지해 생각을 모아서 드디어 깨친 바가 있었다. 이리하여 다시 노행자에게 물었다.

"이것 뿐입니까. 아니면 따로 비밀스런 뜻이 있습니까?"

노행자는 말하였다.

"내가 그대에게 말한다면 비밀이 아니다. 다만 위에서 말한 것을 그대가 알아차린다면 비밀이란 네 쪽에 있을 뿐이다."

 

몽산스님은 이에 확실히 알아 의심이 없었다.

 

여기서 비밀스런 뜻이 바로 밀인(密印)임을 알라. 만약에 내가 보여 준 것을 체득하여 마음자리가 활짝 열린다면, 밀인이 어찌 다른 사람 쪽에 있으랴. 비밀스런 말과 깨침을 나타냄이 모두 찰나에 있으니, 마음을 내어 생각을 일으키면 어찌해볼 도리가 없어진다.

 

57. 심도자(心道者)에게 주는 글

 

조사 이래로 이 하나의 큰 인연을 곧바로 지적하심은 바로 생사를 투철하게 하기 위함이었다. 모름지기 지혜로운 상근기라면 말과 정식을 뛰어넘어 피아(彼我)·고저(高低)·강약(强弱)·영쇠(榮衰) 등 세속 인연을 마음에 두어서는 안된다.

 

곧바로 자기의 근본자리에서 깨달아 본래 청정하고 텅 비고 고요하며 고금에 빛나며 지견(知見)이 아득히 끊긴 본분의 일을 취하도록 해야 한다. 이리하여 문득 홀로 서게 되면 삼라만상도 숨기거나 덮어버리지 못하며, 모든 성인이라 할지라도 견줄려고 하지 못한다.

 

무심하고 호호탕탕하여 한 물건도 생각하지 않고 한 물건도 행위하지 않아서, 자연히 욕구도 없고 의지함도 없이 모든 삼매를 초월하는데, 그밖에 무슨 문호를 세운다느니 차별적인 조작을 한다느니 하겠는가. 그대로 앉은 자리에서 천길 절벽에 선 듯하여 범부에 매이지도 않고 성인에 끄달리지도 말아야만 비로소 일을 마친 납승이라 하리라. 몸과 마음이 마른 나무나 썩은 기둥 같고, 불 꺼진 차가운 재 같아야만 참으로 쉬어버린 것이다.

 

그 때문에 예로부터 생각을 잊고 홀로 체득함을 귀하게 여겼을 뿐이다. 체득하고 난 뒤엔 아견(我見)을 세우지 않고 자신을 뽐내지 않으면서 종횡으로 임운등등하여 바보 같고 우두커니 앉은 사람 같아야만 비로소 함이 없고 하릴없는 도인의 행리처라 할 만하다. 설사 30년, 50년이 지난다 해도 변하지 않으며, 천생만겁에 이른다 해도 그저 여여할 뿐이다.

 

그래서 이른바 오래도록 하는 사람을 가장 얻기 어렵다는 것이다. 한결같이 이처럼 믿고 다달아서 철저히 깨닫는다면 세상을 제도하지 못할까. 번뇌생사의 구덩이에서 벗어나지 못할까를 근심할 것이 없다. 이는 오직 당사자의 모든 6근이 맹렬한가 아닌가에 달려있을 뿐이니, 비로자나 부처님을 뛰어넘고 조사의 대(代)를 초월함도 어렵지 않다. 이것이 참으로 큰 해탈의 문인 것이다.

 

달마조사께서 처음 소림(少林)에 오시어 9년을 면벽하면서 차갑게 앉아 있다가 깊은 눈 속에서 혜가(慧可)조사를 만났다. 체득한 것을 감변(勘辨)하여 증명하기에 이르러서 다만 세 번 절하고 제자리에 가서 서 있을 뿐이었으니, 이것이 어찌 많은 말이 오가야만 되는 것이겠는가. 요컨대 대뜸 알아차려 처음부터 끝까지 실 끝이나 겨자씨만큼도 어김이 없어야만 한다.

 

있는 그대로 완전하여 때려 부술 수도 없고 모든 방편도 도달할 수 없어야 한다. 그런 뒤에 머뭄 없는 근본 속에서 일체를 흘러내며 융통하여 걸림이 없다. 모든 행위가 다 나의 오묘한 작용이며, 곳곳에서 사람들에게 못과 쐐기를 뽑아주어서 그들을 각자 편히 해주니, 어찌 요점을 살핀 것이 아니겠느냐.

 

현사스님이 하루는 사람이 시체를 메고 지나가는 것을 보더니 그것을 가리키며 대중들에게 이르기를 "죽은 놈 네 명이 산 놈 한 명을 메고 간다" 하였다. 만약 망정의 견해를 따른다면 현사스님과 자신이 서로 전도된 것이겠지만, 향상의 진정한 안목으로 견해를 여의고 망정을 초월한 자라면 현사스님의 사람을 위함이 몹시 친절함을 알 수 있으리라. 그러므로 투철히 벗어나려면 반드시 5음 18계(五陰十八界)를 벗어나야만 한다.

 

듣지도 못하였더냐. 옛사람이 했던 말을.

 

흰 구름은 담담히 떠가고

물은 푸른 바다로 흐르도다.

만법은 본래 한가하건만

사람 스스로 시끄럽구나.

白雲淡  水注滄溟

萬法本閑 而人自鬧

 

과연 맞는 말이다. 이런 얘기를 언뜻 듣기만 해도 귀결점을 알아야만 생사를 투철히 벗어나 5음 18계 속에 갇히질 않아서 마치 새가 새장을 벗어난 듯 자유자재하리라. 그 나머지 모든 기용(機用)과 말은 단번에 끊어버려 그대로 쉴 뿐, 다시는 두 번째의 견해에 떨어지지 않는다.

 

58. 조(照)도인에게 주는 글(비구니)

 

불문은 기특하여 지름길로 질러서 초월 증득하니, 반야와 빨리 상응하는 것으로는 선종(禪宗)보다 나은 것이 없다. 이는 여래 최상승 청정선이다. 영산회상에서 꽃을 들어 보이자 금색두타(金色頭陀 : 가섭존자)가 미소를 짓고 석가모니께서 열반묘심인 정법안장을 전한 때로부터 교(敎) 밖에 따로 행하고 외길로 심인(心印)만을 전하였다.

 

그렇게 28대를 거쳐 달마가 서쪽에 와서는 인심(人心)을 곧바로 지적하여 견성성불하게 하였다. 범부나 성인이나 오래 수행했거나 아니거나를 논할 것 없이, 근기가 서로 투합하여 한 생각 투철히 벗어나면 다시는 삼아승지겁의 수행을 빌리지 않고도 곧바로 본래부터 원만하게 이루어진 청정 오묘한 조어장부를 증득한다.

 

그러므로 이 종지에 헤엄쳐 노니는 데는 큰 법기를 바탕으로 처음 뜻을 세워 걸음을 내디디면서부터 곧바로 높이 초월해야 한다. 이른바 바로 선 자리에서 성불하는 것이니, 잠시만 생각을 모으면 무생법인(無生法忍)을 바로 증득하리라. 앞뒤 경계의 구별을 두지 않고 다른 사람을 의지해서 얻는 것도 아니며, 그저 자기의 본분자리에서 맹렬하고 날카롭게 수행할 뿐이다.

 

한 꾸러미의 실을 자름에 한번 자르면 모두가 끊어지듯이 본성의 신령함도 단박에 벗어날 뿐이다. 앞생각은 범부였지만 뒷생각은 성인이다. 헤아리거나 헤아리지 않거나 범부이거나 성인이거나 한결같아, 시방을 머금기도 하고 토해내기도 하면서 결코 정해진 방향이나 처소가 없다. 영가스님은 이렇게 말하였다.

 

어찌 함이 없는 실상의 문에서

한번 뛰어 여래의 경지에 곧바로 들어감만하랴.

爭似無實相門 一超直入如來地

 

법화회상에서 용녀(龍女)가 구슬 한 개를 바치고 즉시 정각(正覺)을 이루었으니, 어찌 한 생각 돌이켜 오묘한 과보를 얻은 것이 아니겠느냐. 참으로 이 법은 천지라도 덮어버리거나 싣지 못하며, 허공도 둘러싸지 못한다. 이것은 일체 중생의 근본에 간직되어 있으면서 일체의 의지처가 된다. 항상 적나라하여 어디고 두루 하지 않음이 없다.

 

다만 정식(情識)에 매이고 문견(聞見)에 막혀 허깨비를 마음으로 잘못 알고 4대(四大)가 자기몸뚱이인 줄 여기므로, 이 진정한 자체를 결코 증득하지 못한다. 그 때문에 모든 성인들이 자비 원력으로 그것을 지적해서 사람들에게 보여 주었다. 그리하여 근기가 있는 모든 중생에게 회광반조(回光返照)하게 하여 홑으로 드러내어 홀로 증득하게 하였던 것이다.

 

그렇다면 저 용녀가 바쳤던 보배 구슬은 도대체 지금은 어느 곳에 있는가? 거량하자마자 바로 앉은 자리에서 투철하게 알아차린다면 결코 말 속에서 알음알이를 내거나 마음과 생각 속에서 형식을 만들지 않아서, 단박에 영산회상의 티 없는 세계와 조금도 다르지 않으리라. 옛날부터 오직 최초의 한 생각과 최초의 한 마디를 귀하게 여겼을 뿐이다.

 

한 생각이 생기기 전, 소리가 아직 드러나지 않은 자리에서 그대로 끊으면 천만 성인의 신령스런 기봉과 만 생령의 깨달음을 일시에 타파해버릴 것이니, 이것이 바로 씻는 듯이 자유 자재로움을 얻은 핵심적이고 오묘한 자리가 아니랴!

 

방거사(龐居士)가 마조대사에게 물었다.

" 만법과 짝이 되지 않는 사람은 어떤 사람일까요?"

그러자 마조대사는 말하였다.

" 그대가 한 입에 서강(西江)의 물을 모두 마시고 나면 그때 말해주리라."

 

이 공안을 말로써 많이 이리저리 따지고 방편과 경계를 지어서 이해하기도 하는데, 결코 종지를 이어받지 못했다 하리라. 요컨대 생철(生鐵)로 만든 놈이라야만 번뇌의 흐름을 거슬러 초월 증득하고 두 늙은이의 쇠로 만든 배를 뒤집을 줄 알리니, 무엇보다도 만길 절벽에 서게 되어야만 허다한 일이 없음을 알리라.

 

59. 윤상인(倫上人)에게 주는 글

 

어느 것이라도 마음을 두기만 하며 하늘과 땅 만큼의 차이가 생기는 것은 뻔하다. 지금 관문을 뚫지 못하는 까닭은 무엇보다 마음에 집착이 많기 때문이다. 만약 벗어나서 무심한 경지에 이르기만 하면 모든 망령된 생각과 더럽혀진 습기가 다 없어지고 지견과 알음알이의 장애가 모두 사라질 것인데, 다시 무슨 일이 있겠는가. 그러므로 남전(南泉)스님은 "평상시의 마음이 도"라고 하였다.

 

그러나 생각을 일으켜 평상하기를 기다린다면 벌써 어긋나버린다. 이것이야말로 아주 미세하여 어떻게 갖다대기가 어려운 곳이다. 도량을 헤아릴 수 없는 대인이라도 여기에 이르러선 주저하는데, 하물며 배울 것이 남아 있는 사람이야 어떠하겠느냐. 그저 죽기 살기로 물어뜯어 끊어버려야 한다. 마치 호흡이 끊어져 완전히 죽은 사람 같았다가 다시 살아나야만 비로소 허공같이 확 트인 줄을 알고 실다운 경지를 밟으리라.

 

이 일을 깊이 깨쳐 훤하게 밝히고, 믿어 다달아서 무심하고 호호탕탕하여 모든 것에 알음알이가 없어서 척척 들어맞는 경지에 이르기만 하면, 대뜸 자유롭게 노닐면서 다시는 얽매이지 않으며, 다시는 일정한 방향과 처소가 없게 된다.

 

쓰고 싶으면 쓰고 행하고 싶으면 행하는데, 다시 무슨 좋고 나쁨과 옳고 그름이 있으랴. 위로 통하고 아래로 사무쳐 일시에 거두어들이니, 이런 무심의 경계를 어찌 쉽사리 밟을 수 있으리오. 반드시 그만한 사람이라야만 비로소 되리라.

 

만일 이러하지 못하다면 꼭 몸과 마음을 놓아버리고 그윽하게 하여 한 털끝만큼도 기대는 것을 용납해서는 안된다. 오래도록 항상 살피다 보면 자연히 천지를 덮는 기상으로 부딪히는 곳마다 그대로 완전함을 이루리라.

