빠알리어 경전/상윳따 니까야

제50주제 - 제9장 추구 품(SN50:89-SN50:99. Esanā-vagga)

실론섬 2014. 8. 25. 16:38

제9장 추구 품
Esanā-vagga

 

esanāsuttaṃ (SN 50.89-추구 경)
비구들이여, 이런 세 가지 추구가 있다. 무엇이 셋인가? 감각적 쾌락의 추구, 존재의 추구, 청정범행의 추구이다. 이것이, 비구들이여, 세 가지 추구이다.
비구들이여, 이러한 세가지 추구를 철저하게 지혜로 알기 위해서는 다섯 가지 힘을 닦아야 한다. 그러면 어떤 다섯 가지 힘을 닦아야 하는가?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는 분리됨에 의지하고 탐욕의 떠남에 의지하고 소멸에 의지하고 내놓음에 이르는 믿음의 힘을 닦는다. ··· 정진의 힘을 닦는다. ··· 마음챙김의 힘을 닦는다. ··· 삼매의 힘을 닦는다. ··· 지혜의 힘을 닦는다.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는 탐욕의 길들임에 이르고 성냄의 길들임에 이르고 어리석음의 길들임에이르는 믿음의 힘을 닦는다. ··· 정진의 힘을 닦는다. ··· 마음챙김의 힘을 닦는다. ··· 지혜의 힘을 닦는다.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는 불사(不死)에 이르고 불사를 궁극으로 하고 불사로 완결되는 믿음의 힘을 닦는다. ··· 정진의 힘을 닦는다. ··· 마음챙김의 힘을 닦는다. ··· 삼매의 힘을 닦는다. ··· 지혜의 힘을 닦는다.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는 열반으로 흐르고 열반으로 향하고 열반으로 들어가는 믿음의 힘을 닦는다. ··· 정진의 힘을 닦는다. ··· 마음챙김의 힘을 닦는다. ··· 삼매의 힘을 닦는다. ··· 지혜의 힘을 닦는다.

비구들이여, 이러한 세가지 구함을 철저하게 알기 위해서는 다섯 가지 힘을 닦아야 한다.

완전하게 알기 위해서는 ···
완전히 다해 없어지게 하기 위해서는 ···
끊기 위해서는 
···

 

vidhāsuttaṃ (SN 50.90-자만 경)
비구들이여, 이런 세 가지 자만(심)이 있다. 무엇이 셋인가? ‘내가 더 뛰어나다.’라는 자만, ‘나와 동등하다.’라는 자만, ‘내가 더 못하다.’라는 자만이다. 이것이, 비구들이여, 세 가지 자만이다. 비구들이여, 이러한 세가지 자만심을 철저하게 알기 위해서는 다섯 가지 힘을 닦아야 한다. 그러면 어떤 다섯 가지 힘을 닦아야 하는가?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는 분리됨에 의지하고 탐욕의 떠남에 의지하고 소멸에 의지하고 내놓음에 이르는 믿음의 힘을 닦는다. ··· 정진의 힘을 닦는다. ··· 마음챙김의 힘을 닦는다. ··· 삼매의 힘을 닦는다. ··· 지혜의 힘을 닦는다.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는 탐욕의 길들임에 이르고 성냄의 길들임에 이르고 어리석음의 길들임에이르는 믿음의 힘을 닦는다. ··· 정진의 힘을 닦는다. ··· 마음챙김의 힘을 닦는다. ··· 지혜의 힘을 닦는다.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는 불사(不死)에 이르고 불사를 궁극으로 하고 불사로 완결되는 믿음의 힘을 닦는다. ··· 정진의 힘을 닦는다. ··· 마음챙김의 힘을 닦는다. ··· 삼매의 힘을 닦는다. ··· 지혜의 힘을 닦는다.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는 열반으로 흐르고 열반으로 향하고 열반으로 들어가는 믿음의 힘을 닦는다. ··· 정진의 힘을 닦는다. ··· 마음챙김의 힘을 닦는다. ··· 삼매의 힘을 닦는다. ··· 지혜의 힘을 닦는다.
비구들이여, 이러한 세가지 자만을 철저하게 알기 위해서는 다섯 가지 힘을 닦아야 한다.

