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기불교(근본불교) 이야기

붓다께서 정각을 얻으신 뒤 7주간 네란자라 강가에서 머무심

실론섬 2015. 9. 24. 13:54

SEVEN WEEKS AFTER THE ENLIGHTENMENT

      

1. UNDER THE BODHI TREE

During the hole of the 1st week, the Buddha sat under the Bodhi tree enjoing the 

happiness of freedom or the joy everlasting peace. He was then free from disturbing 

thoughts.

 

2. GAZING AT THE TREE

During the second week, as a great deed of thankfulness or gratitude to the Bodhi tree which sheltered Him during His struggle for Buddhahood, He sttod a few feet from the Bodhi tree 

gazing or looking at the tree without moving His eyes for the whole week.

He was meditating on the Bodhi tree. 

Following this noble example all Buddhists still pay respect or homage to, not only original 

Bodhi tree, but also its descendants.

 

3. GOLDEN BRIDGE

He again meditated during the third week. Lord Buddha saw through His mind's eye and 

knew that the Devas in the heavens were not sure whether he had attained Enlightenment 

completely as He continued to stay there. Then to prove His elienment to them the Buddha 

created a golden bridge in the air and walked up and down for the whole week.

 

4. JEWELLED CHAMBER

In the fourth week, He created a beautiful jewelled chamber and sitting inside it meditated on the Higher Teaching, or ABIDHAMMA. His mind and body were so purified that six coloured 

rays came out of his body. They were blue, yellow, red, white, orange and mixture of these 

five. 

   

Today these six colours were form the Buddhist flag. In fact that week onwards all the six 

colours were round his whole body. Each colour represented one noble quality of the Buddha.


   Yellow for Holiness, 

   White for purity, 

   Blue for confidence, 

   Red for wisdom, 

   Orange for desirelessness 


and the mixed colour represented all these very noble qualities and we too. 

If we devlop our minds and bodies to a high degree of purity, can gain these colours.


5. THREE GIRLS

During this week, the fifth week, while he was enjoying the joys of freedom sitting under the 

famous Ajapala Banyan tree near the Bodhi tree, three most beautiful and charming girls 

called Tanha, Rati and Raga came to disturb his meditation by dancing in the most seducive 

and charming manner. They did everything to tempt Lord Buddha to watch their dance. He 

just shut his eyes and continued his meditation and many hours later they felt so tired that 

they left him in peace.

 

6. MUCALINDA(TREE)

He went and meditated at the foot of another tree called the Mucalinda tree. As it was 

raining very heavily a huge king cobra came and coiled his body seven times round the 

Buddha's body, but kept his hood over the Buddha's head so that the Buddha was protected from getting wet by the heavy rain. When the rain stopped, the snake became a young man and paid his respects to Lord Buddha. This snake was supposed to be a supernatural being. Then the Buddha said:

 

"Happy is he who is contented. Happiness is for him who has heard the truth and for him 

who sees the truth. Happy is he who has goodwell in this world towards beings. 

Happy is who lives in this world with non-attachment, passing beyound sense-desires. 

The disappearance of the " I am conceit is indeed the highest happiness."

 

7. RAJAYANA TREE

During the seventh week He was meditating under a tree called the Rajayatana tree.

  

On the 50th morning, after His long fast for seven weeks, two merchants came to his presence. They were called Tapussa and Bhallika. In fact, they were going in a different direction to another city. Tpussa and Bhallika offered the Buddha rice-cake and honey.


The two merchants, by taking the two refuges-in the Buddha and the Dhamma, became the 

first lay followers of the Buddha. There was no Sangha or Order of Monks then. They 

requested the Buddha for something sacred to keep with them. The Buddha wiped his head with his right hand and got some hair and gave these to them. This hair was called Kesa 

Datu(Hair Relics). With this sacred Hair Relics, Tapassu and Bahllika left the place. Later when 

they reached their hometown they built pagodas and enshrined these sacred Hair Relics in 

them.


After his meal, the Buddha began to contemplate. He was reluctant to teach His Dhamma to the people. He thought people would not be able to understand his noble and deep teaching for they were very ignorant. Then Brahma Sahampati-Lord of the three world's (Human, Deva, and Brahma worlds) came and requested him to preach the Dhamma to all. The Buddha 

compassionately accepted this invitation to expound the Dhamma.


여러 불자분들도 잘 아시겠지만 붓다가 정각을 이루신 곳은 네라자라 강변 입니다. 지금은 물리 말라서 그다지 큰 강으로 보여지진 않지만 붓다 당시에는 큰 강이었을 것으로 여겨 집니다.  붓다는 정각을 이루신 이후 7일동안 홀로 필설로 표현하지 못할 법열을 느끼시면서 홀로 계셨습니다. 그이후 6주를 네라자라 강변에서 머무심으로써 총 7주동안의 시간을 보네게 됩니다.