 

태어날 때부터 석가모니이거나 저절로 이루어진 미륵은 없는 것이다. 누구라서 어머니의 뱃속에서부터 대뜸 알았으랴. 그러니 응당 정신을 바짝 차려야만 한다. 시절은 사람을 기다려주지 않으니 단박에 한 번 물어뜯어 끊어버리면 그대를 어찌할 수 없으리라. 대장부라면 모름지기 자유자재한 경지에 도달해야 하리라.

 

60. 정상인(正上人)에게 주는 글

 

참당하여 법문을 청하는 데는 반드시 영리한 근기가 기봉 위에서 바로 알아차리기를 바란다. 애초부터 막혀서 걸림이 없고, 또 한 깊은 믿음이 순숙하여 오랜 세월 속에서 효험을 얻어, 자기 자리에 앉아 공부를 하는 것이다. 이른바 완전히 쉬어버려 입술 위에 곰팡이가 피듯 하고, 옛 사당의 향로처럼 되어야 한다.

 

아마도 이래야만 생사를 투철히 벗어나고 범부의 망정을 초월하여 피안(彼岸)을 뛰어넘을 것이다. 더욱이 인간의 잡다한 일을 완전히 잊어버려야 하니, 영리하게 분별하는 총명함으로는 세간을 벗어나지 못하고 그저 허망만 늘릴 뿐이다.

 

조사께서는 서쪽에서 오시어 바로 이 하나를 제창하여 사람들에게 그 자리에서 철저히 깨닫게 하려 하였다. 시작 없는 무명주지(無明住地)를 확실히 알아 남김없이 쓸어 없애서, 본지풍광을 분명히 증득하고 본래면목을 분명히 보게 하였다. 비록 모든 성인들이 나온다 해도 실낱만큼도 움직이지 못하니 이를 두고 "사람의 마음을 곧바로 가리켜 본성을 보아 성불케 한다"고 한 것이다.

 

어찌 그저 말이나 따르면서 방편과 경계를 짓고 주장을 일삼으면서, 지견 넓힘을 도모하며 다른 사람을 이겨서 명리를 취하려 해서야 되겠는가. 결코 이러한 도리는 아니다. 이미 지향하는 목적이 있는 사람이라면 한결같이 헤진 짚신을 밟고 모름지기 철두철미한 곳을 참구해야만 하리라.

 

예컨대 어떤 스님이 운문스님에게 묻기를, "모든 부처님은 어디로부터 나왔습니까?"라고 하자, "동쪽 산이 물 위로 간다네"라고 대꾸했으니, 그것이야말로 철저히 깨닫고 그렇게 말한 것이 아니겠느냐! 낙엽 한 잎사귀만 보고서도 가을이 왔음을 아는 것이니, 다시 말 위에 말을 보태고 알음알이 위에서 알음알이를 짓는다면 어떻게 철저히 깨달을 수 있으랴.

 

운문스님의 이 의도를 체득할 수 있다면 고금의 말을 일시에 뚫어버리리라. 다만 마음을 깨닫고자 애를 쓰며, 그렇게 해나간다면, 항아리 속의 자라가 도망쳐봤자 어디로 가랴. 그러므로 고덕은 말하기를, "영리한 놈은 듣자마자 문득 들어 보이고 뽑아들면 곧 행한다"고 하였던 것이다.

 

61. 성연(性然)거사에게 드리는 글

 

도산(道山)의 성품은 도에 합치하여 고요함을 좋아하고 겉치레를 숭상하지 않으며, 숙세의 깊은 신심을 간직하고 무엇보다 현묘한 가르침을 흠모하십니다. 늘 편안하고 고요하여 밤낮으로 그윽히 안으로 밝게 비춰보니 마치 얼음 항아리나 옥으로 만든 거울같이 겉과 속이 훤히 사무치십니다. 또한 나물 음식으로 오랜 세월을 재계하며 향상의 종승을 참구하며 선지식을 두루 참례하여 한결같이 지성으로 탐구하고 연구한지 여러 해가 되었습니다.

 

처음엔 견해나 말에 끌려 형식에 뜯어 맞추며 이리저리 뚫더니만, 여기저기 다니며 바탕이 쌓이자 그 뜻이 더욱 확고해졌습니다. 거기서 홀연히 모두 벗어던지고 곧바로 불조 심성의 연원을 꿰뚫어 묘한 이치에 깊이 들어가 실천하고 설통(說通)과 종통(宗通)을 모두 갖추어서 열반과 생사를 원융하게 껴잡아 몸과 마음이 한결같은 훌륭하고 청정한 경지에 도달하였습니다.

 

방편 지혜〔機智〕는 더욱 밝아져 고삐를 벗고 스스로 즐긴 지가 오래 되었습니다. 그렇게 하고도 그만 두지 않고 여러 곳에서 도에 통달한 최상의 대근기에게 가서 부처다 법이다 하는 견해를 부숴버리자, 큰 작용〔大用〕이 분명해졌습니다. 향상의 문빗장을 용광로 속에서 더욱 삶고 단련하여, 현묘함도 밀쳐두고 미세한 것까지도 뽑아버려 살활(殺活)의 요점을 거머쥐고 성현의 깊은 세계도 초탈하였습니다.

 

마침내 잘잘못을 분별하고 좋고 나쁨을 식별하며 진퇴를 알아 방편과 실다움을 분별하여 참다운 경지에 도달했습니다. 마치 편안하고 한가로운 수레를 정비하여 텅 비어 고요한 경지에 노니니, 함이 없고 하릴없는 경지에 무찔러 가서, 가두어도 머물지 않고 불러도 돌아오지 않습니다. 비로자나부처를 뛰어넘고 석가의 장엄 청정한 자유로운 큰 해탈의 경지를 초월하였습니다. 다만 잠시 세상의 인연에 끌리고 매였으나 그곳에 살면서도 역시 유연하였습니다. 뜻있는 사람이라면 아승지겁을 눈깜빡할 사이로 여기고 마땅히 여유롭게 본원을 완수할 따름입니다.

 

시원한 날씨를 보내면서 종이와 붓이 있길래 이렇게 적어 보았습니다.

 

62. 혜공(慧空) 지객(知客)에게 주는 글

 

여러 부처님들이 세상에 출현하셨던 것과 조사가 서쪽에서 오셨던 그 본뜻을 집어내보면 결코 다른 일이 아니다. 오직 동체대비(同體大悲)와 무연자비(無緣慈悲)로 이 큰 인연을 보여 주시어 지혜로운 상근기에게 격식과 종지를 초월하여 단박에 알도록 했을 뿐이니, 이른바 교(敎) 밖에 따로 행하고 외길로 심인(心印)을 전했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십만 대중 앞에서 연꽃을 들어보이자 가섭만이 유독 증득하고 자기도 모르는 결에 미소를 지었던 것이다.

 

이로 인해 석존께서 법을 전해져서 달마가 양(梁)나라를 거쳐 위나라에 가 사람을 찾아서 소림사에서 오래 면벽하던 중 신심 깊은 이조(二祖) 한 사람을 얻었는데, 그는 눈에 서서 팔을 끊고 한마디 말끝에 마음을 편안히 하여 드디어는 의발을 전해 받았으니, 이것이 어찌 작은 일이겠느냐. 위로부터 모든 성인 세상에 감응하니, 전하는 사람도 훌륭하고 받는 이의 근기도 강하여 용상대덕(龍象大德)이 많이 나왔다. 연원(淵源)이 깊으니 그 흐름도 짧지 않아서, 서천의 28대 조사와 동토의 6대 조사 이후로 시대마다 영특 신령한 고덕들이 걸출하게 이어졌다.

 

행사(行思) 회양(誨讓) 마조(馬祖) 석두(石頭)스님의 경우는 세상에서 독보적이었다. 덕산은 금강경의 주석서를 태워버렸고, 임제스님은 선판(禪板)을 태운다 하였으며, 약교(藥嶠) 천황(天皇) 백장(百丈) 황벽(黃檗)과 5가(五家)의 종주(宗主)들은 각각 문화와 가풍을 수립했다. 이는 마치 하늘만한 그물을 던지고 만 리 되는 낚시를 드리운 것 같아서 처음부터 끝까지 철두철미하였다.

 

이들에게는 천만 인을 능가하는 기량이 있으니, 드나듬과 펴고 말아 들임, 잡고 놓아줌, 조용(照用)과 권실(權實)이 어찌 한 가지 길, 한 가지 지견만을 고수하여 일정한 틀을 남기고 알음알이를 세워, 죽은 물 속에 빠져 참다운 법이라는 것으로 사람을 얽어맸으랴. 그 때문에 온 천하에 사찰이 즐비하고 수백년이 지나도록 강종(綱宗)이 떨어지지 않았다. 명확하게 계승하여 근원근원 이어졌으니, 단순히 보고 들은 천박하고 고루한 견문으로 걸머질 수 있는 것이 아니었다.

 

탁월한 식견과 빼어난 자태를 지니고 불조를 뛰어넘는 기량으로 행하여, 천지를 덮어 애초부터 소굴을 벗어나 아득히 수승하고 빼어남을 요한다. 우선 자기의 근본을 밝히고 본분종사에 의지하여, 개 돼지 같은 솜씨로 물고 늘어져야 한다. 통달한 종사는 맞고 거슬리는 경계에서 투철히 벗어나서, 분골쇄신하는 뜻과 지견을 갖추어 큰 것을 도모할지언정 자잘한 것을 도모하지 않고, 원대함을 도모할지언정 눈앞의 것을 도모하지 않는다. 지극히 험난한 천신만고의 은산철벽 같은 곳에서 신명을 놓아버리고 저편으로 손을 놓아 이 일대사인연을 알아차려서 망정을 끊고 견해를 여의어 미친 업식(業識)을 쉬고 큰 해탈문을 열며, 자기의 생사대사를 깨달아 처음 발심했던 뜻에 보답해야 한다.

 

6근,4대,5온,12처,18계,7대성을 허공에서 헛꽃[空華]이 어지럽게 일어났다 어지럽게 사라지는 것처럼 보아야 하리라. 오직 불가사의하게 불조가 증득한 확연히 사무치고 신령하게 밝으며, 넓고 텅 비어 고요한 금강의 정체를 그대로 이어받아서 근본이 깊고 편안함이 지극하니, 밥 먹는 사이에도 한 털, 한 티끌, 한 기틀, 한 구절을 드는 것이 근본 속에서부터 발현하지 않음이 없다. 그렇다고 이를 대기대용(大機大用)이라 말한다면 벌써 어지럽게 이름만 더듬은 것이 되어버린다. 그러니 다시 어느 곳에 심성이니 현묘함이니 이사(理事)를 붙이겠느냐. 여기에 이르러선 활활 타는 화로 위에 한 점의 눈송이와도 같아서, 선과 도를 들으면 자취를 쓸어버리고 소리를 삼킨다 해도 오히려 극치는 아니다.

 

그런데 하물며 그 나머지인 빛과 그림자, 모양과 소리, 산하대지, 노주와 등롱, 눈으로 보고 귀로 듣고, 쇠칼을 쓰고 쇠고랑을 차는 따위야 말해서 무엇하리오. 듣지도 못하였느냐. 덕산은 문에 들어가기만 하면 방망이로 때렸으며, 임제는 문에 들어가기만하면 대뜸 "할"하고 소리쳤으며, 목주(睦州)는 있는 그대로의 공안[現成公案]을 자세히 살피라고 했던 것들을. 그들은 이미 진흙탕물 속으로 들어가면서까지 노파심이 간절하였던 것이다. 그리하여 이렇게 말하였다. "한결같이 으뜸되는 가르침만을 제창하자면 법당 위에 모름지기 풀이 한 길은 우거졌으리라"고, 그러므로 그 나머지의 방편문은 부득이하여 할 수 없이 그렇게 한 것임을 분명히 알아야 한다.

 

이 모든 것은 위로부터 큰 선지식들이 자비를 드리워 쓰신 것으로서, 후세의 본보기로 만들어 뜻있는 사람들로 하여금 마침내는 때려 부술 수 없는 팔면으로 영롱한 곳에 도달하게끔 한 것이다. 이들은 자신만 이익되게 할 뿐 아니라 다른 사람까지 이롭게 하면서 다함없는 법등(法燈)을 전하고 불조의 혜명을 이었던 것이다.

 

당(唐)나라에서 5계(五季)시대를 지나 국초(宋 초기)에 이르기까지, 두터운 신망을 걸머지고 조사의 지위에 올라 용과 호랑이가 달리듯 남북으로 넘나들며 사람들에게서 못과 쐐기를 뽑아주고 결박을 풀어준 자들이 어찌 한정이 있었으랴. 근세에도 사람이 없다고 말하진 않겠다. 그러나 홀로 벗어나 본분의 수단을 떨쳐 작가선지식의 용광로와 풀물을 열어준 사람을 찾아보면 참으로 많지가 않다. 이는 스승은 어정거리면 천박 고루하고 제자 또한 뿌리와 줄기가 깊고 튼튼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저 쉽게 깨달을 것만 도모하여 아교나 칠처럼 꽉 막혀 조종(祖宗)의 위 없이 오묘한 도와 고원(高遠)한 큰 기틀을 거의 끊어지게 하였던 것이다.

