빠알리어 경전/앙굿따라 니까야

여덟의 모음 - 4. 보시 품(Dāna-vagga. AN8.31-40)

실론섬 2014. 8. 17. 14:51

제4장 보시 품 Dāna-vagga (AN8.31-40)

 

paṭhamadānasuttaṃ (AN 8.31-보시 경1)

31. “비구들이여, 이런 여덟 가지 보시가 있다. 어떤 여덟 가지인가?

함께 거주하기 때문에 보시한다. 두려움 때문에 보시한다. '나에게 주었다.'라면서 보시한다. '나에게 줄 것이다.' 라고 생각하며 보시한다. 보시는 좋은 것이기 때문에 보시한다. '나는 음식을 만들지만 이들은 음식을 만들지 않는다. 음식을 만들면서, 음식을 만들지 않는 사람에게 보시하지 않는 것은 옳지 않다(어울리지 않는다).’라고 해서 보시한다. ‘내가 이 보시물을 보시함으로 해서 덕 있는 사람이라는 좋은 명성이 생길 것이다.’라고 해서 보시한다. 자신의 마음을 가꾸고 아름답게 하기 위해, 마음의 필수품을 위해서 보시한다. 이것이, 비구들이여, 여덟 가지 보시이다.”

 

*사마타와 위빳사나의 마음을 아름답게 가꾸고 에워싸기 위해서 보시한다. 보시는 마음을 부드럽게 만들기 때문이다. 보시 받은 자도 '내가 보시물을 얻었다.'라고 마음이 부드러워지고 보시한 자도 '내가 보시를 했다.'라고 마음이 부두러워진다. 이처럼 보시는 주고받는 두 사람의 마음을 부드럽게 만든다. 그래서 '보시는 길을여지지 않은 것을 길들인다.'라고 말한다. 이 여덟 가지 보시 가운데 마음을 아름답게 가꾸는(장엄하는) 보시가 최상이다.(DA.iii.1044-45)

 

dutiyadānasuttaṃ (AN 8.32-보시 경2)

32. "믿음과 부끄러운 줄 아는 힘과 유익한 보시
이 법들은 고결한 사람이 뒤따른다.
참으로 사람들은 이 신성한 길을 말한다.
참으로 이것에 의해서 천상 세계에 가기 때문이다."

 

dānavatthusuttaṃ (AN 8.33-보시의 기반 경)

33. “비구들이여, 여덟 가지 보시의 기반(보싱의 이유)이 있다. 어떤 여덟인가?

의욕 때문에 보시한다. 성냄 때문에 보시한다. 어리석음 때문에 보시한다. 두려움 때문에 보시한다. ‘선조들이 전에 보시하고 행하던 오래된 가문의 전통을 내가 없애버리는 것은 옳지 않다.’라고 해서 보시한다. '나는 이 보시를 하고 몸이 무너져 죽은 뒤 좋은 곳[善處], 천상 세계에 태어날 것이다.’라고 해서 보시한다. ‘내가 보시를 하면 마음이 밝아지고, 만족과 기쁨이 생긴다.’라고 해서 보시한다. 자신의 마음을 가꾸고 아름답게 하기 위해,  마음의 필수품을 위해서 보시한다. 이것이, 비구들이여, 여덟 가지 보시의 기반이다(보시의 이유이다).”

 

khettasuttaṃ (AN 8.34-밭 경)

34. “여덟 가지 요소를 갖춘 밭에 뿌린 씨앗은 많은 결실이 없고, 달콤한 맛이 없고, 잘 자라지 못한다. 어떤 여덟 요소의 갖춤인가?

여기, 비구들이여, 밭은 울퉁불퉁하고, 돌과 자갈이 많고, 염분이 있고, 잘 다져지지 않았고, 물이 들어 올 입수로가 없고, 물이 빠질 배수로가 없고,

크고 작은 수로가 제대로 없고, 밭둑을 제대로 갖추지 못했다. 비구들이여, 이런 여덟 가지 요소를 갖춘 밭에 뿌린 씨앗은 많은 결실이 없고, 달콤한 맛이 없고, 잘 자라지 못한다.

