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매 2

초기불교경전에 나타난 사띠(sati)교설에 대한 재검토/조 준호

사띠(sati / smṛti : 念)는 왜 ‘수동적 주의집중’인가 - 초기불교경전에 나타난 염의 교설에 대한 재검토 - 조 준호 1. 들어가는 말 2 현재까지의 사띠 이해 3. 왜 사띠는 ‘수동적 주의집중’인가 4. 마치는 말 Ⅰ. 들어가는 말 ‘사띠(sati / smṛti : 念)는 초기불교의 모든 수행체계에 ..

주해 모음 - ㅅ

◎ 사(捨, upeksā) 사(捨, upeksā)는 『구사론』에서 심소(心所) 중 대선지법(大善地法)의 하나이다.유식설에서는 선심소(善心所) 가운데 하나로, 마음이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고 혼침과 도거를 여의어서 생각에 잠기거나 들뜨지 않고, 평등·평정을 유지하는 평등한 마음 작용을 말한다. ◎ 사(捨) 사(捨)는 평정(平靜), 고려(顧慮)라 한다. 『구사론』의 심소법 중에서 대선지법(大善地法)의 하나이다. 유식설(唯識說)에서는 선심소(善心所)의 하나인데, 마음이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고 혼침과 도거를 여의어서 생각에 잠기거나 들뜨지 않고, 평등·평정을 유지하는 마음의 작용. ◎ 사도(四倒) 사도(四倒)는 사전도(四顚倒)라고도 하며 유위사전도(有爲四顚倒)와 무위사전도(無爲四顚倒)를 합하여 팔전도(八顚倒) 또..

주해 모음 2014.07.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