 

이 7주동안에 일어난 사건중에서 주요한 것은 넷째주에 일어난 몸에서 광채가 뿜어져 나온 사건이 있습니다. 오늘날 이 광채를 기본으로 하여 1950년 스리랑카에서 개최된 세계불교대회에서 불교기가 채택되었습니다. 남방권에는 불교기가 각 사찰에 365일 걸려 있고 그리고 모든 불교 행사에는 빠짐없이 깃발을 세웁니다. 한국 불교에서도 가는 곳곳 마다 불교기를 볼 수 있는 날이 오기를 기대해 봅니다.

 

그리고 6주째 발생한 코브라 사건입니다. 이것은 불자분들이 그림이나 사진에서도 많이 보아 온 것입니다. 엄청난 호우가 쏟아 졌을 때  코브라가 붓다의 몸을 칭칭감고 머리를 우산처럼 넓게 벌려서 붓다를 보호하는 장면 입니다. 이것이 어디서 어떻게 해서 생겨난 이야기인지 주위분들이나 어린이들에게 잘 가르쳐 주시기 바랍니다.


붓다는 진리를 발견한 다음 자신의 가르침을 알아 듣고 귀를 기울일 적당한 사람에 대해서 깊이 깊이 생각 했습니다. 맨 처음 어떤 일을 시행하고 결정하는 것은 모든 사람들에게도 마찬가지로 매우 중요하고 의미 있는 것이라고 봅니다. 붓다가 설하게 될 가르침은 당시의 사람들에게는 새로운 것이었습니다. 만일 그가 처음에 성공을 얻을 수 없다면, 이것은 그에게 절망을 가져다 줄 것이며, 사람들은 앞으로도 그의 가르침에 흥미를 갖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 입니다. 그래서 그는 두번 세번에 걸쳐서 심사숙고할 필요가 있었습니다. 

 

붓다는 처음 그의 두 스승 알라라 깔라마와 웃다까 라마풋따를 생각했습니다. 그러나 둘 다 최근에 타계했습니다. 그래서 붓다는 더 나아가 자신이 엄격한 고행을 포기하고 음식을 취했을 때, 자신과 함께 있다가 떠나 버린 다섯 고행자를 생각했습니다. 그들은 당시 네란자라 강변에서 150마일이 넘는 베나레스에 있었습니다. 7주가 지난후 마침내 붓다께서는 베나레스를 향해서 길을 떠나게 됩니다. 불교가 탄생하는 순간인 것입니다.

 

붓다는 그들 다섯 사람에게 자기는 이제 깨달은 자이며, 어떻게 깨달음에 도달할 수 있는지 가르치기 위해 왔음을 설명 하려고 애썼습니다. 마침내 그들은 붓다를 믿고 그에게 귀를 기울이기 시작했습니다.  붓다의 가르침에 최초로 귀의한 다섯비구의 중요성은 불교사에서 절대로 간과해서는 안되는 부분 입니다. 만약에 그들이 붓다의 설법에 귀 기울이지 않고 불교에 귀의하지 않았다면 붓다의 첫 번째 설법이 실패한 그 이후 붓다의 행보가 어떻게 되었을지는 누구도 장담할 수 없기 때문 입니다. 


불자라면 특히 아이들에게는 이러한 점을 강조하시옵고 그분들의 이름을 외우고 높은 공덕을 생각하는데 소홀함이 없어야 할 듯 합니다. 


무칼린다(Mucalinda) 는 중국의 용처럼 인도 신화속에 나오는 용(Dragon)이라고 생각하시면 쉬울 것 같습니다. 보통 불교학교에서 배울 때는 이해하기 쉽게 King Cobra 로 설명을 하고 있습니다. 사진이나 조각상등에는 머리가 하나 또는 여러개로 나뉘어져 있고 또한 붓다의 몸 전체를 감싸고 있는 것등 다양하게 표현되어 있습니다. 


다섯 제자의 이름은 다음과 같습니다. Ajnata Kaundinya, Asvajit, Bhadrika, Dasabala Kasyapa, Mahanama Kulika 입니다. 그런데 경전에서 보이는 분들은 다섯 제자중 가장 먼저 깨달았다는 Ajnata Kaundinya와 사리뿟따에게 개종의 동기를 제공하는 Asvajit 등 두 분입니다. 하지만 다섯분 모두다 아라한이었다는 것은 전법선언시 모두다 붓다와 같은 아라한이라는 말과 전법을 떠나도록 명령하신 것에서 알 수 있습니다.








남방불교 사찰의 3대요소는 붓다, 탑, 보리수 입니다.


그리고 1950년에 채택된 불교기는 불교를 상징하는 것으로 모든 사찰이나 행사에 필이 게양을 합니다.

한국 사찰에서는 거의 불교기를 볼 수 없는데 하루라도 빨리 불교기를 각 사찰마다 게양을 했으면 합니다. 그리고 한국불교는 연꽃을 불교의 상징으로 생각하고 있는 듯 합니다만 남방권에서는 연꽃이 불교의 꽃으로 중요하긴 하지만 한국불교처럼 상징처럼 생각하지는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