 

다행히도 후배들 중에 견줄 수 없이 빼어나 옛 사람과 짝이 될 만한 자가 있었으니, 그들은 옳고 그름, 이익과 손해, 너와 나, 취함과 버림을 돌보지 않고 철석같은 마음으로 포기하지도 변하지도 않을 뜻을 갖추었다. 괴로움을 참고 담박한 음식을 먹으며 어려움을 두려워하지 않고 앞을 향해 몸소 참구하였다. 그리하여 향기로운 자취를 계승하고 지난 세대의 고상한 가풍을 이어 인간세상의 밝은 촛불이 되고 어두운 거리의 일월이 될 수 있었다. 이것이 내가 마음속으로 항상 갈망하는 것이다.

 

지금은 이미 분심을 내서 발심하려고 도모하였으니, 중요한 것은 처음부터 끝까지 하는 데 있다. 살인을 하고도 눈 하나 깜짝하지 않는 솜씨를 갖춘 종사를 교해(敎海)에서 선택하여 깨닫기를 도모한다면, 어찌 제방을 초월한 자기 본심에만 보답이 되겠느냐. 또한 불법의 큰 바다에서 한쪽 손을 내미는 것이 되리라. 하물며 나와 남의 구별이 끊기고 사랑과 증오를 떠난 이 문중에서는 다만 올바른 지견을 귀하게 여길 뿐이니, 어찌 누구 집안의 자식인가를 따지겠느냐. 똑같이 조계의 문하이니, 무슨 저쪽 종파니 이쪽 유파니 하는 것이 그 사이에 있을 수 있겠느냐!

 

63. 장직전(張直殿)에게 주는 글

 

불조의 오묘한 도에 계합하려면 무엇보다도 지혜로운 상근기가 알음알이를 잊고 몸소 참구하여 방편과 경계에 떨어지지 않는 것이 가장 옳다. 당장에 무리에서 빼어나 텅 빈 마음으로 알아차려 곧바로 원명(圓明)하고 광대하게 비춰 천지를 꿰뚫고 생사의 근원을 사무쳐서 언어문자의 표방을 벗어나야 한다. 가슴 속이 말끔하여 한 생각도 생기지 않고 앞뒤가 끊겨 한 구절에서 당장에 알아차려 알음알이를 벗어나며, 진실하게 증득하여 끝내 의혹이 없어야 한다.

 

옛날 칙 노덕[玄則]이 청림(靑林)스님에게 물었다.

"무엇이 부처입니까?"

"병정동자(丙丁童子)가 찾아와 불을 구하는구나."

그러자 그는 바로 말 속에 들어가 도리를 만들어 말하였다.

"병정(丙丁)은 불인데 다시 찾아와 불을 구하는 것은, 마치 내가 부처인데 다시 가서 부처를 물은 격입니다."

 

법안(法眼)스님이 궁구하여 바름을 드러내는 데 이르러서는 그는 전혀 믿을 수 없었다. 그러다가 돌연 마음에 투합하게 되었는데, 법안도 역시 앞에서 말했던 것처럼 운운했을 뿐이다. 그가 크게 깨달은 것은 종풍에다 증험해서 비로소 회광반조할 줄 알아 다시는 잘못된 지견을 내지 않았던 것이다. 당장에 어둠에서 등불을 만난 듯, 가난한 사람이 보배를 얻은 듯하니 이것이 어찌 작은 일이겠는가. 성실하게 믿으면 천만억겁토록 길이 쓰고 누릴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도는 본래 말이 없으나 말을 의지하여 도가 나타나니 만일 이 도를 얻기만 하면 결코 말 위에 있지 않다. 뒤에 말이 있기만 하면 밑바닥까지 알아 곧바로 종횡무진으로 엎어지고 자빠져도 실제의 경지를 밟게 된다. 말을 따라 이해를 내지 않아서 드디어는 자유롭게 들고 나며 주고 뺏음이 연원과 근본을 다하지 않음이 없다.

 

위로부터 크게 통달한 사람이라면 누구나 이 마당을 지나서 탁마 단련해서 비로소 행하여 지님을 감당하였다. 단지 푹 익은 곳은 놓아서 설게 하고 설은 곳은 만져서 푹 익혀, 그러기를 오래하면 대기와 대용을 얻는다. 일체의 천변만화를 보아도 모두 바로 알아버리고 믿고 다다르며 꽉 잡아 붙들고 작용하여 주인이 되는데, 무슨 빛을 놓고 땅을 흔들고를 가리겠는가.

 

천백만억의 부처님이 온다 해도 깨달을 요(了)자를 쓸 필요가 없다. 암두스님은 말하기를, "사물을 물리치는 것이 상급이고, 사물을 좇아가는 것이 하급이다"하였다. 전투로 설명한다면 개개의 힘이 변통에 달려있는 것과 같다. 오직 향상만 굴릴 뿐 아래로는 떨어지질 않으니 바로 이것이 급히 착안할 곳이다. 머뭇거리면서 오지 않으면 바로 눈동자를 바꾸어 버리라. 바로 통쾌하게 끊어버려야만 하니, 오랫동안 순수하게 익으면 유마힐 방거사와 다름이 없을 것이다.

 

64. 호상서(胡尙書)에게 본성 깨치기를 권선하는 글을 드립니다.

 

사람마다 자기 의발 아래 텅 비어 신령하게 통하는 이 한덩이의 큰 빛이 있으니, 이를 본지풍광(本地風光)이라 합니다. 중생도 부처도 본래 갖추었고 원융하여 끝이 없으며 자기의 마음속에서 4대5온의 주체가 되기도 합니다. 애초부터 물듦이 없이 그 본성은 맑고도 고요하나, 다만 망상이 갑자기 일어나 그것을 가리고 장애하기 때문에 6근과 6진에 묶이게 됩니다. 6근과 6진이 서로 짝이 되어 찰싹 들러붙어 집착이 생기면, 일체의 경계를 취하여 일생 허망한 생각을 내고 생사의 번뇌 속에 빠져들어 벗어나지 못합니다.

 

그러므로 모든 부처님과 조사께서 이 참된 근원을 깨닫고 훤하게 근본을 통달하여, 생사에 빠진 모든 중생을 가엾이 여기고 대비의 마음을 일으켜 세상에 나오심도 바로 이 때문입니다. 달마스님이 서쪽에서 오셔서 교(敎) 밖에 따로 전하였던 것도 이 때문이었습니다. 단지 큰 근기와 영리한 지혜를 갖춘 이가 회광반조하여 한 생각도 나지 않는 곳에서 이 마음을 분명히 깨치는 것만을 귀하게 여길 뿐입니다.

 

더군다나 이 마음은 일체의 세간법과 출세간법을 내고 오랫동안 마음속에 도장을 찍어두고 홀로 아득하고 활활발발하는데, 잠깐이라도 마음을 내어 생각을 움직이기만 하면 즉시 이 본래의 밝음을 어둡게 합니다. 지금 요컨대 곧바로 끊어버려 쉽게 꿰뚫으려고 한다면, 다만 몸과 마음을 놓아버려 텅 비어 신령하고 고요하면서도 비추어서, 안으로는 자기라는 견해를 잊고 밖으로는 가는 티끌마저도 끊어져서 안과 밖이 환하여 오직 한결같아야 하니, 오직 하나의 진실뿐입니다.

 

눈, 귀, 코, 혀, 몸, 의식과 색, 소리, 냄새, 맛, 촉감, 법은 모두 그것에 의지해서 건립된 것인데, 그것은 능히 저 모든 인연을 훌쩍 벗어나 뛰어넘게 됩니다. 그러나 허다한 모든 인연들은 애초에 일정한 모습이 없어서, 오직 이 광명에 의지하여 모두 전변합니다. 만약 이 한 덩이의 심전지(心田地)를 믿어 도달할 수만 있다면, 하나를 깨쳐 일체를 깨치며 하나를 밝혀 일체를 밝힙니다. 그렇게 되면 곧바로 하는 것마다 모두 철두철미하여 대 해탈 금강의 바른 몸입니다.

 

요컨대 우선 이 마음을 깨닫고 나서 그런 뒤에 모든 선행을 닦아야만 합니다. 듣지도 못하였습니까. 시인 백낙천(白樂天)이 조과(鳥?)스님에게 물었습니다.

"도란 무엇입니까?"

조과스님은 말하였습니다.

"모든 악한 일은 하지 말고 뭇 착한 일을 받들어 행하라."

"세 살 먹은 어린 아이도 말할 수 있는 것입니다."

"세 살 먹은 아이가 말할 수는 있어도 팔십 늙은이도 행하진 못할 걸세."

 

그러므로 응당 허물을 살펴서 눈과 발이 서로 의지하듯 닦아 나아가야 합니다. 만약 모든 악한 일을 하지 않고 뭇 착한 일을 알뜰하게 닦으면, 5계10선(五戒十善)만 잘 지킨 사람일지라도 생사 윤회에는 떨어지지 않습니다. 그런데 하물며 먼저 밝고 묘한 진심의 견고한 정체를 깨닫고 나서 힘에 따라 수행하는 경우에야 말할 것이 있겠습니까.

 

그들은 착한 행동을 하면서 남들도 인과에 미혹되지 않도록 하여 지옥과 천당의 원인이 모두 본래의 마음에서 만들어졌다는 것을 알도록 해줍니다. 꼭 이 마음을 평등하게 지녀서 나와 남의 구별이 사랑도 미움도 없으며 좋고 싫음도 없고 이익과 손해를 따지지 않아, 차츰차츰 20년, 30년을 길러 가면 맞고 거슬리는 경계를 만나도 더 이상 물러남이 없게 됩니다.

 

생사의 갈림길에서도 자연스럽고 태연하여 아무 두려움이 없습니다. 이것이 바로 이치[理]는 단박에 깨달으나 사실[事]은 점진적으로 닦아야 한다는 것입니다. 불법을 배우는 무리들 중에 많은 이들이 그저 세간의 지혜와 총명함으로 불조의 말씀 중에서 기묘한 구절을 잘도 외워서 말을 밑천으로 삼아 능력이나 해박함을 과시하는 경우를 봅니다. 이는 올바른 견해가 아니므로 응당 버려야만 합니다. 잠잠한 마음으로 고요히 앉아서 반연을 잊고 몸소 참구하여 철저하게 영롱한 데 이르면, 계산할 수도 없고 끝도 없는 자기 자신을 보배 창고에서 쏟아내게 되니, 진실하지 않은 것이 어디 있겠습니까.

 

모름지기 먼저 본래면목을 깨닫고 마음이 곧 부처[卽心卽佛]인 진정한 자체를 분명하게 보아야만 합니다. 모든 허망한 반연을 여의고 문득 청정하게 된 뒤에 모든 착한 일을 받들어 행하고 대비심을 일으켜 중생들에게 요약되도록 합니다. 그러고 나면 하는 일마다가 모두 평등하여 나[我]도 없고 집착도 없습니다. 오묘한 지혜가 환하게 드러나서 본체에 사무쳐 통하니, 착한 행동이 어찌 오묘하지 않겠습니까.

 

그러므로 말씀드리노니, 마음 깨치는 데만 애쓴다면 반드시 속지 않을 것입니다. 깨달음을 목표 삼을 뿐 느리거나 더딜까를 의심하지 마소서.

 

몸조심 하십시오.

 

65. 장선기 학사(張宣機 學士)에게 드리는 글

 

옛부터 크게 통달한 사람은 밀전(密傳)만을 외길로 제창하였으니, 홀로 벗어난 최상의 이 한 가지[一著子]가 그 지극한 요점입니다. 오직 근기가 빼어난 상지(上智)가 기연에 투합하여 단박에 알아차리기만을 힘썼을 뿐, 어느 틈에 향상(向上)ㆍ향하(向下)ㆍ이성(理性)ㆍ현묘(玄妙)ㆍ정위(正位)와 편위(偏位)ㆍ빈주(賓主) 따위의 수많은 언어작용이 있었겠습니까. 알음알이를 잠깐이라도 내기만 하면 그대로 얽매여 다시는 조금도 자유로울 분이 없어집니다.

