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념처 2

사념처의 심리적 지평에 관한 일고찰/임 승택

사념처의 심리적 지평에 관한 일고찰 - 5가지 장애(pañcanīvaraṇāni)의 문제를 중심으로 - 임 승택/동국대학교 연구교수. 1. 시작하는 말 2. 5가지 장애와 사념처 3. 5가지 장애와 선정 4.사념처의 심리적 지평 5. 마치는 말 1. 시작하는 말 초기불교 수행체계의 전형으로서 몸(身)․느낌(受)․마음(心)․법(法)의 사념처(cattāro satipaṭṭhānā)가 있다. 남방불교의 위빠사나(vipassanā)란 바로 이 사념처를 두고 하는 말이다.본 고는 5 장애(五蓋, pañcanīvaraṇāni)의 문제를 중심으로, 그러한 사념처의 위빠사나가 행해질 때의 심리적 지평에 대해 조명하고자 한다.1) 1) 남방불교의 수행전통에 따르면, ‘위빠사나(觀, vipassanā)’란 곧 ‘사념처(c..

대념처경(大念處經.Mahāsatipaṭṭhāna sutta. D22))

대념처경(大念處經.Mahāsatipaṭṭhāna sutta. D22))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한 때에 세존께서는 꾸루족의 읍내인 깜마사담마라는 곳에서 꾸루 사람들 사이에 머물고 계셨다. 거기에서 세존께서는 비구들에게 말씀하셨다. '비구들이여' 라고. 그러자 비구들도 받들었다. '세존(존귀하신 이여)이시여' 라고. 세존께서는 이와 같이 말씀하셨다. [대의(大義)] 비구들이여, 이것은 중생들을 청정하게 하고, 슬픔과 비탄을 극복하게 하며, 괴로움과 고통을 소멸시키게 하고, 진리의 길을 얻게 하며 그리고 열반을 실현하게 하는 길이다. 바로 이것이 네 가지에 대한 알아차림(마음챙김. 마음새김)의 확립이다. 그러면 무엇이 네 가지인가? 비구들이여, 여기에 한 비구가 있어, 몸에 대해서 몸을 따라가며(이어 보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