빠알리어 경전/상윳따 니까야

제14상윳따 - 요소(계)상윳따 (Dhatu samyutta) - 제1장 다양함 품(Nanatta vagga. SN14:1-SN14:10)

실론섬 2014. 5. 4. 19:06

제14주제(S14)  계(요소) 상윳따
Dhātu-saṁyutta


제1장 다양함 품Nānatta-vagga (SN 14.1-10)

dhātunānattasuttaṃ (SN 14.1-요소의 다양함 경)

85. 사왓티에 머물고 계셨다. ··· “비구들이여, 그대들에게 요소(계.界)들의 다양함에 대해서 설할 것이다. 듣고 잘 사고하라. 나는 말할 것이다."

"알겠습니다, 세존이시여."라고 비구들은 세존께 대답했다. 세존께서는 이렇게 말씀하셨다.

 

비구들이여, 무엇이 요소들의 다양함인가?

눈의 요소, 형색의 요소, 눈의 의식의 요소, 귀의 요소, 소리의 요소, 귀의 의식의 요소, 코의 요소, 냄새의 요소, 코의 의식의 요소, 혀의 요소, 맛의 요소, 혀의 의식의 요소, 몸의 요소, 감촉의 요소, 몸의 의식의 요소, 마음의 요소, 법의 요소, 마음의 의식의 요소이다.

비구들이여, 이것이 요소들의 다양함이라고 불린다.”

 

*'요소들의 다양함(dhatu-nanatta)' 중생이 없다는 뜻과 공함이라는 뜻으로 불리는 고유성질을 가진 것이라는 의미에 의해서 요소(界)로 옮긴 dhatu 는 그것이 드러내고자 하는 법들이 중생이라는 실체가 없고 공함을 드러내기 위해서 붙여진 이름이라는 뜻이다. 그리고 이런 고유성질을 가진 법들은 하나가 아니라 다양하기 때문에 요소들의 다양함이라 불린다는 말이다. 즉 중생이라든가 자아라든가 인간이라든가 하는 개념적 존재를 요소들로 해체해서 보면 무사.고.무아가 드러나고 그래서 개념적 존재의 공성이 드러나게 된다는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감각장소(處.ayatana)는 제법을 6가지 감각기능(根.indriya)과 6가지 대상(境.arammana)의 12가지로 나눈 것이고, 18가지 요소는 제법을 6가지 감각기능과 6가지 대상과 6가지 의식(識.vinnana)의 18가지로 분류한 것을 말한다. 여기에다 5가지 무더기(蘊.khandha)을 포함해서 5온, 12처, 18계로 분류하는 것이 불교의 존재론이다. 그리고 초기경전에서 강조해서 설하고 있는 온.처.계의 가르침은 모두 개념적 존재를 법으로 해체해서 무상.고.무아를 드러내어 염오-이욕-소멸이나 혹은 염오-이욕-해탈-구경해탈지를 통해서 아라한과를 증득하고 불사인 열반을 실현하기 위한 것이다.
*Dhatu 라는 말을 한역에서는 계(界)라고 번역하고 서양에서는 요소(要素. element)라고 번역한다. 

 

phassananattasuttam (SN 14.2-감각접촉 경)
86. 사왓티에 머물고 계셨다. ··· “비구들이여, 요소들의 다양함을 연(緣)하여 감각접촉의 다양함이 일어난다.
비구들이여, 무엇이 요소들의 다양함인가?  

눈의 요소, 귀의 요소, 코의 요소, 혀의 요소, 몸의 요소, 마음의 요소이다.

비구들이여, 이것이 요소들의 다양함이라고 불린다.


비구들이여, 어떻게 요소들의 다양함을 연하여 감각접촉의 다양함이 일어나는가?

비구들이여, 눈의 요소를 연하여 눈의 감각접촉이 일어난다. 귀의 요소를 연하여 귀의 감각접촉이 일어난다. 코의 요소를 연하여 코의 감각접촉이 일어난다. 혀의 요소를 연하여 혀의 감각접촉이 일어난다. 몸의 요소를 연하여 몸의 감각접촉이 일어난다. 마음의 요소를 연하여 마음의 감각접촉이 일어난다.
비구들이여, 이렇게 요소들의 다양함을 연하여 감각접촉의 다양함이 일어난다.