 

그러므로 본분작가는 결코 남의 낚시 끝에 걸리거나 다른 사람의 올가미에 떨어지지 않고, 오직 스스로 환하게 비추어 가슴 속에 털끝만큼도 남겨두지 않고 초연히 고고합니다. 만법과 짝하지도 않으며, 모든 성인과 자리를 함께 하지도 않은 채 밝고 청정함을 완전히 노출하여 담담히 텅 비어 맑을 뿐입니다. 나아가 인연따라 방편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나는 칼 바퀴 같고 맹렬한 불무더기 같은데 어떻게 가까이 하겠습니까. 어묵(語?)ㆍ유무(有無)ㆍ동정(動靜)ㆍ피아(彼我)를 한꺼번에 끊어버립니다.

 

그러므로 말하기를 “마지막 한 구절이라야 비로소 견고한 관문에 도달하니, 요긴한 나루터를 차지하여 범부도 성인도 통하지 못한다”라고 했는데, 부득이하여 ‘일구(一句)’, ‘정위(正位)’, ‘정문(頂門)’, ‘금강왕(金剛王)’이라고 말합니다. 이렇게 말한 의도를 알면 틀림없이 꿰뚫어 통하여, 망정과 의상(意想)과 견해(見解)의 수승한 지혜가 자연히 녹아버리고 하루종일 넓고 너그러이 완전한 자유로움을 얻습니다. 이로써 자기자신을 수행하고 나라를 다스리면 은택이 백성들에게 미쳐 지위와 덕망이 더욱 융성할 것입니다. 마음 씀씀이는 더더욱 정대하여 그 공로에 머물려 들지 않고 그 덕을 지니려 하지 않습니다.

 

만 세(世)가 한 때이고 만 년도 한 생각일 뿐이며, 시방(十方)도 오히려 눈 깜짝하는 사이며 조화도 손아귀에 있습니다. 다만 사물을 자유롭게 운용할 뿐이어서 하늘과 땅을 뒤바꾸며 수미산을 겨자씨 속에 집어넣기도 하고, 대천세계를 세상 밖으로 던져버리는 것이 어찌 어렵다 하겠습니까.

 

이미 깊이 살폈으니 그것을 바탕으로 덜고 연마하여 더더욱 역량을 갖추어, 정신을 수고롭게 하지 말고 태연히 안정되도록 하소서. 어찌 금생에서만 하고 말 것이겠습니까? 앞으로 오는 세상이 끝날 때까지, 이를 바탕으로 하지 않음이 없겠습니다. 같은 길을 가고 같은 깨달음을 증득한 사람을 만나면 설명하지 않아도 알고 말하지 않아도 계합할 것이나. 이를 버리고서 이러쿵저러쿵하는 것은 옳지 못합니다. 전하는 말에 “여래께서 가지신 밀어는 가섭이 감추지 않았다”하였으니, 이것이 바로 비밀이 되는 까닭입니다.

 

66. 동감(同龕)거사에게 말씀 전합니다

 

학사대부(學士大夫)들이 서로 만나 이치와 성품을 논하는 경우가 많은데 근본에 가까이 하기에는 차이가 있습니다. 즉 지견(知見)을 넓히고 현묘한 도리를 해박하게 섭렵하여 하늘과 인간 사이를 꿰뚫고 3교(三敎)를 회통하여 유교로 통일해 가지고는 그것을 저술하여 후대에까지 명성을 드리우려 합니다. 보건대, 실천을 하면서 절개를 세우며 뒤로 물러나 남에게 귀 기울이며 어진 행업(行業)을 닦기는 하나 좀 얕은 데가 있습니다. 오직 두루두루 섭렵하여 얘기 밑천으로 삼고 남 이기기를 좋아함으로써 동료들을 굴복시켜 아견(我見)을 늘리는데, 모두가 도를 이루기 위한 바른 씨앗은 아닙니다.

 

그들을 비록 박맹의 무식꾼들보다는 현명하다고는 하겠으나, 믿고 나아갈 바를 모르고 제멋대로 자기의 짧고 천박한 견문으로 남을 헐뜯는 마음을 내어 인과를 모르고 속세의 흐름 속에 떨어져 들어가는 자들입니다. 그러나 진실하게 마음을 비우고 자기를 청결히 하여 괴로움을 무릅쓰고 한 걸음 물러나 알음알이를 잊고 깨달아 실제의 경지를 밟아 6근ㆍ6진을 꿰뚫고 잔재주를 끊어 옛사람과 짝이 된 자들을 비교해 보면, 유마대사(維摩大士)와 급고독장자(給孤獨長者)와 같은 부류로서 그들은 도과(道果)를 거뜬히 증득하고 세간ㆍ출세간을 뛰어넘었습니다.

 

저 당나라 조정의  배상국(裵相國)ㆍ육긍대부(陸亘大夫)ㆍ진조상서(陳操尙書)ㆍ왕경상시(王敬尙侍)ㆍ우양양(于襄陽)ㆍ이습지(李習之)ㆍ정우(鄭愚)ㆍ위주(韋宙)의 경우는 마음을 다해 몸소 참구하여, 평생이 다하도록 쓰고 누림을 얻었습니다. 우리 종문에서 더욱 환하게 밝히고 출몰자재하게 지극히 심오한 데까지 궁구하였으니, 내한 양대년(內翰楊大年)과 도위 이부마(都尉李駙馬)는 방거사와 함께 나란히 달릴 만하였습니다.

 

이는 커다란 역량을 갖추고 벼슬길에 있으면서 관직을 버리지 않고서도 세속의 밖에서 노닐었기 때문일 것입니다. 불조의 본분소식을 제창하여 세상 사람들을 단련하면서, 동사섭(同事攝)을 해 나갔습니다. 가정 생활하는 가운데나 지방에 관직을 맡아 나가는 경우에도 대종사와 함께 안과 밖에서 불법을 보호하였습니다. 이 어찌 옛날에 영산(靈山)에서 수기를 받아 백겁천생토록 연마하겠다는 서원을 내었기에 이와 같이 기연을 드날리는 것이 아니겠습니까!

 

근세엔 불법이 쇄미해지긴 했습니다만 벼슬하는 사람들 중에 깊이 신봉하는 자들이 극히 많습니다. 거의 옛 가풍이 있다 하겠으니 요컨대 앞의 세 부류와 서로 짝하려 해야 합니다. 만약 이 문제에 뜻을 둔다면 반드시 상상(上上)의 큰 기틀[大機]과 반연을 맺어야지 중하(中下)의 체제와 법도를 짓지 말아야 합니다. 그렇게 하면 범부를 초월하고 번뇌를 벗어나 완전한 해탈을 얻는 데 어렵지 않을 것입니다. 다만 한결같이 오래하면서 어떤 경계나 악연을 만나더라도 그 자리에서 끊어버려야 합니다. 이것이 이른바 “쇠바퀴[鐵輪]를 정수리 위에서 굴린다 해도 정혜(定慧)가 원명하여 끝내 잃지 않는도다”는 것입니다.

 

이발습유(李渤拾遺)가 구강(九江) 땅으로 부임해 나와 적안(赤眼) 귀종(歸宗)스님과 만났는데, 한 번의 대면에 투합하여 깨우쳤습니다. 이발이 갑자기 물었습니다.

“교(敎)에서는 말하기를 ‘겨자씨에 수미산을 받아들인다’ 하였는데, 어찌 그럴 리가 있겠습니까?”

“사람들이 공(公)을 이만권(李萬卷)이라고 하던데, 그렇습니까?”

“그렇습니다.”

“공의 몸을 살펴보니 다섯 자도 채 못되는데 만 권의 서적을 어느 곳에 두었소?”

 

그러자 이발은 곧바로 그 뜻을 깨달았다고 합니다.

 

이를 어찌 모양과 망정에 집착하여 알음알이를 지키는 자와 따질 수 있는 것이겠습니까. 요컨대 손가락을 통해 달을 보고, 그물과 덫을 잊고 물고기와 토끼를 챙기는 근기라야만 방편과 소굴을 지키지 않을 만합니다. 한 번 거량하여 그대로 귀결점을 안 뒤에 민첩하게 빠져나와 종횡무진으로 통달한 경지에 이르면 큰 수용(受用)이 환하게 나타납니다.

 

한문공(韓文公)이 태전(太顚)스님에게 물었습니다.

“저 유(愈)는 공적인 사무가 바쁘오니 불법의 핵심에 대해 스님께 한 말씀 청합니다.”

 

그러자 태전스님은 그저 자리에 앉아 있었을 뿐이었으므로 문공은 망연하였습니다. 이때 삼평(三平)스님이 뫼시고 서 있다가 즉시 선상(禪床)을 한 번 어루만지면서 말하기를 “시랑(侍郞)이시여, 화상의 도는 먼저 정(定)으로 움직이고 뒤에는 지혜로 뽑습니다”라고 하자 문공은 크게 기뻐하면서 말하였습니다.

“선사의 불법은 높고도 준험하십니다. 저는 오히려 시자(侍者)의 가르침 속에서 깨우친 바가 있습니다.”

 

영리한 근기는 한 번 튕겨 주면 바로 돌이켰습니다. 그들 스승과 제자를 살펴보았더니, 서로가 방편을 지어 이름붙일 수도 없고 말할 수도 없는 자리에서 발휘했던 것입니다.

 

영리하고 빼어난 한문공이 아니었더라면 어떻게 알아차릴 수 있었겠습니까. 이른바 도끼를 휘두르는 자도 솜씨가 민첩하고, 도끼를 받는 자도 움쩍하지 않는 자질이 있었던 것입니다. 그런 뒤에 둘이 함께 오묘한 경지에 들어간 것이니, 그렇지 못하면 한 바탕 허물을 이룰 뿐입니다.

 

이렇게 보건대 어느 겨를에 매일같이 조사의 방에 들어가 아침마다 묻고 참례하겠습니까. 그러므로 옛사람은 강을 사이에 두고 부채를 흔들면 대뜸 깨쳤던 것입니다. 지금 이처럼 종이와 먹으로 형용하는 것은 알면서도 고의로 범하는 것입니다.

 

67. 황성숙(黃聲叔)에게 드리는 글

 

서로 만나도 드러내 보이지 않고 생각을 드러내면 곧 있음을 알아차린다 해도, 자세히 점검해 보면 이미 진탕 속으로 끌어들이고 물에 띄운 격인데, 하물며 그 나머지 번다한 이론들이겠습니까.

 

통달한 사람의 분상은 마땅히 초준하고 빼어나야 한데, 어찌 어지럽게 이끄는 것을 용납하겠습니까. 대개 이것은 유독 쇄쇄낙락한 것만을 인정할 뿐, 번개치고 별똥이 떨어지는 듯 하다 해도 빗나감을 면치 못합니다.

 

그저 이렇게 말해줘서 깨우치게 함도 그 허물이 하늘에 넘칩니다. 서로 만나기 이전, 생각을 움직이기 이전의 상태에서 단박에 알아차렸다면, 그것을 그냥 그 사람에게 남겨둘 것이요, 다시 형상과 문채로써 알음알이를 지어서는 안됩니다.

 

부디 몸조심하십시오.

 

68. 증대제(曾待制)에게 드리는 글

 

어떤 스님이 조주스님에게 조사가 서쪽에서 오신 뜻이 무엇입니까 하고 물었더니, 조주스님은 “뜰 앞의 잣나무”라고 대답하여 천하 참학인의 모범이 되었습니다. 그대로 꿰뚫어 의지하지 않고 알음알이를 내지 않아야만 통렬하게 알 수 있습니다. 견해의 가시가 그저 털끝만큼이라도 있기만 하면 깜깜하게 됩니다.

 

듣지 못하였습니까. 법안(法眼)스님이 각철취(覺鐵?)스님에게 묻기를 “조주스님께서 ‘뜰 앞의 잣나무’라는 말씀을 하셨다는데, 그런가요?” 하자, 각철취스님이 “스님께서는 스승(先師)을 비방하지 마십시오. 스승께서 이런 말씀하신 적이 없습니다”라고 했던 것을. 이처럼 참구하기만 하면 바로 옛사람의 그대로 깨친 자리가 됩니다.

 

엄양존자(嚴陽尊者)가 조주스님에게 물었습니다.

“한 물건도 가져오지 않았을 땐 어떻게 합니까?”

“놓아버리게.”

“한 물건도 가져오질 않았는데, 무엇을 놓아버리라는 건지 잘 모르겠습니다.”

“보아하니, 아직 놓아버리지 못하였군.”

 

엄양존자는 마침내 크게 깨달았습니다.

뒤에 혜남선사(慧南禪師)가 게송을 지어 말하였습니다.

 

한 물건도 가져오질 않았건만

양어깨에 걸머지고 일어나지 못 하네

말끝에 대뜸 잘못임을 아니

마음속의 기쁨은 한이 없어라

 

매서운 독이 가슴 속에 삭아지니

뱀과 호랑이도 친구가 되고

쓸쓸한 천백 년에

맑은 바람 그치지 않는구나.

