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설 비불설 논쟁의 글을 올려 놓았다. 훌륭하신 스님과 그리고 학자들의 주장은 나름대로 일리가 충분히 있다고 본다. 어느 한 쪽의 말이 무조건 옳다고 지지하기는 곤란하지만 나 개인의 생각은 마성스님이나 전재성 박사의 의견에 동조하는 편이다.
왜 빠알리어 경전과 스리랑카의 상좌부가 권위와 전통을 이어받은 적통이냐고 묻는다면 대답은 아주 간단하다. 만약에 빠알리어 경전(아함경도 포함된다)의 전통이나 상좌부의 권위를 인정하고 싶지 않다면 빠알리어 경전에 설법되어 있지 않은 해탈과 열반에 이르는 또다른 길을 기록해 놓은 경전이 세상에 있어야 한다. 그리고 인도대륙에서 이미 사라진 부파불교와 인도 대승불교의 전통을 이은 불교들이 세계 어디에서든가는 활발하게 활동을 하고 있어야 한다. 하지만 지금까지 빠알리어 경전을 능가하는 초기경전이 발견된 적도 없고, 인도에서 일어난 부파 대승불교 중에서 상좌부 이외에 그 어느 분파도 세상에 존재하지 않는다.
붓다께서 열반에 드신지 이미 2600년의 세월이 지났다. 붓다께서 계시지 않은 지금 우리는 그분의 육성을 담아 놓은 경전이 과연 무엇인지 분명히 찾아야 한다. 그런 점에서 빠알리어 경전(아함경)은 절대적 권위를 부여받을 수 밖에 없다. 물론 완벽하고 100% 순수하지는 않더라도 분명히 붓다의 육성이 담겨 있는데도 불구하고 전부 아니면 전무라는 이분법적 사고방식으로 통째로 부정하는 것은 결코 상식적이지 않다.
어떤 종교이든 교조가 있고 그 교조의 정통성을 이어 받은 가르침이나 분파가 있어야 한다. 분파들끼리 싸움을 하든 말든 그것은 지엽적인 문제이다. 시작이 없는데 지금이 있을 수가 없고 현재가 없는데 미래가 있을 수가 없다. 전통이나 권위란 누가 시작점을 선점하고 누가 시작점에 대해서 좀더 가까이 있느냐의 문제일 뿐이다. 붓다의 가르침이 어디서 시작되었고 그 가르침을 전승한 분파가 없다면 그래서 각자가 자신이 원조라고 주장한다면 도대체 불교가 어떻게 되겠는가. 일년에도 수십개씩 원조불교가 생겨날 것임에 틀림없다. 오늘날처럼 남방불교가 원칙을 지키고 수많은 논쟁과 분파들을 잠재울 수 있는 것도 결국 빠알리어 경전의 전통성과 그리고 상좌부의 권위에 감히 어느 누구도 도전할 이유나 그만한 능력을 갖추고 있지 못하기 때문일 것이다. 2600년 동안의 세월속에서 수많은 사건과 각자의 주장이 있었지만 결과적으로 보면 그들의 주장은 논서로 남았을 뿐이고 그리고 현재의 빠알리어 경전이나 상좌부 불교의 형태로 남아서 그들의 주장을 전승하고 있는 분파가 없다. 100% 상좌부가 옳지 않다고 하여 전부를 부정하는 어리석음은 피해야 할 것 같다.
논픽션과 같은 역사적인 사실과 사상의 발전과 가르침의 전승은 다른 문제라고 생각한다. 권오민 교수님의 말처럼 이미 인도에서 부파불교 시대에 1차 경전결집의 전승은 깨어졌고 상호간에 불설 비불설의 논쟁이 있었다고 하여 상좌부의 전통을 통째로 부정하는 것은 개인적으로 인정하기 어렵다. 물론 상좌부도 이런저런 사건들이 많았고 전통에 대해서 이의를 제기할 많은 요소들도 있지만 대나무가 여러개의 마디로 이루어져 하나의 대나무이듯 즉 여러개의 마디로 나뉠 수는 있지만 결그런 마디가 모여 있어서 하나의 대나무가 되듯이 상좌부의 전통도 그런 시각으로 바라보면 좋겠다.
'자유로운 야단법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박나무님에게 권하는 글 (0) | 2015.09.19 |
---|---|
불자로 살며 생각하며 (0) | 2015.09.17 |
재가 불자의 올바른 사회참여를 위하여 (0) | 2015.09.09 |
누가 누구에게 돌을 던지고 훈계나 설법을 하는가 (0) | 2015.04.21 |
연꽃의 글을 읽고 - 누가 진짜로 국맛을 모르는 국자일까? (0) | 2015.04.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