 

nophassananattasttm (SN 14.3-감각접촉의 다양함 때문이 아님 경)
87. 사왓티에 머물고 계셨다. ··· “비구들이여, 요소들의 다양함을 연하여 감각접촉의 다양함이 일어나지만, 감각접촉의 다양함을 연하여 요소들의 다양함이 일어나지는 않는다.
비구들이여, 무엇이 요소들의 다양함인가?

눈의 요소, 귀의 요소, 코의 요소, 혀의 요소, 몸의 요소, 마음의 요소이다. 비구들이여, 이것이 요소들의 다양함이라고 불린다.


비구들이여, 어떻게 요소들의 다양함을 연하여 감각접촉의 다양함이 일어나지만, 감각접촉의 다양함을 연하여 요소들의 다양함이 
일어나지는 않는가?  
비구들이여, 눈의 요소를 연하여 눈의 감각접촉이 일어나지만 눈의 감각접촉을 연하여 눈의 요소의 다양함이 일어나지는 않는다. ···
귀의 요소를 연하여 ··· 코의 요소를 연하여 ··· 혀의 요소를 연하여 ··· 몸의 요소를 연하여 ··· 마음의 요소를 연하여 마음의 감각접촉이 일어나지만 마음의 감각접촉을 연하여 마음의 요소의 다양함이 일어나지는 않는다. 
비구들이여, 이렇게 요소들의 다양함을 연하여 감각접촉의 다양함이 일어나지만, 감각접촉의 다양함을 연하여 요소들의 다양함이 일어나지는 않는다.”  

 

vedanānattasuttam (SN 14.4-느낌의 다양함 경)
88. 사왓티에 머물고 계셨다. ···
“비구들이여, 요소들의 다양함을 연하여 감각접촉의 다양함이 일어나고 감각접촉의 다양함을 연하여 느낌의 다양함이 일어난다. 비구들이여, 무엇이 요소들의 다양함인가?

눈의 요소, 귀의 요소, 코의 요소, 혀의 요소, 몸의 요소, 마음의 요소이다.

비구들이여, 이것이 요소들의 다양함이라고 불린다.


비구들이여, 어떻게 요소들의 다양함을 연하여 감각접촉의 다양함이 일어나고 감각접촉의 다양함을 연하여 느낌의 다양함이 일어나는가?
비구들이여, 눈의 요소를 연하여 눈의 감각접촉이 일어나고 눈의 감각접촉을 연하여 눈의 감각접촉에서 생긴 느낌이 일어난다. ··· 귀의 요소를 연하여 ··· 코의 요소를 연하여 ··· 혀의 요소를 연하여 ··· 몸의 요소를 연하여 ··· 마음의 요소를 연하여 마음의 감각접촉이 일어나고 마음의 감각접촉을 연하여 마음의 감각접촉에서 생긴 느낌이 일어난다.  
비구들이여, 이렇게 요소들의 다양함을 연하여 감각접촉의 다양함이 일어나고 감각접촉의 다양함을 연하여 느낌의 다양함이 일어난다.”

 

dutiyavedanānattasuttam (SB 14.5-느낌의 다양함 경2)
89. 사왓티에 머물고 계셨다. ··· “비구들이여, 요소들의 다양함을 연하여 감각접촉의 다양함이 일어나고 감각접촉의 다양함을 연하여 느낌의 다양함이 일어나지만, 느낌의 다양함을 연하여 감각접촉의 다양함이 일어나지는 않고 감각접촉의 다양함을 연하여 요소의 다양함이 일어나지는 않는다. 비구들이여, 무엇이 요소들의 다양함인가?

눈의 요소, 귀의 요소, 코의 요소, 혀의 요소, 몸의 요소, 마음의 요소이다.

비구들이여, 이것이 요소들의 다양함이라고 불린다.