 

이처럼, 비구들이여, 여덟 가지 요소를 갖춘 사문과 바라문들에게 올린 보시는 큰 결실이 없고, 큰 이익이 없고, 큰 광채가 없고, [과보가] 널리 퍼지지 않는다. 어떤 여덟 요소의 갖춤인가?
비구들이여, 여기 사문과 바라문들은 삿된 견해를 가졌고,
삿된 사유를 가졌고, 삿된 말을 하고, 삿된 행위를 하고, 삿된 생계를 가졌고, 삿된 정진을 하고, 삿된 마음 챙김을 가졌고, 삿된 삼매를 가졌다. 비구들이여, 이런 여덟 가지 요소를 갖춘 사문과 바라문들에게 올린 보시는 큰 결실이 없고, 큰 이익이 없고, 큰 광채가 없고, 널리 퍼지지 않는다.

 

비구들이여, 여덟 가지 요소를 갖춘 밭에 뿌린 씨앗은 많은 결실이 있고, 달콤한 맛이 있고, 잘 자란다. 어떤 여덟 요소의 갖춤인가?
여기, 비구들이여, 밭은 울퉁불퉁하지 않고, 돌과 자갈이
 없고, 염분이 없고, 날 다져져 있고, 물이 들어 올 입수로가 있고, 물이 빠질 배수로가 있고,

크고 작은 수로가 제대로 있고, 밭둑이 갖추어져 있다. 비구들이여, 이런 여덟 가지 요소를 갖춘 들판에 뿌린 씨앗은 많은 결실이 있고, 달콤한 맛이 있고, 잘 자란다.

 

이처럼, 비구들이여, 여덟 가지 요소를 갖춘 사문과 바라문들에게 올린 보시는 큰 결실이 있고, 큰 이익이 있고, 큰 광채가 있고, 널린 퍼진다. 어떤 여덟 요소의 갖춤인가?
비구들이여, 여기 사문과 바라문들은 바른 견해를 가졌고, 바른 사유를 가졌고, 바른 말을 하고, 바른 행위를 하고, 바른 생계를 가졌고, 바른 정진을 하고, 바른 마음 챙김을 가졌고, 바른 삼매를 가졌다. 비구들이여, 이런 여덟 가지 요소를 갖춘 사문과 바라문들에게 올린 보시는 큰 결실이 있고, 큰 이익이 있고, 큰 광채가 있고, 널리 퍼진다." 


'비옥함을 갖춘 밭에 잘 뿌린 구족된 씨앗은 비가 적절하게 내리면 곡물이 풍족하게 된다.

병충해가 없고 잘 자라며, 완전히 자라서 구족함을 얻는다.

 

그와 같이 계를 구족한 분들께 보시한 갖가지 음식은 세 가지 선업을 구족하게 한다.

그러므로 구족을 원하는, 이익을 구족한 사람은 지혜를 구족한 자들을 섬겨야 한다.

 

그러면 구족이 생긴다. 명지와 실천을 구족한 자는 마음의 구족을 얻어서 업을 구족하게 되고,

이익의 구족을 얻는다.

 

세상을 있는 그대로 안 뒤 견해의 구족을 얻게 되며 법의 구족이 오면 마음의 구족으로 간다.

모든 더러움을 털어내고 열반의 구족을 얻어서 모든 괴로움으로부터 해탈하는 것이 일체를

구족한 것이다.'

 

dānūpapattisuttaṃ (AN 8.35-보시에 의한 태어남 경)

35. “비구들이여, 여덟 가지 보시에 의한 태어남이 있다. 어떤 여덟인가?

여기, 비구들이여, 어떤 사람은 사문이나 바라문에게 먹을 것과 마실 것과 입을 것과 탈 것과 화환과 향수와 화장품과 그리고 침상과 거처와 등불을 보시한다. 그는 보시한 것의 과보를 기대한다. 그는 부유한 끄샤뜨리야들이나 부유한 바라문들이나 부유한 장자들이 다섯 가지의 감각적 쾌락에 묶인 것들을 얻고 소유하고 즐기는 것을 본다. 그에게 이런 생각이 일어난다 ‘오, 참으로 나는 몸이 무너져 죽은 뒤에 부유한 끄샤뜨리야들이나 부유한 바라문들이나 부유한 장자들의 일원으로 태어나야겠다.’라고. 그는 그 마음을 확립하고 그 마음을 굳건히 하고 그 마음을 닦는다. 그의 마음은 낮은 곳으로 기울고, 더 높은 것(도道와 과果)을 닦지 않은 그의 마음은 거기에 태어남으로 이끈다. 몸이 무너져 죽은 뒤에 부유한 끄샤뜨리야들이나 부유한 바라문들이나 부유한 장자들의 일원으로 태어난다. 그런데 나는 이것은 계를 경시하는 자가 아니라 계를 중시하는 사람에게 말한다. 비구들이여, 계를 중시하는 사람은 청정하기 때문에 마음의 바램(소원)을 성취한다.

