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명의 번뇌 2

제46상윳따 - 제17장 추구 품(SN46:144-SN46:154. Esanā-vagga)

제17장 추구 품 Esanā-vagga (SN 46.144-154) esanāsuttaṃ (SN 46.144-추구 경) 161. 사왓티에서 설해짐. “비구들이여, 이런 세 가지 추구가 있다. 무엇이 셋인가? 감각적 쾌락의 추구, 존재의 추구, 청정범행의 추구이다. 이것이, 비구들이여, 세 가지 추구이다. 비구들이여, 이 세 가지 추구를 철저한 지혜로 알기 위해서 일곱 가지 깨달음이 요소를 닦아야 한다. 무엇이 일곱 가지 깨달음의 요소인가?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는 분리됨에 의지하고 탐냄의 떠남에 의지하고 소멸에 의지하여 내놓음에 이르는 마음챙김으로 이루어진 깨달음의 요소를 닦는다. ··· 여기 비구는 분리됨에 의지하고 탐냄의 떠남에 의지하고 소멸에 의지하여 내놓음에 이르는 평정으로 이루어진 깨달음의 요소..

제46상윳따 - 제12장 추구 품(SN46:95-SN46:105. Esanā-vagga)

제12장 추구 품 Esanā-vagga (SN 46.95-105) esanāsuttaṃ (SN 46.95-추구 경)1. “비구들이여, 이런 세 가지 추구가 있다. 무엇이 셋인가? 감각적 쾌락의 추구, 존재의 추구, 청정범행의 추구이다. 이것이, 비구들이여, 세 가지 추구이다. 비구들이여, 이 세 가지 추구를 철저한 지혜로 알기 위해서 일곱 가지 깨달음의 요소를 닦아야 한다. 무엇이 일곱 가지 깨달음의 요소인가? 여기 비구는 탐욕의 길들임에 이르게 하고 성냄의 길들임에 이르게 하고 어리석음의 길들임에 이르게 하는 마음 챙김으로 이루어진 깨달음의 요소를 닦는다. ··· 법의 간택으로 이루어진 깨달음의 요소를 닦는다. ··· 정진으로 이루어진 깨달음의 요소를 닦는다. ··· 희열로 이루어진 깨달음의 요소를 닦..