 

一物不將來 兩扁擔不起

言下忽知非 心中無限喜

毒惡旣忘懷 蛇虎爲知已

寥寥千百年 淸風猶未已

 

시험삼아 자주 이 화두를 들어 보십시오. “한 물건도 가져오질 않았을 땐 어떻게 합니까”하니 조주스님이 말하기를 “놓아버리라” 말했다. 이리하면 단박에 깨닫기가 어렵지 않을 것입니다.

 

어떤 스님이 운문스님에게 물었습니다.

 

“한 생각도 일으키지 않았는데 허물이 있습니까?” 그러자 운문스님은 “수미산 만큼!”이라고 했습니다. 이것도 역시 단도직입적으로 요점을 살핀 것입니다. 하릴 없이 마음을 비우고 생각을 고요히 하여 우둔한 듯이 공부하십시오. 다만 화두를 들어보십시오. 오래하다 보면 저절로 들어갈 곳이 있을 것입니다.

 

69. 여학사(呂學士)에게 드리는 글

 

초조 달마스님이 양나라에 와서 무제(武帝)를 뵙고 그 자리에서 정수리 위의 하나[一着子]를 썼으나 무제는 알아차리지 못했습니다. 그리하여 사람들로 하여금 지금까지 팔뚝을 걷어붙이게 하고 그 뒤로 상당한 사람들이 진흙과 물 속에 빠져 헤매게 되었습니다. 그의 발자취를 더듬고 헤아리면서 백천 갈래로 다르게 알음알이를 냅니다. 핵심은 꿈에서도 보지 못하고 그저 기연 위에서 기연을 내고, 견해 위에서 견해를 낼 뿐입니다.

 

그 때문에 말하기를 “칼은 멀리 떠나버렸는데 그대는 이제야 칼 떨어진 뱃전에 표시를 하고 있구려” 하였던 것입니다. 당시에 달마 오랑캐놈을 동강내버렸더라면 다른 사람에게 누를 끼치는 데는 이르지 않았을 것입니다. 그래서 이른바 “은혜를 알아야만 은혜에 보답할 줄 안다”한 것입니다. 자, 어떻게 해야만 그를 동강낼 수 있습니까?

 

70. 촉(蜀) 태수 소중호(蘇仲虎)에게 드리는 글

 

큰 법은 본래 평상하기 때문에 영리한 근기가 정밀하고 민첩하게 관통하는 데 있는 것이니, 총명으로 안 것 가지고 쉽게 깨달아 들어감을 삼지 마십시오. 매양 근심스러운 것은 알음알이가 지나치게 많은 것이니, 이윽고 이 근원에 빠져 따지면 따질수록 더욱 멀어져 깨칠 수 없습니다.

 

만약 일체에 평상한 마음이면 마음이라 할 것도 끝내 얻을 수 없어서, 싹 다 없어지면 원명한 본성이 뒤섞인 그대로 완전하여 조작을 필요로 하지 않습니다. 뭇 흐름을 절단하고 깊이 증득하여 지나치거나 모자라는 곳이 없게 됩니다. 그리하여 천진(天眞)스런 기요(機要)에 나아가니 이른바 “착수하는 마음에서 바로 결판내야 하리라”고 한 것입니다.

 

일상 생활하는 사이에 항상 있는 그대로 이루어지게 하면 어찌 크게 안정되지 않겠습니까. 옛사람이 마음을 깨달았다 한 것도 이 마음을 깨달은 것이며, 방편을 드러낸 것도 이 방편을 드러낸 것입니다. 이로부터는 설사 만세가 지나더라도 움직이지 않고 그저 무심한 경지만 지키면서, 초연히 홀로 체득하여 다시는 상대가 없습니다. 상대가 있다면 양쪽이 생겨서 갑자기 너와나, 이익과 손해가 있게 되어 참된 경지를 밟을 수 없습니다.

 

그러므로 다시 일보 전진하여 한 법도 세우지 말아야 합니다. 그런 뒤에야 편안히 안주하여 본래인(本來人)을 분명히 보게 됩니다. 가슴 속의 물건을 떨어 버리고 눈앞의 일마저도 잃어버려, 전체로 안온하여 영원히 물러서지 않게 됩니다. 두려움 없는 방편을 얻어 이로써 뭇 중생들을 제도할 수 있으니, 정말로 오래도록 서로 끊임없이 해야만 좋을 것입니다.

 

71. 황태위영할(黃太尉鈴轄)에게 드리는 글

 

이 도는 그윽하고 깊어 천지가 아직 형성되기 전, 중생과 부처가 나뉘지 않은 데까지 다하고 담연히 고요하여 모든 변화의 근본이 됩니다. 애초에 있고 없음이 아니어서 티끌 인연에 떨어지지 않고 찬란히 빛나 그 끝을 헤아릴 수가 없습니다. 진실이라 할만한 진실도 없으며 오묘하다 할 만한 오묘함도 없이, 초연히 의식과 형상의 밖에 거처하므로 그것에 비교할 만한 물건이 없습니다.

 

그러므로 지인(至人)은 홀로 증득하고 민첩하게 빠져 나와 깨끗하여 아무 것도 없습니다. 이 연원을 꿰뚫고서 방편의 힘으로 단박에 그것만을 제창하여 최상의 근기를 제접하며 수행에 단계를 세우지 않습니다. 그 때문에 이 종승(宗乘)은 교(敎) 밖에 따로 전한다고 말합니다. 하나의 도장으로 눌러 찍어서 문빗장을 열어젖히고 머뭇거림을 용납하지 않습니다.

 

나아가서는 염화미소와 바늘을 던지고 불자를 들었던 것과 지팡이를 꽂고 선판(禪板) 궤안(机案)을 거절했던 일과 눈을 깜짝이고 눈썹을 드날렸던 일 등은 모두가 형식적인 도리와 말을 빌린 주장을, 별안간 지나치는 전광석화와도 같이 신속히 벗어난 것이었습니다. 천변만화를 하면서도 전혀 기댐이 없이 철두철미하게 속박의 그물과 굴레를 끊어버립니다.

 

그러나 준수한 부류만 허용할 뿐 어리석은 놈은 얘기할 것도 못됩니다. 바로 살인을 하고도 눈도 깜짝하지 않는 기개를 갖추기를 요하는 것이니, 하나를 깨치면 모두를 깨치고 하나를 밝히면 일체를 밝힌 다음에 훤출하게 통달하여 생사문제를 투철히 해결하여 범부를 뛰어넘어 성인의 경지에 들어갑니다. 높고도 원대한 식견을 쌓고 평소에는 칼끝을 노출하지 않다가 무심하게 돌출했다하면 여러 사람을 놀라게 합니다.

 

그것은 대개가 뿌리가 깊숙하고 줄기가 견고하여 위음왕불 이전 공겁(空劫)의 저쪽을 간파한 나머지 바로 지금의 일상생활과 다를 것이 없기 때문인 것입니다. 이미 이렇게 해 나갈 만한 힘이 있고 나면, 무거운 짐을 지고 멀리 가되 완전한 자재로움을 얻습니다. 삼대아승지겁을 줄여서 일념(一念)으로 삼고 7일을 늘려서 일겁(一劫)을 만드는 것 따위도 오히려 별 것 아니거늘, 더구나 삼천대천세계를 시방 밖으로 내던지고 수미산을 겨자씨 속으로 집어넣는 것쯤이야 집안에서 일상 차 마시고 밥 먹는 정도일 뿐입니다.

 

옛날에 배상국(裵相國)이 황벽(黃壁)스님에게서 종지를 얻은 일, 양대년(楊大年)이 광혜(廣慧)스님에게서 인가를 받은 일, 유마거사가 묘희세계(妙喜世界)를 한 손에 쥔 일, 방거사가 한 입에 서강(西江)의 물을 마신 일들이 어찌 어려운 일이었겠습니까. 오직 단박에 이 큰 인연을 깨쳤을 뿐이었습니다.

 

이윽고 이 도의 기본을 갖추고 나선 그런 가운데 다른 사람의 처분을 듣지 않고 용맹을 가지고 떨칠 수 있습니다. 대답하고 부르는 찰나에 착안하여 뛰어난 근기와 영리한 지혜를 운용하여 일체의 모든 것을 자기의 손아귀로 되돌려서 자유자재롭게 하면, 크게 통달하여 도와 덕을 간직하고 잘 실천한 옛 분들과 어찌 차이가 있겠습니까. 다만 근원 근원 끊임없이 이어지게 해야만 영원히 사는 길 위의 쾌활한 사람이 될 것입니다.

 

조사는 말씀하시길 “마음이 모든 경계를 따라 움직이나 움직이는 곳은 실로 그윽하여라! 흐름 따라 성품을 알면 기쁨도 없고 근심도 없도다”라고 하였습니다. 바로 그 움직이는 자리에서 그윽하고 심오한 뜻을 체득하고 흘러 움직이는 그 때에 본성을 철저하게 보아 양쪽의 치우침도 초월하고 중간에도 처하질 않습니다. 그런데 어찌 다시 거스름과 따름, 근심과 기쁨, 좋음과 싫음을 남겨 자신의 누림[自受用]을 가로막아서야 되겠습니까.

 

마음으로 마음에 전하고 본성으로 본성에 도장 찍기를 마치 물이 물로 들어가듯 하고 금으로 금을 입히듯 합니다. 즐겁고도 쉽고 일상적이며 함이 없고 하릴없어서, 경계와 인연을 만나더라도 한 번의 응수도 필요치 않습니다.

 

덕산스님의 방망이를 휘두름과, 임제스님의 “할”을 사용함과, 운문스님과 목주스님의 바람이 회오리치고 번개가 치는 듯 하는 것들이 무슨 먼 데 있는 것이겠습니까. 다만 정식에 휘둘리지 않아 색(色)을 덮고 소리를 누르며 고금을 초월하여, 모든 사물 위에서 통쾌하게 칼날을 휘두른 것입니다. 그래서 향상의 한 구멍을 열기만 하면 모든 성인이 나란히 아래에 선다고 하였던 것입니다.

 

조과스님은 실오라기를 입으로 불었고, 구지스님은 한 손가락만 보였으며, 조주스님은 세 차례나 “차나 마시게”라고 했고, 화산(禾山)스님은 네 번이나 “북 칠 줄 아는군”하였으며, 운문스님은 “수미산”이라 하였고, 동산스님은 “삼 서근[麻三斤]이다” 하였습니다. 이는 병, 소반, 비녀, 팔찌를 녹여서 하나의 금덩이로 만들고 소락제호(?酪醍?)를 휘저어 한 맛으로 만든 것으로서, 매우 미묘한 위없는 도에서 벗어나지 않습니다.

 

엄양존자가 조주스님에게 물었습니다.

“한 물건도 가져오질 않았을 땐 어찌합니까?”

“놓아버리게.”

“한 물건도 가져오지 않았는데 저더러 무엇을 놓아버리라 하십니까?”

“보아하니, 놓아버리지 않았군.”

 

그는 즉시 크게 깨달았습니다.

 

이 어찌 신령하고 날카로운 이해로 말끝에 돌이켜 반조한 것이 아니겠습니까. 단도직입으로 투철히 깨달아 마음을 잊고 생각을 끊은 완전한 해탈의 근원으로서, 본지풍광을 밟아 본래면목에 계합했던 것이었습니다. 이 한 구절로써 증득하기만 하면 천 구절 만 구절, 6근과 6진이 모두 함께 사라져서 심종(心宗)에 묵묵히 계합하는데 결코 다른 것이 아닙니다. 그런 뒤로는 독사와 사나운 호랑이를 항복받고 불가사의한 영험을 나타내니, 그 어찌 특수하다고 하지 않겠습니까.

 

72. 뇌공달 교수(雷公達敎授)를 전송하면서

 

석가세존이 계신 영산회상에는 백만 억의 현성(賢聖)이 모여들어 용상(龍象)들이 숲처럼 많았으니, 모두 그 어떤 무리들보다 뛰어난 큰 근기들이었습니다. 바람을 맞이하는 대로 투합계오하여 산 너머 바다 건너에서도 알아차릴 정도였으니, 어찌 하나를 들으면 열을 아는 정도였겠습니까. 털끝에 붙은 먼지만 슬쩍 건드려도 지극히 은밀하고도 그윽한 곳까지를 훤하게 보았습니다. 당연히 밝혀 주지 않아도 털끝만큼도 빠뜨리지 않고 먼저 알아차렸습니다.

 

그러나 꽃 한 송이를 들자 유독 금색두타(金色頭陀 : 가섭존자)만이 미소를 지음에 이르러서는, 노란 얼굴의 늙은이 석가는 이에 마음을 열고 손을 펴서 조금도 덮어 숨기지 않고 바로 말하였습니다.

“나에게 있는 정법의 눈과 열반의 마음을 맡기노니, 잘 간직하도록 하라.”