비구들이여, 그러면 어떻게 요소의 다양함을 연하여 감각접촉의 다양함이 일어나고 감각접촉의 다양함을 연하여 느낌의 다양함이 일어나지만, 느낌의 다양함을 연하여 감각접촉의 다양함이 일어나지는 않고 감각접촉의 다양함을 연하여 요소들의 다양함이 일어나지는 않는가?

비구들이여, 눈의 요소를 연하여 눈의 감각접촉이 일어나고 눈의 감각접촉을 연하여 눈의 감각접촉에서 생긴 눈의 느낌이 일어나지만, 눈의 감각접촉에서 생긴 눈의 느낌을 연하여 눈의 감각접촉이 일어나지는 않고 눈의 감각접촉을 연하여 눈의 요소가 일어나지는 않는다. ··· 귀의 요소를 연하여 ··· 코의 요소를 연하여 ··· 혀의 요소를 연하여 ··· 몸의 요소를 연하여 ··· 마음의 요소를 연하여 마음의 감각접촉이 일어나고 마음의 감각접촉을 연하여 마음의 감각접촉에서 생긴 마음의 느낌이 일어나지만, 마음의 감각접촉에서 생긴 느낌을 연하여 마음의 감각접촉이 일어나지는 않고 마음의 감각접촉을 연하여 마음의 요소가 일어나지는 않는다.

비구들이여, 이렇게 요소들의 다양함을 연하여 감각접촉의 다양함이 일어나고 감각접촉의 다양함을 연하여 느낌의 다양함이 일어나지만, 느낌의 다양함을 연하여 감각접촉의 다양함이 일어나지는 않고 감각접촉의 다양함을 연하여 요소들의 다양함이 일어나지는 않는다.”

 

bahiradhātunanattasuttam (SN 14-6-밖의 다섯 개 요소 경)
90. 사왓티에 머물고 계셨다. ··· “비구들이여, 그대들에게 밖의 요소(계.界)들의 다양함에 대해서 설할 것이다. 듣고 잘 사고하라. 나는 말할 것이다."
"알겠습니다, 세존이시여."라고 비구들은 세존께 대답했다. 세존께서는 이렇게 말씀하셨다.


비구들이여, 무엇이 밖의 요소들의 다양함인가?
형색의 요소, 소리의 요소, 냄새의 요소, 맛의 요소, 감촉의 요소, 법의 요소이다. 

비구들이여, 이것이 밖의 요소들의 다양함이라고 불린다.”

 

saññānānattasuttaṃ (SN 14.7-인식의 다양함 경)

91. 사왓티에 머물고 계셨다. ··· "알겠습니다, 세존이시여."라고 비구들은 세존께 대답했다. 세존께서는 이렇게 말씀하셨다.
“비구들이여, 요소들의 다양함을 연하여 인식(지각.想)의 다양함이 일어나고, 인식의 다양함을 연하여 사유의 다양함이 일어나고, 사유의 다양함을연하여 바람(관심.열의)의 다양함이 일어나고, 바람의 다양함을 연하여 열기의 다양함이 일어나고, 열기(뜨거운 번뇌)의 다양함을 연하여 추구(구함)의 다양함이 일어난다. 

 

비구들이여, 그러면 무엇이 요소들의 다양함인가?

형색의 요소, 소리의 요소, 냄새의 요소, 맛의 요소, 감촉의 요소, 법의 요소이다.

비구들이여, 이것이 요소들의 다양함이라고 불린다.

 

비구들이여, 어떻게 요소들의 다양함을 연하여 인식의 다양함이 일어나고, 인식의 다양함을 연하여 사유의 다양함이 일어나고, 사유의 다양함을 연하여 바람의 다양함이 일어나고, 바람의 다양함을 연하여 열기의 다양함이 일어나고, 열기의 다양함을 연하여 추구의 다양함이 일어나는가?

