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가지 해탈(解脫)의 의미에 대한 고찰 - 니까야(Nikāya)를 중심으로 - 정준영 (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 1. 들어가는 말 2. 초기경전에서 나타나는 vimokkha에 대하여 1) 세 단계의 vimokkha 2) 여덟 단계의 vimokkha 3. 초기경전에서 나타나는 vimutti에 대하여 1) 심해탈 2) 혜해탈 3) 양분해탈 4. 마치는 말 1. 들어가는 말 불교는 ‘해탈(解脫)’을 위한 종교다. 하지만, 불교수행의 목표인 해탈에 대해서는 명확하게 정의 내려지지 않은 것 같다. 본고는 시대에 따라 다양하게 이해되는 해탈을 역사적으로 구분하기에 앞서, 초기불교를 기준으로 해탈의 의미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해탈로 번역되는 빠알리(pāli)어는 ‘vimokkha(vimokha)’, ‘vimut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