 

그 뒤로 과연 28세(世) 조사에게 각각 정확하게 전수되고, 바로 초조(달마)에게 열어 증명해 보임에 당하여, 지금까지 유통돼오면서 진실한 풍규(風規)가 떨어지지 않았습니다. 이 때에 문수, 보현, 미륵, 금강장, 관세음보살들도 모두 팔짱을 끼고 묵묵히 듣기만 했는데, 왜 그랬을까요?

 

그 지극한 뜻을 시험 삼아 잡아내 보건대, 주고받는 찰나를 맞이해서, 어찌 신중히 허가하지 않아서 그러한 것이겠습니까. 비록 눈으로 눈을 비추고 성스러움으로 성스러움을 잇는다고는 하나, 깃으로 날고 걸음걸이로 내닫는 그 체재는 샛길을 끊어버리지 않은 분이었습니다.

 

다만 향상의 하나[一着子]를 홑으로 제창하여 할 뿐인데, 이야말로 모든 성인들이 전수하지 못한 오묘함이며, 모든 중생들이 우러르는 종지로서, 틀을 벗어나고 식정을 초월하여 범부도 성인도 벗어나서 천지에 빛나고 고금에 광채를 드날립니다. 그러므로 2천년을 지나면서도 그대로 눈으로 본 듯합니다.

 

아난이 그 까닭을 묻기를 “금란가사 외에 따로 어떤 법을 보여 주셨습니까?”라고 하자, 가섭은 문득 아난을 불러 그가 대답하기를 기다렸다가 즉시 말하였습니다. “문 앞에 찰간대를 넘어뜨려 버려라.” 이것이 지난날의 염화미소와 무엇이 다르겠습니까. 같다면 면면히 이어져서 처음부터 두 갈래가 없습니다.

 

이는 『전등록(傳燈錄)』과 『보림전(寶林傳)』에 실린 바로서, 물이 물로 들어가고 금이 금박이 되는 것과 같기 때문에 달마스님이 부르짖기를 “사람의 마음은 곧바로 가리켜 교(敎) 밖에 따로 전한다”고 했으니 고인을 욕되게 하지 않은 것입니다.

 

위산스님이 말하기를 “이 종지는 그 오묘함을 얻기 어려우니 부디 자세하게 마음을 써야만 한다”라고 했습니다. 그러니 그 가운데서 정인(正因)을 단박에 깨달으면 대뜸 6진과 계급의 구덩이를 벗어나는 것이 됩니다. 다 떨어진 누더기를 입고 봉두난발로 비틀비틀 걸어가는 모습을 많은 사람들 속에서 살펴보면 반푼의 가치도 못됩니다만 홀연히 사무치게 뒤집어 한량없는 생의 업식종자(業識種子)를 물리치고 아무 것도 모르고 아무 것도 이해하지 못하는 곳에서 입에서 나오는 대로 말하고 손가는 대로 집어내 보이면, 있음[有]을 모르는 자는 마치 오리가 우레소리를 듣듯 눈만 껌벅일 뿐입니다.

 

그런 뒤로는 문빗장에서 문득 천군만중(千群萬衆)을 거느립니다. 진실로 그것을 갖추기만 하면 종종 큰 도를 갖춘 종사들이 번번이 모두 이렇습니다. 고귀한 세도에 처하여 재상과 대신을 지낸 경우에 이르러서는, 배상국(裵相國), 진조상서(陳操尙書), 백낙천(白樂天), 왕상시(王常侍)와 본조(本朝 : 宋代) 문공 양대년(文公楊大年), 부마이도위(駙馬李都尉)같은 이는 주위사람을 놀라게 하고 성인에 필적하였으니, 믿음이 사무치고 견해가 투철하여 다함없는 복을 누렸습니다. 모두가 특출한 지모와 빼어난 견해를 타고나서, 세간에 물들지 않고 출세간의 길목을 장악코자 하였기 때문에 이와 같았던 것입니다.

 

이 산승은 천성적으로 모자라고 우매하나 우연히 분별하여 선철(先哲)의 조예를 부여잡아 오르려 하고 있습니다. 비록 다른 사람을 능가하는 재주는 없으나 다만 오래도록 절개를 지킬 따름입니다. 믿음이 미약한 탓으로 잘 가르쳐 내보이지 못하면서, 사람을 위한답시고 40여 년이 흘러가버렸습니다.

 

매번 걸출한 영재를 만날 때마다 언제든지 속에 있는 것을 다 끄집어내어 늘어놓았습니다. 마음이 향하는 바대로 기연에 내맡겨 오로지 그런 가운데 한 구절, 한 마디 말을 튕겨 처음부터 끝까지 모든 성인들의 정수리 위에서 대자재 해탈의 역량과 작용을 밝혀 얻는데 전력할 따름입니다.

 

과연 온 세상의 뭇 중생들을 모두 제도하여 이들을 들어다가 함이 없고 하릴없는, 안락하고 온밀한 경지에 도달할 수 있게만 한다면, 석가모니, 금색두타로부터 아래로는 6대 조사, 당송(唐宋)의 크게 깨친 장군, 재상들에 이르기까지와 어찌 차이가 있겠습니까.

 

근원이 깊으면 물줄기가 멀리 가고 뿌리가 단단하면 꼭지가 견고합니다. 헛되이 인정하지 않아야만 이것이 진실하게 깨달은 영웅호걸의 신령스런 해탈대인인 것입니다.

 

73. 거제요연조봉(巨濟了然朝奉)에게 주는 글

 

자기 자신 속에 각자 이 한 덩어리[此段]를 갖추고 있으나 다만 숙세에 선근을 깊고 두텁게 심은 사람만이 세제(世諦)에 인연이 가볍다. 역량을 갖추어 스스로 헤쳐나아가 오랫동안 뒤로 물러나서 고고하게 운행하고 홀로 관조한다. 그리하여 3업(三業)을 청결히 하고 단정히 앉아 참구하면서 오묘하게 살펴서 명쾌하게 벗어난다. 자기 분상에서 견해를 여의고 망정을 끊어 만 길 절벽에 서 있는 듯하다.

 

시작 없는 때부터 익혀온 깊은 습관과 악각(惡覺)을 놓아버리고, 아상(我像: 아견)을 부수며 애견(愛見)을 고갈시키고 단박 깨치면, 모든 성인도 어찌할 수 없으며 만물도 그것을 덮어 숨겨버릴 수가 없다.

 

하늘 끝까지 빛나고 땅 끝까지 환하게 비춰 옛 불조께서 똑바로 지적하신 오묘하고 단엄청정하여 본래부터 갖추어져 있는 정체를 백 겹 천 겹 쌓여 분별할 수 없는 곳을 향하여 착안하고, 종횡 무진하여 끝내 갈라놓을 수 없는 곳에서 칼을 놀린다. 기봉은 사물보다 앞서 나오고 말은 생각을 초월한다. 쇄쇄낙락하여 맑고도 맑아서 변통하고 움직임에 자유롭고 역량의 작용이 활발하게 벗어났다.

 

예로부터의 깨달은 상류들과 같이 체득하고 같이 작용함이 전혀 차이도 없고 구별도 없다. 무심한 경지에서 다만 고요묵묵함을 지킬 뿐 애초에 칼끝을 드러내지 않아 흡사 어리석은 사람 같다. 인연 따라 널리 놓아버려, 주리면 밥 먹고 목마르면 물 마시는 것이 평상시와 다름이 없다. 이는 이른바 “여러 사람을 놀라게 하고 대중을 술렁이게 하지 않고 가만가만히 작용을 드러내어 큰 기틀〔大機〕을 발현한다”한 것이다.

 

오래토록 익어서 편안하고도 한가하며 온밀하면서도 참다운 경지에 도달하면, 다시 무슨 한가로이, 여기서는 부숴버렸다느니 저기서는 번뇌, 생사에 구속됨 등이 있겠느냐.

 

그러므로 옛날의 도 있는 어른들은 사람들로 하여금 6근과 6진을 벗어나게 하고서는 밀인(密印)을 널리 폈다. 30년이고 20년이고 싸늘하고 고요한 경지의 공부를 하게하며, 가는 털끝만큼이라도 알음알이가 조금이라도 있기만 하면 당장 바로 쓸어버리며, 쓸어버린 자취도 남기지 않는다.

 

생사의 저편에서 손을 놓아 전신을 놓아버리고 마침내 꿋꿋이 단단한 경지에서 큰 자유를 얻게 하였다. 다만 이러한 책략이 있다는 걸알까 염려스러워 할 뿐이니, 알았다 하면 큰 화근이 된다. 비로소 이렇게 해야만 진실하게 실천하는 것이다. 보지 못하였느냐. 왕노사(王老師: 남전스님), 조주(趙州), 동산(洞山), 투자(投子)스님들은 모두가 무심의 경계를 찬탄하고 소중히 여기면서 실로 후학들도 그렇게 하기를 바랐던 것을.

 

가령 기관(機關), 언어, 변혜(辯慧), 지해(知解)를 드러냈더라면 바로 심전(心田)을 더럽힌 셈이니, 끝내 영산의 염화와 소림의 면벽같은 부류에는 들어가지 못한다. 적지 않은 사람들이 천착하여 본분을 의지하지 않는다. 이는 입으로 성색(聲色)을 더듬고 작용하는 짓이란 것을 몰랐다 하리라. 이것은 참으로 뇌(腦)를 찔러서 아교 항아리 속에 다 부어 넣는 것과 아주 흡사한 것이다.

 

준수한 부류라면 그는 응당 그러하진 않으리라. 이미 살피고 검토했으니 반드시 원대한 것에 뜻을 두어, 머리를 맞대고 참됨을 실험한 자리에 도달해야 한다. 때문에 체득한 사람은 콧물 흐르는 것은 닦지만 공부할 것은 없는 것이다. 말해 보라. 그는 어느 곳을 밟고 가는지를!

 

교 밖에 홑으로 전한 것을 알려 하느냐? 섣불리 알아차리고 허공을 바라보며 움켜쥐고 더듬는 것이 아니다. 낱낱이 처음부터 끝까지 철저하게 꿰뚫어 천지를 덮으면서 사자새끼처럼 자재롭게 유희한다. 분명히 툭 트일 때는 똑바로 분명히 툭 트이고 면밀한 곳에서는 곧바로 면밀하다.

 

다만 한 덩어리 자기 발아래 있는 것이지만, 구경에 이르러선 모름지기 스스로 정신을 차려야만 진실을 수용하게 되리라. 

 

74. 장중우 선교(張仲友宣敎)에게 드리는 글

 

이 큰 인연을 탐구하려면 영리한 근기와 최상의 지혜라야만 마침내 약간은 힘을 덜었다 하겠습니다. 그러나 이 중요한 일을 하려면 항시 자기의 견해를 고요히 하고 가슴 속을 텅 비워 광채를 돌이켜 간파해 내서, 안과 밖이 텅 비어 고요하며 담연하고 분명하게 관조해서 한 생각도 나지 않는 곳에 도달해야 합니다.

 

연원을 철저하게 꿰뚫고 문득 스스로 깨치면 자체가 허공과 같아 이루다 헤아릴 수 없으며, 고금에 뻗쳐 만상도 가두지 못하고 범부나 성인에도 매이지 않습니다. 씻은 듯 적나라하여 이를 ‘본래면목’ 또는 ‘본지풍광’이라고 합니다. 한 번 얻으면 영원히 얻으니 미래가 다하도록 다시 무슨 걸리고 막힐 생사가 있겠습니까.

 

소소한 득실과 시비, 영고성쇄, 고요함과 혼란함에 이르러서도 대뜸 끊어 꽉 쥐고 주인 노릇하여 오래도록 길러갑니다. 한 마음이 나지 않으면 만법에 허물이 없으니, 그저 부디 조심해야 할 것은 알음알이를 일으켜서 깨치려고 하는 것입니다. 그러면 바로 피아(彼我)에 떨어져 반드시 사랑과 증오의 마음이 생겨 씻은 듯 벗어버리지 못합니다. 이 무심한 경계, 즉 사념 없는 진실한 종지는 요컨대 매섭고 영리한 사람만이 비로소 얻을 수 있습니다. 조사가 서쪽에서 오셔서 사람의 마음을 곧바로 가리켜 사람들로 하여금 견성성불하게 하였을 뿐입니다.

 

이미 분명하게 이 마음을 믿고 들어가 확실히 도달하면 모든 인연을 놓아버려 항상 마음을 텅 비워야 합니다. 이것이 성태(聖胎)를 길러 진정한 수행으로 들어가는 것입니다.

 

만일 정녕 깨달은 바가 없다면 경계와 외연을 만났을 때 언제든지 어지러워 모든 사물에 쉽게 휘둘려 생사의 속박 속에 오래도록 떨어지게 됩니다. 그러니 반드시 정신을 바짝 차리고 덧없음만을 생각하여 생사문제를 큰 일로 삼아야만 합니다.