 

완전하게 알기 위해서는 ···
완전히 다해 없어지게 하기 위해서는 ···
끊기 위해서는 ···

 

āsavasuttaṃ (SN 50.91-번뇌 경)
비구들이여, 이런 세 가지 번뇌가 있다. 무엇이 셋인가? 감각적 쾌락의 번뇌, 존재의 번뇌, 무명의 번뇌이다. 이것이, 비구들이여, 세 가지 번뇌이다.
비구들이여, 이러한 세가지 번뇌를 철저하게 알기 위해서는 다섯 가지 힘을 닦아야 한다. 그러면 어떤 다섯 가지 힘을 닦아야 하는가?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는 분리됨에 의지하고 탐욕의 떠남에 의지하고 소멸에 의지하고 내놓음에 이르는 믿음의 힘을 닦는다. ··· 정진의 힘을 닦는다. ··· 마음챙김의 힘을 닦는다. ··· 삼매의 힘을 닦는다. ··· 지혜의 힘을 닦는다.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는 탐욕의 길들임에 이르고 성냄의 길들임에 이르고 어리석음의 길들임에이르는 믿음의 힘을 닦는다. ··· 정진의 힘을 닦는다. ··· 마음챙김의 힘을 닦는다. ··· 지혜의 힘을 닦는다.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는 불사(不死)에 이르고 불사를 궁극으로 하고 불사로 완결되는 믿음의 힘을 닦는다. ··· 정진의 힘을 닦는다. ··· 마음챙김의 힘을 닦는다. ··· 삼매의 힘을 닦는다. ··· 지혜의 힘을 닦는다.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는 열반으로 흐르고 열반으로 향하고 열반으로 들어가는 믿음의 힘을 닦는다. ··· 정진의 힘을 닦는다. ··· 마음챙김의 힘을 닦는다. ··· 삼매의 힘을 닦는다. ··· 지혜의 힘을 닦는다.
비구들이여, 이러한 세가지 번뇌를 철저하게 알기 위해서는 다섯 가지 힘을 닦아야 한다.

완전하게 알기 위해서는 ···
완전히 다해 없어지게 하기 위해서는 ···
끊기 위해서는 ···

 

bhavasuttaṃ (SN 50.92-존재 경)
비구들이여, 이런 세 가지 존재가 있다. 무엇이 셋인가? 욕계의 존재, 색계의 존재, 무색계의 존재이다. 이것이, 비구들이여, 세 가지 존재이다. 비구들이여, 이러한 세 가지 존재를 철저하게 알기 위해서는 다섯 가지 힘을 닦아야 한다. 그러면 어떤 다섯 가지 힘을 닦아야 하는가?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는 분리됨에 의지하고 탐욕의 떠남에 의지하고 소멸에 의지하고 내놓음에 이르는 믿음의 힘을 닦는다. ··· 정진의 힘을 닦는다. ··· 마음챙김의 힘을 닦는다. ··· 삼매의 힘을 닦는다. ··· 지혜의 힘을 닦는다.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는 탐욕의 길들임에 이르고 성냄의 길들임에 이르고 어리석음의 길들임에이르는 믿음의 힘을 닦는다. ··· 정진의 힘을 닦는다. ··· 마음챙김의 힘을 닦는다. ··· 지혜의 힘을 닦는다.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는 불사(不死)에 이르고 불사를 궁극으로 하고 불사로 완결되는 믿음의 힘을 닦는다. ··· 정진의 힘을 닦는다. ··· 마음챙김의 힘을 닦는다. ··· 삼매의 힘을 닦는다. ··· 지혜의 힘을 닦는다.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는 열반으로 흐르고 열반으로 향하고 열반으로 들어가는 믿음의 힘을 닦는다. ··· 정진의 힘을 닦는다. ··· 마음챙김의 힘을 닦는다. ··· 삼매의 힘을 닦는다. ··· 지혜의 힘을 닦는다.
비구들이여, 이러한 세가지 존재를 철저하게 알기 위해서는 다섯 가지 힘을 닦아야 한다.

완전하게 알기 위해서는 ···
완전히 다해 없어지게 하기 위해서는 ···
끊기 위해서는 ···

 