 

비구들이여, 여기 어떤 자는 사문이나 바라문에게 먹을 것과 마실 것과 입을 것과 탈 것과 화환과 향수와 화장품과 그리고 침상과 숙소와 등불을 보시한다. 그는 보시한 것의 과보를 기대한다. 그는 ‘사대왕천의 신들은 긴 수명을 가졌고 아름답고 아주 행복하다.’라고 듣는다. 그에게 이런 생각이 일어난다. ‘오, 참으로 나는 몸이 무너져 죽은 뒤에 사대왕천의 신들의 일원으로 태어나야겠다.’라고. 그는 그 마음을 확립하고 그 마음을 굳건히 하고 그 마음을 닦는다. 그의 마음은 낮은 곳으로 기울고, 더 높은 것을 닦지 않은 그의 마음은 거기에 태어남으로 이끈다. 몸이 무너져 죽은 뒤에 사대왕천의 신들의 일원으로 태어난다. 그런데 나는 이것은 계를 경시하는 자가 아니라 계를 중시하는 사람에게 말한다. 비구들이여, 계를 중시하는 사람은 청정하기 때문에 마음의 바램(소원)을 성취한다.  


비구들이여, 여기 어떤 자는 사문이나 바라문에게 먹을 것과 마실 것과 입을 것과 탈 것과 화환과 향수와 화장품과 그리고 침상과 숙소와 등불을 보시한다. 그는 보시한 것의 과보를 기대한다. 그는 ‘삼십삼천의 신들은 ··· 야마천(夜摩天)의 신들은 ··· 도솔천(兜率天)의 신들은 ··· 화락천(化樂天)의 신들은 ··· 타화자재천(他化自在天)의 신들은
긴 수명을 가졌고 아름답고 아주 행복하다.’라고 듣는다. 그에게 이런 생각이 일어난다. '오, 참으로 나는 몸이 무너져 죽은 뒤에 타화자재천의 신들의 일원으로 태어나야겠다.’라고. 그는 그 마음을 확립하고 그 마음을 굳건히 하고 그 마음을 닦는다. 그의 마음은 낮은 곳으로 기울고, 높은 것을 닦지 않은 그의 마음은 거기에 태어남으로 이끈다. 몸이 무너져 죽은 뒤에 타화자재천의 신들의 일원으로 태어난다. 그런데 나는 이것은 계를 경시하는 자가 아니라 계를 중시하는 사람에게 말한다. 비구들이여, 계를 중시하는 사람은 청정하기 때문에 마음의 바램(소원)을 성취한다.     

 

비구들이여, 여기 어떤 자는 사문이나 바라문에게 먹을 것과 마실 것과 입을 것과 탈 것과 화환과 향수와 화장품과 그리고 침상과 숙소와 등불을 보시한다. 그는 보시한 것의 과보를 기대한다. 그는 ‘범중천의 천신들은 긴 수명을 가졌고 아름답고 아주 행복하다.’라고 듣는다. 그러자 그에게 이런 생각이 일어난다. ‘오, 참으로 나는 몸이 무너져 죽은 뒤에 범중천의 천신들의 일원으로 태어나야겠다.’라고. 그는 그 마음을 확립하고 그 마음을 굳건히 하고 그 마음을 닦는다. 그의 마음은 낮은 곳으로 기울고, 높은 것을 닦지 않은 그의 마음은 거기에 태어남으로 이끈다. 몸이 무너져 죽은 뒤에 범중천의 천신들의 일원으로 태어난다. 그런데 나는 이것은 계를 경시하는 자가 아니라 계를 중시하는 사람에게 말한다. 비구들이여, 계를 중시하는 사람은 청정하기 때문에 마음의 바램(소원)을 성취한다.    

비구들이여, 이런 여덟 가지 보시에 의한 태어남이 있다.”