 

매일매일 살아가는 가운데서 움직일 때에는 그 움직일 때를 살펴보고, 가만히 있을 때에는 가만히 있을 때를 살피며, 옷 입을 때는 옷 입을 때를 살피고, 밥 먹을 때는 밥 먹을 때를 살펴서 서 있는 바로 그 자리에서 분명하게 드러나는 것이 있어야 합니다.

 

이 대사인연을 깊게 믿으면 공겁(空劫) 저편으로부터 부모가 낳아주시기 이전까지가 그 자리에서 뚜렷하게 밝아집니다. 그것은 바로 지금 매일 살아가는 가운데 있을 뿐이니, 언제 한번이라도 모자라거나 부족했던 적이 있겠습니까. 한 곳만 꿰뚫으면 어느 곳 하나도 빠뜨림없이 투철하여, 이른바 “곳곳마다 참되고 티끌마다 본래인이다”는 것입니다.

 

진실이 말을 할 때는 소리가 나타나지 않고 그 자체 당당하나 몸이 없습니다. 그러니 한 티끌을 잠깐 들자마자 대지 전체가 딸려옵니다. 온 법계가 모두 나이니 다시 어는 곳에는 눈, 귀, 코, 혀, 몸, 의식을 붙이겠습니까. 둘이 아니고 다르지 않은 줄 분명히 알아야 하겠습니다. 이는 마치 물이 물로 들어가듯 금에다 금을 올리듯 하여, 참으로 여여(如如)한 실제의 큰 해탈문입니다.

 

옛날 우적상공(于?相公), 배휴상국(裴休相國) 본조(本朝)의 내한 양억, 태위 이준명(太尉李遵明) 등은 모두 빼어난 근기와 지혜를 받고 태어나 방외(方外)의 노숙(老宿)과 함께 오랫동안 마음을 가다듬고 참구하여, 모두들 깨달은 바가 있어 빠짐없이 현인달사가 되었습니다. 이는 아마도 한 세상에서만 훈습한 근기가 아니었기 때문일 것입니다.

 

우공(于公)은 자옥(紫玉)스님을 뵙고 부처가 무엇이냐고 물었습니다. 자옥스님이 그를 불러 그가 네 하고 대답하자 이렇게 말했습니다. “이것일 뿐이다”고. 배공(裴公)이 황벽(黃蘗)스님에게 고승은 어디에 있느냐고 묻자, 황벽스님은 “따로 구하지 말라”고 했습니다. 또 양대년(楊大年)은 광혜(廣慧)스님에게 공부해서 깨치고는 게송을 지었습니다.

 

팔각의 맷돌 판은 허공 속을 달리니

금빛 털 사자를 개라 부르는도다

몸을 뒤집어 북두성에 감추려거든

모름지기 남극성 뒤에다 합장하게나.

八角磨盤空裏走 金毛師子喚作狗

擬欲?身北斗藏 應須合掌南辰後

 

이도위(李都尉)는 석문(石門)스님을 뵙고 크게 깨닫더니 게송을 지었습니다.

 

도를 배우려면 반드시 무쇠 같은 놈이라야 하나니

착수하는 마음에서 바로 결단내라

위없는 보리에 대뜸 나아가려거든

일체의 시비를 관여하지 말라.

學道須是鐵漢 著手心頭便判

直趣無上菩提 一切是非莫管

 

이상의 네 공(公)들이 말한 것에 어찌 다름이 있겠습니까. 마음자리를 밝혀 그대로 근본을 뚫었을 뿐입니다. 이미 진실을 살피고 나면 작용하는 대로 따를 뿐 그 밖에 도리가 없습니다.

 

오조(五組)스님께서는 항상 물으셨습니다. “과거의 마음도 얻지 못하고, 현재의 마음도 얻지 못하고, 미래의 마음도 얻지 못한다. 이 세 마음을 얻지 못한다면 필경 마음은 어느 곳에 있느냐?”라고, 산승은 평상시에 참당하는 대중들에게 아래와 같이 법문을 합니다. 즉 방거사가 마조대사에게 만법과 짝하지 않는 사람은 어떤 사람이냐고 묻자, 마조대사는 “그대가 한 입에 서강의 물을 모두 마시면 그때 가서 말해주겠다”고 하였습니다.

 

만일 마침내 마음의 귀결점을 참구해 낸다면 ‘한 입에 서강의 물을 다 마신다’한 것을 알아차리겠지만, 다른 견해를 내어 한 생각이라도 의심을 냈다 하면 어찌해볼 도리가 없습니다. 요컨대 모름지기 모든 인연을 놓아버리고 잡다한 지해(知解)를 깨끗이 없애 헤아림이 없는 자리에 도달하여 홀연히 깨달아 들어가야 합니다. 그러면 자기 창고를 열어 자기 집안의 재물을 꺼내 쓸 것입니다.

 

75. 문덕거사(文德居士)에게 드리는 글

 

소박 진실하게 땅을 밟고서 수행하여 알음알이를 정화하는 이것이 가장 잘하는 것입니다. 이는 이른바 말로 한 발[一丈]을 설명함이 직접 한 자[一尺]를 행하는 것만 못하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본성을 보아 이치를 깨달으면 망정과 생각을 모두 버리고 가슴이 툭 트여서, 일체의 모습을 여의고 원융하게 사무쳐 텅 비게 통합니다.

 

그런 뒤에는 처음부터 끝까지 철저하여 물(物)·아(我)가 일여하고 삶과 죽음이 똑같고 부처와 중생이 평등합니다. 어묵동정, 무엇을 하든지 어느 곳에서나 근원을 만나, 한 털 한 티끌이 모두 거두어들임이 됩니다. 그런 뒤에 매일 생활하는 가운데서 땅에 턱 버티고 앉은 사자와도 같은데 누구라서 감히 목전에 어리댈 수 있겠습니까.

 

이리하여 하나의 모습, 하나의 행동에서 변행삼매(遍行三昧)를 얻으며, 근기와 기연을 이미 벗어버리고 나니 단번에 무심경계가 나타납니다. 실오라기만한 생각이라도 나기만 하면 다 끊어야 비로소 향상인의 살림살이라 할 수 있습니다.

 

그 때문에 옛날 큰스님께서는 현묘를 참구하는 사람이, 무엇보다도 오묘한 마음을 먼저 깨닫고 나서 수행할 것 없는 수행을 하여, 깨달을 것도 없는 깨달음을 증득하는 것만을 귀하게 여겼습니다. 밖으로 달려 구할 것이 없고 그저 스스로 광채를 돌이켜 그대로 알아야 할 따름입니다.

 

옛 사람이 기연에 투합했던 것을 보지도 못하였습니까. 강 건너편에 서서 부채를 흔들어 불렀으며, 찰간대를 거꾸러뜨리라 하였고, 한 손가락을 세웠으며, 실오라기를 입으로 불었고, 복사꽃을 보고 깨치기도 했으며, 대나무에 기왓조각 부딪히는 소리를 듣고 깨치기도 했습니다. 이는 모두가 깨달아 증득한 곳들인데, 불법에 어찌 많은 곡이 있겠습니까.

 

요컨대 재주를 끊어 버리고, 그 자리에서 알아차린다면, 그것이 바로 안락하게 닦아 증득하는 경지입니다.

 

76. 흥조거사(興祖居士)에게 드리는 글

 

허망한 속박을 벗고 생사의 소굴을 부수려면, 첫째 근기가 매서워 날카롭게 트여야 하며, 다음으로 영원토록 물러나지 않겠다는 마음을 갖추어야만 합니다. 역량을 크고 깊게 하여 마군이나 경계인연에 흔들리지 않고 불조의 큰 법으로 본심에 도장을 콱 찍어야 합니다. 이 마음은 진정명묘(眞淨明妙)하여 홀로 우뚝하게 존재합니다.

 

허공세계는 생겼다가 사라지지만 이것은 애초부터 변하지 않습니다. 똑바로 한결같이 부여잡고 탐구하면서 처음부터 끝까지 철저하게 물(物)과 아(我)가 하나가 되면 아래로 사무치고 위로 통합니다. 금강의 바른 몸은 분명하고도 분명하여서 털끝만큼도 샐 틈이 없이 영롱하여 광채가 사무치니, 만 년이 한 생각입니다. 처음엔 비록 완전하지 못하다 해도 죽음을 무릅쓰고 뿌리치면 날이 갈수록 친근해집니다. 북실이 오고 가듯 끊기지 않게 길러 푹 익게 되면, 하루종일 모든 경계 속에서 착착 육진을 벗어날 의식과 몸이 빠져나올 길이 있습니다.

 

청정한 계행을 지니되, 계행에 집착하는 생각이 없으며, 호호탕탕히 수행을 해도 공부한다는 생각을 남기지 않습니다. 그저 한결같이 자취를 남기지 않으면 자연히 도를 체득한 옛사람들과 짝이 됩니다. 그러므로 큰 스님들이 깨달아 들어가고 수행 증득해서는 설법좌를 얻어 법의를 걸친 뒤에도 스스로 살필 것을 말씀하셨으니 바로 사람들을 무간도(無間道) 속의 공부를 하게 하였던 것입니다. 그런데 더구나 생사의 일과 같이 큰 경우야 말해서 무엇하겠습니까!

 

상당한 사람들이 죽는 날에 가서는 손발을 허우적거립니다. 이는 대체로 평상시에는 평온했으나 내내 거칠게 들뜨면서 티끌 인연을 따라 뒹굴다가, 시절이 도래하면 목이 마르자 우물을 파는 격이니, 그래서야 어떻게 해 내겠습니까.

 

사람으로 태어난 이 한 생에 일찌감치 돌이키지 않으며 백겁천생 부질없이 빗나갑니다. 이제는 이것이 있는 줄 알았으니 굳건히 앞만 보고 나아가며 모든 알음알이를 덜고 허망한 인연을 버리십시오. 영원히 가슴 속을 깨끗이 비워 한 티끌도 일삼을 것이 없게 해야 합니다. 혹 망상이 일어나거든 당장에 밀쳐 버려 결코 거기에 머물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본성은 항상 밝지만 그 밝음은 취할 수도 없고, 취모검과도 같이 늠름하니 뉘라서 감히 칼끝을 당하겠습니까. 그 자리는 일체 말길이 끊기고 마음 가는 곳도 없습니다. 가고 싶으면 가고 머물고 싶으면 머물러, 성인에 들어가는 것도 아니고 범부에 속해있는 것도 아니니, 어찌 일을 마친 범부가 아니겠습니까.

 

이 때문에 옛부터 사람을 가르치고 훈계하면서 오직 무심에 힘썼을 뿐이니, 여기서는 참된 마음이 없다는 것이 아니라 깨끗하고 더럽고 기대고 분별하며 헤아리고 집착하는 모든 마음이 없다는 것입니다. 이것이 발심하여 도를 배우고 깨달아 들어가는 수행방편의 순서입니다.

 

77. 초연거사(超然居士)에게 드리는 글

 

조산(曹山)스님이 오본(悟本洞山)스님을 하직하자 오본스님이 물었습니다.

“어디로 가려는가?”

“변함이 없는 자리로 가렵니다.”

그러자 다시 따져 물었습니다.

“변함이 없는 자리인데 어찌 가는 것이 있느냐?”

“가는 것도 역시 변함이 없습니다.”

 

직접 참된 자리를 밟지 않았다면 어떻게 이처럼 투철할 수 있었겠습니까. 그러니 어찌 말과 생각[機思]으로 헤아릴 바이겠습니까. 그러니 아마도 지극히 심오한 곳을 밟아 번뇌 없는 극치에 도달했기 때문이니, 그런 뒤에는 가두어둘 수 없습니다. 도를 배우는 사람이라면 확실한 목적을 세워 몸뚱아리를 벗어나 생사를 하나로 보고 고금을 합치며 오고감을 끊어버려야 합니다.

 

요컨대 뛰어난 무리들과 인연을 맺어 지극히 진실하고 깊숙한 경지에 나아가야 합니다. 자기를 결단내고 적나라한 데까지 뽑아 드러내 실낱만한 알음알이 때문에 티끌 인연에 떨어지는 일이 없도록 해야 합니다. 그 자리에서 마음을 마른 나무나 썩은 기둥처럼 하여, 마치 완전히 죽어서 조금도 호흡이 없는 사람처럼 해야만 합니다.