dukkhatāsuttaṃ (SN 50.93-괴로움의 성질 경)
비구들이여, 이런 세 가지 괴로움의 성질이 있다. 무엇이 셋인가? 고통스런 괴로움의 성질[고고성.苦苦性], 형성된 괴로움의 성질[행고성.行苦性], 변화에 기인한 괴로움의 성질[괴고성.壞苦性]이다. 이것이, 비구들이여, 세 가지 괴로움의 성질이 있다. 비
구들이여, 이러한 세 가지 괴로움의 성질을 철저하게 알기 위해서는 다섯 가지 힘을 닦아야 한다. 그러면 어떤 다섯 가지 힘을 닦아야 하는가?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는 분리됨에 의지하고 탐욕의 떠남에 의지하고 소멸에 의지하고 내놓음에 이르는 믿음의 힘을 닦는다. ··· 정진의 힘을 닦는다. ··· 마음챙김의 힘을 닦는다. ··· 삼매의 힘을 닦는다. ··· 지혜의 힘을 닦는다.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는 탐욕의 길들임에 이르고 성냄의 길들임에 이르고 어리석음의 길들임에이르는 믿음의 힘을 닦는다. ··· 정진의 힘을 닦는다. ··· 마음챙김의 힘을 닦는다. ··· 지혜의 힘을 닦는다.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는 불사(不死)에 이르고 불사를 궁극으로 하고 불사로 완결되는 믿음의 힘을 닦는다. ··· 정진의 힘을 닦는다. ··· 마음챙김의 힘을 닦는다. ··· 삼매의 힘을 닦는다. ··· 지혜의 힘을 닦는다.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는 열반으로 흐르고 열반으로 향하고 열반으로 들어가는 믿음의 힘을 닦는다. ··· 정진의 힘을 닦는다. ··· 마음챙김의 힘을 닦는다. ··· 삼매의 힘을 닦는다. ··· 지혜의 힘을 닦는다.
비구들이여, 이러한 세가지 괴로움의 성질을 철저하게 알기 위해서는 다섯 가지 힘을 닦아야 한다.

완전하게 알기 위해서는 ···
완전히 다해 없어지게 하기 위해서는 ···
끊기 위해서는 ···

 

khilasuttaṃ (SN 50.94-견고함 경)  
비구들이여, 이런 세 가지 견고함이 있다. 무엇이 셋인가? 탐욕의 견고함, 성냄의 견고함, 어리석음의 견고함이다. 이것이, 비구들이여, 세 가지 견고함이다. 비구들이여, 이러한 세 가지 견고함을 철저하게 알기 위해서는 다섯 가지 힘을 닦아야 한다. 그러면 어떤 다섯 가지 힘을 닦아야 하는가?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는 분리됨에 의지하고 탐욕의 떠남에 의지하고 소멸에 의지하고 내놓음에 이르는 믿음의 힘을 닦는다. ··· 정진의 힘을 닦는다. ··· 마음챙김의 힘을 닦는다. ··· 삼매의 힘을 닦는다. ··· 지혜의 힘을 닦는다.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는 탐욕의 길들임에 이르고 성냄의 길들임에 이르고 어리석음의 길들임에이르는 믿음의 힘을 닦는다. ··· 정진의 힘을 닦는다. ··· 마음챙김의 힘을 닦는다. ··· 지혜의 힘을 닦는다.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는 불사(不死)에 이르고 불사를 궁극으로 하고 불사로 완결되는 믿음의 힘을 닦는다. ··· 정진의 힘을 닦는다. ··· 마음챙김의 힘을 닦는다. ··· 삼매의 힘을 닦는다. ··· 지혜의 힘을 닦는다.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는 열반으로 흐르고 열반으로 향하고 열반으로 들어가는 믿음의 힘을 닦는다. ··· 정진의 힘을 닦는다. ··· 마음챙김의 힘을 닦는다. ··· 삼매의 힘을 닦는다. ··· 지혜의 힘을 닦는다.
비구들이여, 이러한 세가지 바만을 철저하게 알기 위해서는 다섯 가지 힘을 닦아야 한다.

완전하게 알기 위해서는 ···
완전히 다해 없어지게 하기 위해서는 ···
끊기 위해서는 ···

 

malasuttaṃ (SN 50.95-때 경)
비구들이여, 이런 세 가지 때(오염원)가 있다. 무엇이 셋인가? 탐욕의 때, 성냄의 때, 어리석음의 때이다. 이것이, 비구들이여, 세 가지 때이다. 비구들이여, 이러한 세 가지 때를 철저하게 알기 위해서는 다섯 가지 힘을 닦아야 한다. 그러면 어떤 다섯 가지 힘을 닦아야 하는가?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는 분리됨에 의지하고 탐욕의 떠남에 의지하고 소멸에 의지하고 내놓음에 이르는 믿음의 힘을 닦는다. ··· 정진의 힘을 닦는다. ··· 마음챙김의 힘을 닦는다. ··· 삼매의 힘을 닦는다. ··· 지혜의 힘을 닦는다.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는 탐욕의 길들임에 이르고 성냄의 길들임에 이르고 어리석음의 길들임에이르는 믿음의 힘을 닦는다. ··· 정진의 힘을 닦는다. ··· 마음챙김의 힘을 닦는다. ··· 지혜의 힘을 닦는다.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는 불사(不死)에 이르고 불사를 궁극으로 하고 불사로 완결되는 믿음의 힘을 닦는다. ··· 정진의 힘을 닦는다. ··· 마음챙김의 힘을 닦는다. ··· 삼매의 힘을 닦는다. ··· 지혜의 힘을 닦는다.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는 열반으로 흐르고 열반으로 향하고 열반으로 들어가는 믿음의 힘을 닦는다. ··· 정진의 힘을 닦는다. ··· 마음챙김의 힘을 닦는다. ··· 삼매의 힘을 닦는다. ··· 지혜의 힘을 닦는다.
비구들이여, 이러한 세가지 때를 철저하게 알기 위해서는 다섯 가지 힘을 닦아야 한다.

