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화경』에 나타난 증상만(增上慢)의 사상적 연원과 그 정체성 고찰 /차차석 불교학연구 제4호 (2002.6) 『법화경』에 나타난 증상만(增上慢)의 사상적 연원과 그 정체성 고찰 차차석/동국대학교 1. 서론 법화경의 핵심품인 방편품에는 오천명의 비구, 비구니, 우바새, 우바이등이 부처님께서 법화경을 설하려고 하자 자리를 박차고 일어나 퇴장하는 장면이 나오며, .. 대승경전/법화경 2017.02.14
범본 법화경 「여래수량품」에 나타난 석존의 보살행에 대한 연구 『불교학리뷰(Critical Review for Buddhist Studies)』 18권(2015. 12) 49p~85p 범본 『법화경』 「여래수량품」에 나타난 석존의 보살행에 대한 연구 (본 논문은 필자가 2015년도에 제출한 박사학위논문의 제4장 중 일부 내용에 다소 수정을 더하여 작성한 것이다.) 하영수/(금강대학교) [국문요약] 『법화경』 「여래수량품」은 붓다의 수명에 관해서 중요한 교설을 설하는 품 으로 예로부터 중시되어 왔다. 그런데 범어본 「여래수량품」에는 “나(=붓다)의 보살행은 끝나지 않았다”라는 경문이 포함되어 있다. 이 구절은 한역 법화경 에는 설해지지 않았는데, 이를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하는 문제의식이 본 논문 을 작성한 계기이다. 본 논문에서는 한역과 범어본 사이의 차이를 해.. 대승경전/법화경 2017.01.16
법화경(法華經)이란 어떤 경전인가 석가모니불 1. 경전의 편집 붓다 입멸 이후 100년이 지나서 분열이 시작된 불교는 끝내 20개 부파로 갈라졌다. 하지만 불교는 곧이어 기존 불교의 분파보다 더 큰 변화를 맞이하게 된다. 서력기원 전후가 되자 그때까지의 부파불교에 대한 개혁운동이 일어나기 시작한 것이다. 개혁운동을 일으킨 사람들은 부파불교를 '진리에 이르는 작은 탈것(小乘) 즉 소승불교라 비난하고 자신들이 시작한 불교운동을 '커다란 탈것(大乘)" 이라고 주장했다. 그들은 자신들의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하여 새로운 경전을 편찬하기 시작했다. 이것이 곧 대승경전이다. 대승경전은 각자의 사상적 주장에 따라서 여러가지가 편찬되었다. 그중에서도 은 기원후 50년경에서 150년 사이에 걸쳐서 오늘날과 같은 형태로 정리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2. 여.. 대승경전/법화경 2014.03.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