律藏에 있어서 袈裟의 변천과 의미 조계종 교수아사리 연구비 지원에 의해 작성된 논문임 염 중 섭(자현)35)/조계종 교수 아사리 Ⅰ. 序論 Ⅱ. 불교가사의 시원 1. 佛傳의 가사 연원 2. 초기의 糞掃衣 3. 통천의 수용과 문제점 Ⅲ. 불교가사의 형성 1. 율장의 가사 연원 2. 三衣의 형성과 복제의 완성 Ⅳ. 結論 [요약문] 가사와 관련해서 불교는 糞掃衣·壞色·3衣·割截衣 등의 개념을 동시에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개념들은 분명 서로 다른 층차와 차이점들을 내포하고 있는 부분들이었다. 가사에 내포된 다양한 의미들은 가사의 발전과 전개과정에서 수용된 개념들이 한데 혼재된 상태로 전해지고 있다. 그러므로 본고는 이러한 개념들의 성립층차와 來源을 고찰하여 일목요연한 정리를 시도해 보고자 한다. 붓다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