완전하게 알기 위해서는 ···
완전히 다해 없어지게 하기 위해서는 ···
끊기 위해서는 ···

 

nīghasuttaṃ (SN 50.96-비참함(근심) 경)
비구들이여, 이런 세 가지 비참함이 있다. 무엇이 셋인가? 탐욕의 비참함(근심), 성냄의 비참함, 어리석음의 비참함이다. 이것이, 비구들이여, 세 가지 비참함이다. 비구들이여, 이러한 세가지 근심을 철저하게 알기 위해서는 다섯 가지 힘을 닦아야 한다. 그러면 어떤 다섯 가지 힘을 닦아야 하는가?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는 분리됨에 의지하고 탐욕의 떠남에 의지하고 소멸에 의지하고 내놓음에 이르는 믿음의 힘을 닦는다. ··· 정진의 힘을 닦는다. ··· 마음챙김의 힘을 닦는다. ··· 삼매의 힘을 닦는다. ··· 지혜의 힘을 닦는다.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는 탐욕의 길들임에 이르고 성냄의 길들임에 이르고 어리석음의 길들임에이르는 믿음의 힘을 닦는다. ··· 정진의 힘을 닦는다. ··· 마음챙김의 힘을 닦는다. ··· 지혜의 힘을 닦는다.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는 불사(不死)에 이르고 불사를 궁극으로 하고 불사로 완결되는 믿음의 힘을 닦는다. ··· 정진의 힘을 닦는다. ··· 마음챙김의 힘을 닦는다. ··· 삼매의 힘을 닦는다. ··· 지혜의 힘을 닦는다.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는 열반으로 흐르고 열반으로 향하고 열반으로 들어가는 믿음의 힘을 닦는다. ··· 정진의 힘을 닦는다. ··· 마음챙김의 힘을 닦는다. ··· 삼매의 힘을 닦는다. ··· 지혜의 힘을 닦는다.
비구들이여, 이러한 세가지 근심을 철저하게 알기 위해서는 다섯 가지 힘을 닦아야 한다.

완전하게 알기 위해서는 ···
완전히 다해 없어지게 하기 위해서는 ···
끊기 위해서는 ···

 

vedanāsuttaṃ (SN 50.97-느낌 경)
비구들이여, 이런 세 가지 느낌이 있다. 무엇이 셋인가? 즐거운 느낌, 괴로운 느낌, 괴롭지도 즐겁지도 않은 느낌이다. 이것이, 비구들이여, 세 가지 느낌이다. 비구들이여, 이러한 세가지 느낌을 철저하게 알기 위해서는 다섯 가지 힘을 닦아야 한다. 그러면 어떤 다섯 가지 힘을 닦아야 하는가?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는 분리됨에 의지하고 탐욕의 떠남에 의지하고 소멸에 의지하고 내놓음에 이르는 믿음의 힘을 닦는다. ··· 정진의 힘을 닦는다. ··· 마음챙김의 힘을 닦는다. ··· 삼매의 힘을 닦는다. ··· 지혜의 힘을 닦는다.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는 탐욕의 길들임에 이르고 성냄의 길들임에 이르고 어리석음의 길들임에이르는 믿음의 힘을 닦는다. ··· 정진의 힘을 닦는다. ··· 마음챙김의 힘을 닦는다. ··· 지혜의 힘을 닦는다.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는 불사(不死)에 이르고 불사를 궁극으로 하고 불사로 완결되는 믿음의 힘을 닦는다. ··· 정진의 힘을 닦는다. ··· 마음챙김의 힘을 닦는다. ··· 삼매의 힘을 닦는다. ··· 지혜의 힘을 닦는다.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는 열반으로 흐르고 열반으로 향하고 열반으로 들어가는 믿음의 힘을 닦는다. ··· 정진의 힘을 닦는다. ··· 마음챙김의 힘을 닦는다. ··· 삼매의 힘을 닦는다. ··· 지혜의 힘을 닦는다.
비구들이여, 이러한 세가지 느낌을 철저하게 알기 위해서는 다섯 가지 힘을 닦아야 한다.

