할절의 2

律藏에 있어서 袈裟의 변천과 의미/염중섭(자현)

律藏에 있어서 袈裟의 변천과 의미 조계종 교수아사리 연구비 지원에 의해 작성된 논문임 염 중 섭(자현)35)/조계종 교수 아사리 Ⅰ. 序論 Ⅱ. 불교가사의 시원 1. 佛傳의 가사 연원 2. 초기의 糞掃衣 3. 통천의 수용과 문제점 Ⅲ. 불교가사의 형성 1. 율장의 가사 연원 2. 三衣의 형성과 복제의 완성 Ⅳ. 結論 [요약문] 가사와 관련해서 불교는 糞掃衣·壞色·3衣·割截衣 등의 개념을 동시에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개념들은 분명 서로 다른 층차와 차이점들을 내포하고 있는 부분들이었다. 가사에 내포된 다양한 의미들은 가사의 발전과 전개과정에서 수용된 개념들이 한데 혼재된 상태로 전해지고 있다. 그러므로 본고는 이러한 개념들의 성립층차와 來源을 고찰하여 일목요연한 정리를 시도해 보고자 한다. 붓다의 ..

초기불교 승가의 가사에 대한 일고/신성현

초기불교 승가의 가사에 대한 일고 신 성현/동국대학교 불교학부 교수 Ⅰ. 서론 Ⅱ. 袈裟의 제정과 규정 Ⅲ. 施衣의 허용과 제한 Ⅳ. 그 밖의 금지되는 조항 Ⅴ. 결 론 [요약문] 이 글은 초기불교 출가자가 입었던 가사에 대하여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옷은 몸을 가리고 보호하며 더위와 추위를 막고 때로는 신분이나 지위를 나타내는데 사용하는 용품이다. 또는 이는 집단이나 공동체의 통일성과 독자성을 드러내기도 한다. 따라서 불교의 출가자가 입었던 가사라는 상징을 통해 그 어느 것보다 불교의 특징을 잘 밝혀볼 수 있다. 제 율장에서는 가사에 대한 설명이 음식이나 주처에 대한 설명보다 상세하고 자세하다. 비구와 비구니가 입는 옷은 袈裟 혹은 糞掃衣(paṃsukūlacīvara)라고 한다. 분소의는 묘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