빠알리어 경전/상윳따 니까야

제50상윳따 - 제8장 힘쓰는 일 품(SN50:77-SN50:88. Balakaraṇīya-vagga)

실론섬 2014. 8. 25. 16:19

제8장 힘쓰는 일 품
Balakaraṇīya-vagga

nadīsuttaṃ (SN 50.88-강 경)
 12. “비구들이여, 예를 들면 강가 강은 동쪽으로 흐르고 동쪽으로 향하고 동쪽으로 들어간다. 그런데 많은 무리의 사람들이 괭이와 바구니를 가지고 올 것이다. ‘우리는 이 강가 강을 서쪽으로 흐르고 서쪽으로 향하고 서쪽으로 들어가게 할 것이다.’라면서. 비구들이여, 이를 어떻게 생각하는가? 저 많은 무리의 사람들이 강가 강을 서쪽으로 흐르고 서쪽으로 향하고 서쪽으로 들어가게 할 수 있겠는가?”  
“아닙니다, 세존이시여."
"그것은 무슨 이유 때문인가?"
"세존이시여, 동쪽으로 흐르고 동쪽으로 향하고 동쪽으로 들어가는 것을 서쪽으로 흐르고 서쪽으로 향하고 서쪽으로 들어가게 하기란 쉽지 않기 때문입니다. 저 많은 무리와 사람들은 분명 지치고 고생만 할 것입니다.”  
“그와 같이 비구가 다섯 가지 힘을 닦고 다섯 가지 힘을 많이 행할 때 왕들이나 왕의 대신들이나 친구들이나 동료들이나 친지들이나 혈육들이 재물로써 낮은 재가자의 삶으로 돌아 오도록 초청을 할 것이다 ‘이리 오시오, 존자여. 왜 그대는 이 가사 때문에 세월을 허비합니까? 왜 머리를 깎고 발우를 들고 돌아다닙니까? 오십시오! 낮은 재가자의 삶으로 되돌아 와서 재물을 즐기고 공덕을 지으시오’라고. 비구들이여, 그러나 그 비구는 여덟 요소로 구성된 성스러운 길을 닦고 여덟 요소로 구성된 성스러운 길을 많이 행할 때 그가 닦음을 포기하고 낮은 재가자의 삶으로 되돌아 갈 것이라는 그런 경우는 없다. 그것은 무슨 이유 때문인가? 그 마음이 오랫동안 버림으로 향하고 버림으로 흐르고 버림으로 들어선 그가 낮은 삶으로 되돌아 갈 것이라는 그런 경우는 없다. 비구들이여, 비구들이여, 그러면 어떻게 비구가 다섯 가지 힘을 닦고 다섯 가지 힘을 많이 행하는가?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는 탐욕의 길들임에 이르고 성냄의 길들임에 이르고 어리석음의 길들임에 이르는 믿음의 힘을 닦는다. 여기 비구는 탐욕의 길들임에 이르고 성냄의 길들임에 이르고 어리석음의 길들임에 이르는 정진의 힘을 닦는다. 여기 비구는 탐욕의 길들임에 이르고 성냄의 길들임에 이르고 어리석음의 길들임에 이르는 마음챙김의 힘을 닦는다. 여기 비구는 탐욕의 길들임에 이르고 성냄의 길들임에 이르고 어리석음의 길들임에 이르는 삼매의 힘을 닦는다. 여기 비구는 탐욕의 길들임에 이르고 성냄의 길들임에 이르고 어리석음의 길들임에 이르는 지혜의 힘을 닦는다. 비구들이여, 그와 같이 비구는 계를 의지하고 계에 확고하게 서서 다섯 가지 힘을 닦고 다섯 가지 힘을 많이 행한다.

 

 

(yathā maggasaṃyuttaṃ tathā vitthāretabbaṃ) ('탐욕의 길들임에 이르고' 부분을 인용하여 도(道) 상윳따처럼 펼쳐야 함)
• tassuddānaṃ — bala, bīja, nāga, rukkha, kumbha, sūka, ākāsa, paṭhamamegha, dutiyamegha, nāvā, āgantuka, nadī.
목록 ㅡ 힘, 씨앗, 용(龍), 나무, 항아리, 껍질, 허공, 구름 경1, 구름 경2, 배, 객사(客舍), 강. 

 


제3장 힘쓰는 일 품이 끝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