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 선생님이 묻는다.
[두 아이가 굴뚝 청소를 했다. 한 아이는 얼굴이 새까맣게 되어 내려 왔고
또 한 아이는 깨끗한 얼굴로 내려 왔다. 어느쪽의 아이가 얼굴을 씻을 것인가.]
한 학생이 대답 한다.
[얼굴이 더러운 아이가 씻을 것입니다.]
그러자 선생님은 대답한다.
[틀렸다. 얼굴이 더러운 아이는 깨끗한 얼굴을 한 아이를 보고 자기도 깨끗하다고
생각한다. 이와 반대로 깨끗한 얼굴을 한 아이는 상대방의 얼굴을 보고 자기도
더럽다고 생각할 것이다. 그러므로 얼굴이 깨끗한 아이가 얼굴을 씻을 것이다;]
선생님은 다시 묻는다.
[두 아이가 굴뚝 청소를 했다. 한 아이는 더러워져 내려 왔고 또 한 아이는 깨끗한
얼굴로 내려 왔다. 어느쪽 아이가 얼굴을 씻을 것인가.]
한 아이가 대답한다.
[저희들은 이미 답을 알고 있습니다. 얼굴이 깨끗한 아이가 씻을 것 입니다.]
이에 선생님은 대답한다.
[ 두 아이는 함께 똑 같은 굴뚝을 청소 했다. 따라서 한 아이의 얼굴은 깨끗한데
다른 한 아이의 얼굴은 더러울 수가 없다. 이 질문 자체가 틀린 것이다.]
작가 조세희 씨가 쓴 소설 [난장이가 쏘아 올린 작은 공] 속에서 의미심장한 질문을 던진 이 우화는
오늘을 사는 우리들에게 많은 것을 생각하게 한다. 사람들은 누구나 죄를 짓는다. [죄] 란 우리의
영혼을 더럽히는 때와 같은 것이다.
우리들은 자신의 죄를 보기 보다는 상대방의 죄를 보기가 더 쉽다. 따라서 더러운 얼굴을 한 아이가
깨끗한 얼굴을 한 아이보고 자기도 깨끗하다고 생각하고 세수를 하지 않으려는 것처럼 정작 죄를
씻어야 할 사람들은 자신이 깨끗하다고 믿고 있는 편이 많다.
我昔所造諸惡業 (아석소조제악업) 시작도 알수 없는 윤회의 시작으로부터 내가 지은 모든 악업은
皆由無始貪嗔癡 (개유무시탐진치) 모두다 탐진치 삼독으로 말미암아
從身口意之所生 (종신구의지소생) 몸과 입과 생각으로 지은 것 입니다
一切我今皆懺悔 (일체아금개참회) 이런 모든것을 저는 지금 참회 합니다
항상 행복 하십시요.
실론섬 합장...()...
'세상사는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가슴이 너무 아파서... (0) | 2008.01.31 |
---|---|
해인사를 그리워 하며 (0) | 2007.10.06 |
타국에서의 이별의 아픔 (0) | 2006.03.09 |
재가자의 수행이란 열심히 사는 것입니다 (0) | 2006.01.24 |
새해 인사 드립니다 (0) | 2005.12.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