 

비구들이여, 형색의 요소를 연하여 형색의 인식이 일어나고, 형색의 인식을 연하여 형색에 대한 사유의 일어나고, 형색에 대한 사유를 연하여 형색에 대한 바람이 일어나고, 형색에 대한 바람을 연하여 형색에 대한 열기가 일어나고, 형색에 대한 열기를 연하여 형색에 대한 추구가 일어난다. ··· 소리의 요소를 연하여 ··· 냄새의 요소를 연하여 ··· 맛의 요소를 연하여 ··· 감촉의 요소를 연하여 ··· 법(마음현상)의 요소를 연하여 법의 인식이 일어나고, 법의 인식을 연하여 법에 대한 사유가 일어나고, 법에 대한 사유를 연하여 법에 대한 바람이 일어나고, 법에 대한 바람을 연하여 법에 대한 열기가 일어나고, 법에 대한 열기를 연하여 법에 대한 추구가 일어난다.

 

*'형색의 인식(nupa-sanna)'이란 눈의 의식과 연결된 인식이다.
*'형색의 사유(rupa-sankappa)'란 받아들이고 조사하고 결정하는 세 가지 마음과 연결된 사유이다.
*'형색의 바람(rupa-cchanda)'란 형색에 대한 의욕이라는 뜻에서 바람이라 한다.
*'형색의 열기(rupa-parilaha)'란 형색을 태운다는 뜻에서 [탐.진.치의 불은 자신의 대상을 태우는 역활을 하기 때문이다] 열기라고 한다.
*'형색의 추구(rupa-pariyesana)'란 열기가 일어난 것을 동료로 삼아서 그 형색을 얻기 위해서 추구한다.

 

이렇게, 비구들이여. 요소들의 다양함을 연하여 인식(지각.想)의 다양함이 일어나고, 인식의 다양함을 연하여 사유의 다양함이 일어나고, 사유의 다양함을 연하여 바람의 다양함이 일어나고, 바람의 다양함을 연하여 열기의 다양함이 일어나고, 열기의 다양함을 연하여 추구(구함)의 다양함이 일어난다.”

 

nopariyesanānānattasuttaṃ (SN 14.8-추구의 다양함 아님 경)

92. 사왓티에 머물고 계셨다. ··· “비구들이여, 요소들의 다양함을 연하여 인식의 다양함이 일어나고, 인식의 다양함을 연하여 사유의 다양함이 일어나고, 사유의 다양함을 연하여 바람의 다양함이 일어나고, 바람의 다양함을 연하여 열기의 다양함이 일어나고, 열기의 다양함을 연하여 추구의 다양함이 일어난다. 추구의 다양함을 연하여 열기의 다양함이 일어나지 않고, 열기의 다양함을 연하여 바람의 다양함이 일어나지 않고, 바람의 다양함을 연하여 사유의 다양함이 일어나지 않고, 사유의 다양함을 연하여 인식의 다양함이 일어나지 않고, 인식의 다양함을 연하여 요소들의 다양함이 일어나지 않는다. 비구들이여, 그러면 무엇이 요소들의 다양함인가? 형색의 요소, 소리의 요소, 냄새의 요소, 맛의 요소, 감촉의 요소, 법의 요소이다. 비구들이여, 이것이 요소의 다양함이라고 불린다.

 

어떻게, 비구들이여, 요소들의 다양함을 연하여 인식의 다양함이 일어나고, 인식의 다양함을 연하여 사유의 다양함이 일어나고, 사유의 다양함을 연하여 바람의 다양함이 일어나고, 바람의 다양함을 연하여 열기의 다양함이 일어나고, 열기의 다양함을 연하여 추구의 다양함이 일어나는가? 추구의 다양함을 연하여 열기의 다양함이 일어나지 않고, 열기의 다양함을 연하여 바람의 다양함이 일어나지 않고, 바람의 다양함을 연하여 사유의 다양함이 일어나지 않고, 사유의 다양함을 연하여 인식의 다양함이 일어나지 않고, 인식의 다양함을 연하여 요소들의 다양함이 일어나지 않는가?