 

puññakiriyavatthusuttaṃ (AN 8.36-공덕의 결실을 있게 하는 토대 경)
36. “비구들이여, 세 가지 공덕의 결실을 익게하는(공덕행) 토대가 있다. 어떤 셋인가?

보시로 만들어진 공덕의 결실을 있게 하는 토대, 계로 만들어진 공덕의 결실을 있게 하는 토대, 닦음으로 만들어진 공덕의 결실을 있게 하는 토대이다. 

 

여기, 비구들이여, 어떤 사람은 보시로 만들어진 공덕의 결실을 있게 하는 토대를 조금 만들었고, 계로 만들어진 공덕의 결실을 있게 하는 토대를 조금 만들었고, 닦음으로 만들어진 공덕의 결실을 있게 하는 토대를 만들지 못했다. 그는 몸이 무너져 죽은 뒤에 불행한(불운한) 인간으로 태어난다.

 

*불행한 인간(manussa-dobhagya)'이란 인간들 중에서 성공, 행복, 행운이 없는 다섯 종류의 낮은 가문을 말한다.(AA.iv.127) 다섯 종류의 낮은 가문은 불가촉천민 가문, 사냥꾼 가문, 죽세공 가문, 마차공 가문, 넝마주이 가문이다.

 

그리고 비구들이여, 여기 어떤 사람은 보시로 만들어진 공덕의 결실을 있게 하는 토대를 웬만큼(보통으로) 만들었고, 계로 만들어진 공덕의 결실을 있게 하는 토대를 웬만큼 만들었고, 닦음으로 만들어진 공덕의 결실을 있게 하는 토대를 만들지 못했다. 그는 몸이 무너져 죽은 뒤에 운이 좋은 인간으로 태어난다.

 

그리고 비구들이여, 여기 어떤 사람은 보시로 만들어진 공덕의 결실을 있게 하는 토대를 굳건하게 만들었고, 계로 만들어진 공덕의 결실을 있게 하는 토대는 굳건하게 만들었고, 닦음으로 만들어진 공덕의 결실을 있게 하는 토대를 만들지는 못했다. 그는 몸이 무너져 죽은 뒤에 사대왕천의 신들의 동료로 태어난다. 거기서, 비구들이여, 사대천왕들은 보시로 만들어진 공덕의 결실을 있게 하는 토대를 굳건하게 만들고, 계로 만들어진 공덕의 결실을 있게 하는 토대를 굳건하게 만든 뒤에, 열 가지 측면에서 사대왕천의 신들을 능가한다. 그것은 하늘의 수명, 하늘의 용모, 하늘의 행복, 하늘의 명성, 하늘의 권력, 하늘의 형상, 하늘의 소리, 하늘의 향기, 하늘의 맛, 하늘의 감촉이다.

 

*사대천왕(Catu-maharaja)은 사대왕천(Catu-maharajika)를 관장하는 네 명의 왕들이다.

 

그리고 비구들이여, 여기 어떤 사람은 보시로 만들어진 공덕의 결실을 있게 하는 토대를 굳건하게 만들었고, 계로 만들어진 공덕의 결실을 있게 하는 토대는 굳건하게 만들었지만, 닦음으로 만들어진 공덕의 결실을 있게 하는 토대를 만들지는 못했다. 그는 몸이 무너져 죽은 뒤에 삼십삼천의 신들의 동료로 태어난다. 거기서, 비구들이여, 신들의 왕 삭까는 보시로 만들어진 공덕의 결실을 있게 하는 토대를 굳건하게 만들고, 계로 만들어진 공덕의 결실을 있게 하는 토대를 굳건하게 만든 뒤에, 열 가지 측면에서 삼십삼천의 신들을 능가한다. 그것은 하늘의 수명, 하늘의 용모, 하늘의 행복, 하늘의 명성, 하늘의 권력, 하늘의 형상, 하늘의 소리, 하늘의 향기, 하늘의 맛, 하늘의 감촉이다.

 

*삼십삼천(Tavatimsa)의 수장은 삭까(Sakka,인드라)이며, 삭까는 신들의 왕이라고 베다에서부터 불려지고 있다. 불교 신화에서도 그대로 차용되었다.