 

마음 마음에 알음알이가 없고 생각 생각마다 안주함이 없어, 천만의 성인이 나와도 흔들리지 않아야만 비로소 마른 나무에서 꽃을 피울 것입니다. 대기대용(大機大用)을 발휘하고 자비를 일으켜야만 공 없는 공이며 작위 없는 작위이니, 어찌 득실과 시비에 떨어지겠습니까. 한 털끝만큼이라도 마음속에 남겨둔 것이 있기만 하면 생사의 경계에 저촉되어 자기도 제도하지 못하는데 어떻게 다른 사람을 제도하겠습니까. 유마대사(維摩大士)는 금속여래(金粟如來)의 자리도 팽개치고 술집과 기생방에 들어가 큰 해탈의 불사를 지었습니다.

 

78. 위학사(魏學士)에게 드리는 글

 

얼굴을 마주해서 드러낸 그때 벌써 부촉을 끝냈으니, 만약 영리한 근기가 한 마디 말끝에 깨닫는다 해도 벌써 낭패입니다. 그런데 하물며 종이에다 먹을 적셔 말에 끄달리고 설명을 한다면 점점 아득히 멀어집니다. 그러나 이 하나의 큰 인연은 사람마다 모두 갖추고 있습니다. 단 자기에게서 찾아야지 다른 데서 찾지 말아야 합니다.

 

그것은 아마도 자기 마음이 모습이 없고 텅 비고 한가로워 고요하고 은밀하되, 4대 6근을 항상 형상 짓고 그 빛은 뭇 물상을 삼키기 때문입니다. 만약 마음과 경계를 모두 고요히 하고 둘 다 잊어 지견과 알음알이를 끊고 그 자리에서 뚫어버리면 바로 부처의 마음이어서, 이 밖에 다시 어떤 법도 없습니다.

 

그러므로 조사가 서쪽에서 오셔서 오직 “사람의 마음을 곧바로 가리켜 교 밖에 따로 전한다” 또는 “바른 도장을 외길로 전하며 언어문자를 쓰지 않는다”라고 말씀하심은 사람들을 그 자리에서 쉬게 하기 위해서였습니다.

 

마음을 내고 생각을 움직여 바깥 사물을 인식하고 자기 견해를 인식하면서 정혼을 놀려 일정한 틀에 집착한다면 어찌해볼 도리가 없어집니다. 석상(石霜)스님은 이렇게 말하였습니다.

“쉬어라, 푹 쉬어라. 당장 입술에 곰팡이가 피도록, 한 가닥 흰 명주실처럼, 일념이 만 년이 되도록, 냉랭하고 싸늘하도록, 옛 사당 안의 향로처럼 되도록 하라.”

 

이 말만 믿고 의지하여 수행하면서 몸과 마음을 흙과 나무와 돌덩이처럼 놓아 버려야 합니다. 그러다 보면 자기도 모르는 결에 변함없는 자리에 도달하여 호흡이 끊기고 속박이 끊어져서 한 생각도 나지 않으면, 마치 어둠에서 등불을 만난 듯, 가련한 사람이 보배를 얻은 듯 갑자기 기쁨을 얻습니다. 4대 5온이 가볍고 편안하여 마치 무거운 짐을 벗어버린 듯합니다. 몸과 마음이 훤히 트여 모든 모습이 마치 헛꽃[空華]과 같아서 결코 잡을 수 없음을 분명히 비춰보게 됩니다.

 

이 본래면목이 본지풍광을 나타내고 한 가닥 청허(淸虛)함을 드러내니, 바로 이것이 자기가 신명을 놓아버리는, 편안하고 한가하며 함이 없는 쾌락의 경지입니다. 천만의 경론이 이를 설명했을 뿐이며 과거 미래의 성인이 작용하는 방편의 오묘한 문도 다만 이것을 지적했을 뿐입니다. 마치 열쇠를 가지고 보배 창고의 자물통을 여는 것과도 같습니다. 문만 열리고 나면 보이는 것마다 만나는 인연마다 천차만별한 것이기는 하나, 모두 자기 본분에 원래 있던 보배여서 손 가는 대로 집어내 마음대로 쓰게 됩니다. 이를 두고 “한 번 얻으면 영원히 얻어서 미래세가 끝날 때까지도 다함이 없다”고 하는 것입니다.

 

얻을 것이 없는 자리에서 얻고, 얻더라도 역시 얻는 것이 아니어야만 진실한 얻음입니다. 만일 그렇지 못하다면 깨달음도 있고 얻음도 있게 되어 끝내는 사이비 반야[相似般若]에 떨어지니 그것은 구경[究竟]이 아닙니다. 우선 툭 트이게 이 근본을 통달하여 분명해지고 나서, 그런 뒤에 힘을 내서 작용하는 것이 바르고 좋은 수행입니다.

 

하루 종일 부지런히 실천하면서 한 법도 갖거나 버릴 것이 없으면 그 자리[當處]가 원융하여 곳곳이 삼매이며 티끌마다 조사입니다. 그러면서도 훌륭히 알았다는 마음을 간직하지 않고 나와 남이 없는, 평등하여 한 모습인 큰 도를 오로지 행합니다. 계율을 받들고 재계를 지녀 3업을 알뜰하게 닦아 티 없이 청정하여 말숙해야 합니다. 나아가서는 6도만행에 낱낱이 원통하여 대기와 대용을 발현하고 더더욱 모든 사람들이 이를 믿고 이를 침구하며 이를 깨닫게 해야 합니다.

 

반드시 해(解)와 행(行)이 상응해야 하며, 절대로 인과를 무시하여 너저분하게 마군의 삿된 견해를 지어서는 안됩니다. 잠깐만이라도 이런 생각을 내면 곧 반야를 비방하는 것이어서, 마침내는 악한 과보를 초래하게 됩니다. 그러므로 불조께서 하신 말씀들을 “청정하고 분명한 가르침”이라 말하니 반드시 이 정인(正因)을 의지하고 나서야 현묘한 과위를 증득하게 됩니다.

 

일생 동안 있는 힘을 다해 생사를 투철히 벗어나려 해야 합니다. 만약 한 생각 뚜렷하게 깨치기만 하면 생각 생각에 수행하되 닦음 없이 닦고 지음 없이 지음으로써 연마하여 갑니다. 모든 경계에 집착하지 않고 선악의 업보인연에 매이지 않아 완전한 해탈을 얻게 됩니다.

 

백년 후 죽음에 이르러서는 홀연히 홀로 벗어나 앞길이 훤하고 겁겁생생토록 자기를 미혹하지 않으니, 이것이 백 번 천 번 타당한 것으로서 모두가 언어문자에 떨어지지 않는 현묘한 기봉과 경계의 극치를 드러내는 것입니다. 그러나 응당 잠잠한 마음으로 참구하여 번뇌를 투철히 해결하고, 청정한 묘과(妙果)를 얻어야 합니다.

 

79. 가중현량(嘉仲賢良)에게 드리는 글

 

마음 그대로가 부처이며 부처 그대로가 사람이어서 사람과 부처가 차이가 없어야 비로소 도라 했으니, 이는 진실한 말입니다. 마음만 진실하면 사람과 부처가 모두 진실합니다. 그러므로 조사께서는 오로지 사람의 마음을 곧바로 가리켜 견성성불하게 하였던 것입니다. 누구나 가진 이 마음은 오랜 세월 전부터 청정무구하고 애초부터 집착이 없으며 고요하되 비추면서 응연(凝然)하여, 마침내 주관과 객관이 없어 완전하고 원만합니다.

 

그러나 다만 자성을 지키지 않고 한 생각을 허망하게 움직였기 때문에 이윽고 가없는 지견을 일으켜 모든 존재[有]에 표류하게 되었던 것입니다. 서 있는 자리에 항상 이 본지풍광을 차고 있으면서 한번도 어두운 적이 없었으나 6근과 6진에 부질없이 속박을 받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만약 숙세의 근기를 바탕으로 모든 불조께서 단도직입적으로 보여주신 경계를 만난다면, 그대로 뒤집어서 기름때 낀 누더기를 벗어버리고 적나라하게 되어 대뜸 깨치게 됩니다. 이것은 밖으로부터 오는 것도 아니며 안에서 나오는 것도 아닙니다.

 

당장 확연하게 이 성품을 분명히 깨칠 뿐인데, 무슨 다시 사람이니 부처니 마음이니 하겠습니까. 마치 활활 타는 용광로 위에 한 점의 눈을 떨어뜨리는 것과도 같은데, 다시 무슨 허다한 근심이 있겠습니까. 그러므로 이 종문[宗門]에서는 말이나 문자를 세우지 않고 최상승의 근기만을 인정할 뿐입니다. 마치 회오리바람처럼 빠르고 전광석화처럼 단박에 깨쳐서 생사의 흐름을 끊고 무명의 껍데기를 부숴버려 조금도 의혹이 없습니다. 그대로 단박에 밝혀서 하루 종일 모든 외연을 굴려서 위없는 오묘한 지혜를 이루니, 어느 겨를에 시끄러움을 싫어하고 고요함을 찾으며 저것을 버리고 이것을 취하겠습니까.

 

한 번 진실하면 일체가 진실하며, 하나를 알면 일체를 압니다. 마음의 근원에 만유를 총괄하고 세상 저 밖에서 방편의 기틀을 움켜쥐어서, 사물에 응하는 대로 형체를 나타내니, 나에게 법마다 원만하지, 아니한 것이 무엇이 있겠습니까! 우선 자기의 귀결점을 정해야만 합니다. 서 있는 곳이 굳게 다져지면 자연히 바람 부는 대로 풀이 쏠리게 마련입니다.

 

그 때문에 왕노사[王老師]는 열여덟 번 만에야 살 궁리할 줄을 알았으며, 향림(香林)스님은 40년만에야 ‘한 덩어리’를 이루었던 것입니다. 번뇌의 짝이 바로 여래 종자가 되는 일은 다만 당사자 스스로 바람을 잘 살펴 돛을 조절하는 데 있습니다.

 

생각 생각이 계속 이어지고 마음 마음이 머물지 않아 이 영원히 사는 길을 밟는다면 불조와 똑같은 덕, 같은 본체와 작용, 그리고 같은 깨달음을 누리게 됩니다. 그런데 하물며 사방 백리 되는 고을 다스리는 것쯤이야 손끝에나 있겠습니까. 백성을 편안히 하고 중생을 이롭게 하면 저절로 편안해집니다.

 

세상 모든 일이 이 한 기미에 동화되며 모든 차별이 이 하나의 관조에 일치됩니다. 티끌 같은 법계도 두루 통하는데 하물며 사람과 부처가 다를 것이 있겠습니까!

 

80. 방청로(方淸老)에게 드리는 글

 

달마스님이 인도에서 오셨을 때 한 물건인들 가지고 오셨겠습니까. 양나라, 위나라를 돌아다니다가 소림에서 면벽하였으나 그를 알아보는 사람이 없었고 유독 혜가조사(慧可祖師)만이 부지런하게도 눈 위에 서서 팔을 끊자, 비로소 조금이나마 자비를 베풀어 이로 인해 마음을 깨달았습니다.

 

그러나 가령 말이 없었다 한다면 무엇으로 깨달아 들어갔으며, 말이 있었다 한다면 그에게 무엇을 말했겠습니까? 그러므로 바로 그 사람이라야만 비로소 완전히 깨쳐서 번뇌가 없으리라는 점을 알겠습니다. 그 때문에 이 문에 들어오는 사람은 반드시 근기가 날쌔고 영리해야만 합니다. 종전의 지견과 알음알이를 빨리 버리고 가슴 속을 허허로이 말끔히 비워서 털끝만큼도 남기지 않고 환하게 비추고 엉킨 듯 텅 비어 있어야만 합니다. 언어와 생각의 길이 끊어져 본원에 곧장 계합하고, 아무 것도 아무 한계도 없어야 합니다. 그래서 본래부터 자기에게 있기 때문에 얻을 것조차 없는 오묘한 이치를 스스로 얻어야만 비로소 신심과 견해가 사무쳤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래도 한량없고 끈이 없어 헤아리기 어려운 대기대용이 있게 됩니다. 혹시 약간이라도 주관과 객관을 남겨 두어 경계와 인연에 떨어지면 졸지에 상응하지 못합니다. 그러므로 고덕은 단박에 쉬어라, 쉬어라 했던 것입니다. ‘이것’은 비유하면 마치 나는 매가 구름을 헤치고 태양을 찌르듯, 또 바람을 휘몰아쳐서 푸른 허공을 등지고 날쌔게 치솟듯 그대로 솟아올라 머뭇거림을 용납하지 않으니, 혹 주저하면 빗나갑니다. 이것으로 교 밖에 따로 전한다는 것을 미루어 알 만합니다. 그러니 여기에 뜻을 두었다면 놓아 버리십시오. 그 자체를 단박에 알아차려 일체가 있는 그대로 완전하면, 초조인 달마스님도 일찍이 온 적이 없고 자기도 얻을 것이 없습니다.

 

 

'원오심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원오심요(81-121)  (0) 2015.08.24
원오심요 (1-40)  (1) 2015.08.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