빠알리어 경전/상윳따 니까야

제50상윳따 - 제9장 추구 품(SN50:89-SN50:99. Esanā-vagga)

실론섬 2014. 8. 25. 16:38

제9장 추구 품
Esanā-vagga

 

tasināsuttaṃ (SN 50.99-갈증 경) 
792-802. "비구들이여, 이런 세 가지 갈증이 있다. 무엇이 셋인가? 감각적 쾌락에 대한 갈증, 존재에 대한 갈증, 비존재에 대한 갈증이다. 비구들이여, 이것이 세 가지 갈증이다. 비구들이여, 이 세 가지 갈증을 철저한 지혜로 알기 위해서는, 완전한 지혜로 알기 위해서는, 완전한 부서짐을 위해서는, 버림을 위해서는 다섯 가지 힘을 닦아야 한다. 무엇이 다섯 가지인가?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는 탐욕의 길들임에 이르고 성냄의 길들임에 이르고 어리석음의 길들임에 이르는 믿음의 힘을 닦는다. 여기 비구는 탐욕의 길들임에 이르고 성냄의 길들임에 이르고 어리석음의 길들임에 이르는 정진의 힘을 닦는다. 여기 비구는 탐욕의 길들임에 이르고 성냄의 길들임에 이르고 어리석음의 길들임에 이르는 마음챙김의 힘을 닦는다. 여기 비구는 탐욕의 길들임에 이르고 성냄의 길들임에 이르고 어리석음의 길들임에 이르는 지혜의 힘을 닦는다. 비구들이여, 이 세 가지 갈증을 철저한 지혜로 알기 위해서는, 완전한 지혜로 알기 위해서는, 완전한 부서짐을 위해서는(완전히 다해 없어지게 하기 위해서는), 버림을 위해서는(끊기 위해서는) 다섯 가지 힘을 닦아야 한다."

(yathā maggasaṃyuttaṃ tathā vitthāretabbaṃ). ('탐욕의 길들임에 이르고' 부분만 인용하여 도(道) 상윳따처럼 펼쳐야 함)
• tassuddānaṃ — esanā, vidhā, āsava, bhava, dukkhatās, khila, mala, nīgha, vedanā, taṇhās, tasina
목록 ㅡ추구, 자만, 번뇌, 존재, 괴로움의 성질, 견고함, 때, 비참함(근심), 느낌, 갈애, 갈증.

 

 

제9장 추구 품이 끝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