비구들이여, 형색의 요소를 연하여 형색의 인식이 일어나고, ··· 법의 요소를 연하여 법의 인식이 일어나고, 법의 인식을 연하여 ···법에 대한 추구가 일어난다. 법에 대한한 추구를 연하여 법에 대한 열기가 일어나지 않고, 법에 대한 열기를 연하여 법에 대한 바람이 일어나지 않고, 법에 대한 바람을 연하여 법에 대한 사유가 일어나지 않고, 법에 대한 사유를 연하여 법의 인식이 일어나지 않고, 법의 인식을 연하여 법의 요소가 일어나지 않는다.  

 

이렇게, 비구들이여, 요소들의 다양함을 연하여 인식의 다양함이 일어나고, 인식의 다양함을 연하여 ··· 추구의 다양함이 일어난다. 추구의 다양함을 연하여 열기의 다양함이 일어나지 않고, 열기의 다양함을 연하여 바람의 다양함이 일어나지 않고, 바람의 다양함을 연하여 사유의 다양함이 일어나지 않고, 사유의 다양함을 연하여 인식의 다양함이 일어나지 않고, 인식의 다양함을 연하여 요소들의 다양함이 일어나지 않는다.”

 

bāhiraphassanānattasuttaṃ (SN 14.9-밖의 감각접촉(觸)의 다양함 경)
93. 사왓티에 머물고 계셨다. ··· “비구들이여, 요소들의 다양함을 연하여 인식의 다양함이 일어나고, 인식의 다양함을 연하여 사유의 다양함이 일어나고, 사유의 다양함을 연하여 감각접촉(닿음)의 다양함이 일어나고, 감각접촉의 다양함을 연하여 느낌의 다양함이 일어나고, 느낌의 다양함을 연하여 바람의 다양함이 일어나고, 바람의 다양함을 연하여 열기의 다양함이 일어나고, 열기의 다양함을 연하여 추구(구함)의 다양함이 일어나고, 추구의 다양함을 연하여 획득(얻음)의 다양함이 일어난다. 그러면,
비구들이여, 무엇이 요소들의 다양함인가? 형색의 요소, 소리의 요소, 냄새의 요소, 맛의 요소, 감촉의 요소, 법의 요소이다. 이것이, 비구들이여, 요소들의 다양함이라고 불린다.  

 

어떻게, 비구들이여, 요소들의 다양함을 연하여 인식의 다양함이 일어나고, 인식의 다양함을 연하여 ··· 획득의 다양함이 일어나는가?

 

비구들이여, 형색의 요소를 연하여 형색의 인식이 일어나고, 형색의 인식을 연하여 형색에 대한 사유가 일어나고, 형색에 대한 사유를 연하여 형색에 대한 감각접촉이 일어나고, 형색에 대한 감각접촉을 연하여 형색에 대한 느낌이 일어나고, 형색에 대한 느낌을 연하여 형색에 의한 바람이 일어나고, 형색에 대한 바람을 연하여 형색에 대한 열기가 일어나고, 형색에 대한 열기를 연하여 형색에 대한 추구가 일어나고, 형색에 대한 추구를 연하여 형색에 대한 획득이 일어난다. ··· 소리의 요소를 연하여 ··· 냄새의 요소를 연하여 ··· 맛의 요소를 연하여 ··· 감촉의 요소를 연하여 ··· 법의 요소를 연하여 법의 인식이 일어나고, 법의 인식을 연하여 법에 대 사유가 일어나고, 법에 대한 사유를 연하여 형색에 대한 감각접촉이 일어나고, 법에 대한 감각접촉을 연하여 법에 대한 느낌이 일어나고, 법에 대한 느낌을 연하여 법에 대한 바람이 일어나고, 법에 대한 바람을 연하여 법에 대한 열기가 일어나고, 볍에 대한 열기를 연하여 법에 대한 추구가 일어나고, 법에 대한 추구를 연하여 법에 대한 획득이 일어난다.  

 

이렇게, 비구들이여, 요소들의 다양함을 연하여 인식의 다양함이 일어나고, 인식의 다양함을 연하여 ··· 추구의 다양함을 연하여 획득(얻음)의 다양함이 일어난다.”  