완전하게 알기 위해서는 ···
완전히 다해 없어지게 하기 위해서는 ···
끊기 위해서는 ···

 

taṇhāsuttaṃ (SN 50.98-갈애 경)
비구들이여, 이런 세 가지 갈애가 있다. 무엇이 셋인가? 감각적 쾌락에 대한 갈애, 존재에 대한 갈애, 비존재에 대한 갈애이다. 이것이, 비구들이여, 세 가지 갈애이다. 비구들이여, 이러한 세가지 갈애를 철저하게 알기 위해서는 다섯 가지 힘을 닦아야 한다. 그러면 어떤 다섯 가지 힘을 닦아야 하는가?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는 분리됨에 의지하고 탐욕의 떠남에 의지하고 소멸에 의지하고 내놓음에 이르는 믿음의 힘을 닦는다. ··· 정진의 힘을 닦는다. ··· 마음챙김의 힘을 닦는다. ··· 삼매의 힘을 닦는다. ··· 지혜의 힘을 닦는다.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는 탐욕의 길들임에 이르고 성냄의 길들임에 이르고 어리석음의 길들임에이르는 믿음의 힘을 닦는다. ··· 정진의 힘을 닦는다. ··· 마음챙김의 힘을 닦는다. ··· 지혜의 힘을 닦는다.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는 불사(不死)에 이르고 불사를 궁극으로 하고 불사로 완결되는 믿음의 힘을 닦는다. ··· 정진의 힘을 닦는다. ··· 마음챙김의 힘을 닦는다. ··· 삼매의 힘을 닦는다. ··· 지혜의 힘을 닦는다.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는 열반으로 흐르고 열반으로 향하고 열반으로 들어가는 믿음의 힘을 닦는다. ··· 정진의 힘을 닦는다. ··· 마음챙김의 힘을 닦는다. ··· 삼매의 힘을 닦는다. ··· 지혜의 힘을 닦는다.
비구들이여, 이러한 세가지 갈애를 철저하게 알기 위해서는 다섯 가지 힘을 닦아야 한다.

완전하게 알기 위해서는 ···
완전히 다해 없어지게 하기 위해서는 ···
끊기 위해서는 ···

 

tasināsuttaṃ (SN 50.99-갈증 경) 
비구들이여, 이런 세 가지 갈증이 있다. 무엇이 셋인가? 감각적 쾌락에 대한 갈증, 존재에 대한 갈증, 비존재에 대한 갈증이다. 이것이, 비구들이여, 세 가지 갈증이다. 비구들이여, 이러한 세 가지 목마름을 철저하게 알기 위해서는 다섯 가지 힘을 닦아야 한다. 그러면 어떠한 다섯 가지 힘을 닦아야 하는가?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는 분리됨에 의지하고 탐욕의 떠남에 의지하고 소멸에 의지하고 내놓음에 이르는 믿음의 힘을 닦는다. ··· 정진의 힘을 닦는다. ··· 마음챙김의 힘을 닦는다. ··· 삼매의 힘을 닦는다. ··· 지혜의 힘을 닦는다.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는 탐욕의 길들임에 이르고 성냄의 길들임에 이르고 어리석음의 길들임에이르는 믿음의 힘을 닦는다. ··· 정진의 힘을 닦는다. ··· 마음챙김의 힘을 닦는다. ··· 지혜의 힘을 닦는다.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는 불사(不死)에 이르고 불사를 궁극으로 하고 불사로 완결되는 믿음의 힘을 닦는다. ··· 정진의 힘을 닦는다. ··· 마음챙김의 힘을 닦는다. ··· 삼매의 힘을 닦는다. ··· 지혜의 힘을 닦는다.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는 열반으로 흐르고 열반으로 향하고 열반으로 들어가는 믿음의 힘을 닦는다. ··· 정진의 힘을 닦는다. ··· 마음챙김의 힘을 닦는다. ··· 삼매의 힘을 닦는다. ··· 지혜의 힘을 닦는다.
비구들이여, 이러한 세가지 목마름을 철저하게 알기 위해서는 다섯 가지 힘을 닦아야 한다.

완전하게 알기 위해서는 ···
완전히 다해 없어지게 하기 위해서는 ···
끊기 위해서는 ···

제9장 추구 품이 끝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