 

dutiyabāhiraphassanānattasuttaṃ (SN 14.10-밖의 감각접촉(觸)의 다양함 경2)
94. 사왓티에 머물고 계셨다. ··· “비구들이여, 요소들의 다양함을 연하여 인식의 다양함이 일어난다. 인식의 다양함을 연하여 사유의 다양함이 일어난다.  의도의 다양함을 연하여 감각접촉의 다양함이 일어나고, 감각접촉의 다양함을 연하여 느낌의 다양함이 일어난다. 느낌의 다양함을 연하여 바람의 다양함이 일어나고, 바람의 다양함을 연하여 열기의 다양함이 일어난다. 열기의 다양함을 연하여 추구의 다양함이 일어나고, 추구의 다양함을 연하여 획득의 다양함이 일어난다. 획득의 다양함을 연하여 추구의 다양함이 일어나지 않는다. 추구의 다양함을 연하여 열기의
  다양함이 일어나지 않는다. 열기의 다양함을 연하여 ··· 바람 ··· 느낌 ··· 감각접촉 ··· 사유 ··· 인식의 다양함이 일어나지 않는다. 인식의 다양함을 연하여 요소들의 다양함이 일어나지 않는다. 그러면, 비구들이여, 무엇이 요소들의 다양함인가? 형색의 요소, 소리의 요소, 냄새의 요소, 맛의 요소, 감촉의 요소, 법의 요소이다. 이것이, 비구들이여, 요소들의 다양함이라고 불린다.

 

어떻게, 비구들이여, 요소들의 다양함을 연하여 인식의 다양함이 일어나고, 인식의 다양함을 연하여 사유의 다양함이 일어나고, ··· 감각접촉 ··· 느낌 ··· 바람 ··· 열기 ··· 추구 ··· 얻음의 다양함이 일어나는가? 얻음의 다양함을 연하여 추구의 다양함이 일어나지 않고, 추구의 다양함을 연하여 열기의 다양함이 일어나지 않고, ···바람 ··· 느낌 ··· 감각접촉 ··· 사유의 다양함은 연하여 사유의 다양함이 일어나지 않고, 인식의 다양함을 연하여 요소들의 다양함이 일어나지 않는가?

 

비구들이여, 형색의 요소를 연하여 형색의 인식이 일어나고, ··· 법의 요소를 연하여 법의 인식이 일어나고, 법의 인식을 연하여 ··· 법에 대한 추구가 일어나고, 법에 대한 추구를 연하여 법에 대한 획득이 생긴다. 법에 대한 획득을 연하여 법에 대한 추구가 일어나지 않고, 법에 대한 추구를 연하여 법에 대한 열기가 일어나지 않고, 법에 대한 열기를 연하여 법에 대한 바람이 일어나지 않고, 법에 대한 바람을 연하여 법에 대한 감각접촉에서 일어나는 느낌이 일어나지 않고, 법에 대한 감각접촉에서 생기는 느낌을 연하여 법에 대한 감각적촉이 일어나지 않고, 법에 대한 감각접촉을 연하여 법에 대한 사유가 일어나지 않고, 법에 대한 사유를 연하여 법의 인식이 일어나지 않고, 법의 인식을 연하여 법의 요소가 일어나지 않는다.

 

이렇게, 비구들이여, 요소들의 다양함을 연하여 인식의 다양함이 일어나고, 인식의 다양함을 연하여 사유의 다양함이 일어나고, ··· 감각접촉 ··· 느낌 ··· 바람 ··· 열기 ··· 추구 ··· 획득의 다양함이 일어난다. 획득의 다양함을 연하여 추구의 다양함이 일어나지 않고, 추구의 다양함을 연하여 열기의 다양함이 일어나지 않고, 열기의 다양함을 연하여 바람의 다양함이 일어나지 않고, 바람의 다양함을 연하여 느낌의 다양함이 일어나지 않고, 느낌의 다양함을 연하여 감각접촉의 다양함이 일어나지 않고, 감각접촉의 다양함을 연하여 사유의 다양함이 일어나지 않고, 사유의 다양함을 연하여 인식의 다양함이 일어나지 않고, 인식의 다양함을 연하여 요소들의 다양함이 일어나지 않는다.”

 


제1장 다양함 품이 끝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