 

그리고 비구들이여, 여기 어떤 사람은 보시로 만들어진 공덕의 결실을 있게 하는 토대를 굳건하게 만들었고, 계로 만들어진 공덕의 결실을 있게 하는 토대는 굳건하게 만들었지만, 닦음으로 만들어진 공덕의 결실을 있게 하는 토대를 만들지는 못했다. 그는 몸이 무너져 죽은 뒤에 야마천의 신들의 동료로 태어난다. 거기서, 비구들이여, 신의 아들 수야마는 보시로 만들어진 공덕의 결실을 있게 하는 토대를 굳건하게 만들고, 계로 만들어진 공덕의 결실을 있게 하는 토대를 굳건하게 만든 뒤에, 열 가지 측면에서 야마천의 신들을 능가한다. 그것은 하늘의 수명, 하늘의 용모, 하늘의 행복, 하늘의 명성, 하늘의 권력, 하늘의 형상, 하늘의 소리, 하늘의 향기, 하늘의 맛, 하늘의 감촉이다.

 

*수야마(Suyama)는 야마천(Yama)의 왕이다. 세존께서 마야부인을 위해서 도솔천에 가셔서 아비담바를 설하고 상까사(Sankasa)로 내려오셨을 때 수야마가 불자를 들고 수행하였다고 한다. 

 

그리고 비구들이여, 여기 어떤 사람은 보시로 만들어진 공덕의 결실을 있게 하는 토대를 굳건하게 만들었고, 계로 만들어진 공덕의 결실을 있게 하는 토대는 굳건하게 만들었지만, 닦음으로 만들어진 공덕의 결실을 있게 하는 토대를 만들지는 못했다. 그는 몸이 무너져 죽은 뒤에 도솔천의 신들의 동료로 태어난다. 거기서, 비구들이여, 신의 아들 산뚜시따는 보시로 만들어진 공덕의 결실을 있게 하는 토대를 굳건하게 만들고, 계로 만들어진 공덕의 결실을 있게 하는 토대를 굳건하게 만든 뒤에, 열 가지 측면에서 도솔천의 신들을 능가한다. 그것은 하늘의 수명, 하늘의 용모, 하늘의 행복, 하늘의 명성, 하늘의 권력, 하늘의 형상, 하늘의 소리, 하늘의 향기, 하늘의 맛, 하늘의 감촉이다.

 

*산뚜시따(Santusita, 문자적으로는 '잘 만족함'을 뜻함)는 도솔천(Tusita)의 왕이다.


그리고 비구들이여, 여기 어떤 사람은 보시로 만들어진 공덕의 결실을 있게 하는 토대를 굳건하게 만들었고, 계로 만들어진 공덕의 결실을 있게 하는 토대는 굳건하게 만들었지만, 닦음으로 만들어진 공덕의 결실을 있게 하는 토대를 만들지는 못했다. 그는 몸이 무너져 죽은 뒤에 화락천의 신들의 동료로 태어난다. 거기서,
비구들이여, 신의 아들 수님미따는 보시로 만들어진 공덕의 결실을 있게 하는 토대를 굳건하게 만들고, 계로 만들어진 공덕의 결실을 있게 하는 토대를 굳건하게 만든 뒤에, 열 가지 측면에서 화락천의 신들을 능가한다. 그것은 하늘의 수명, 하늘의 용모, 하늘의 행복, 하늘의 명성, 하늘의 권력, 하늘의 형상, 하늘의 소리, 하늘의 향기, 하늘의 맛, 하늘의 감촉이다.

 

*수님미따(Sunimmita, 문자적으로는 '잘 창조됨'을 뜻함)는 화락천(Nimmanarati)의 왕이다.


그리고 비구들이여, 여기 어떤 사람은 보시로 만들어진 공덕의 결실을 있게 하는 토대를 굳건하게 만들었고, 계로 만들어진 공덕의 결실을 있게 하는 토대는 굳건하게 만들었지만, 닦음으로 만들어진 공덕의 결실을 있게 하는 토대를 만들지는 못했다. 그는 몸이 무너져 죽은 뒤에 타화자재천의 신들의 동료로 태어난다. 거기서,
비구들이여, 신의 아들 와사왓띠는 보시로 만들어진 공덕의 결실을 있게 하는 토대를 굳건하게 만들고, 계로 만들어진 공덕의 결실을 있게 하는 토대를 굳건하게 만든 뒤에, 열 가지 측면에서 타화자재천의 신들을 능가한다. 그것은 하늘의 수명, 하늘의 용모, 하늘의 행복, 하늘의 명성, 하늘의 권력, 하늘의 형상, 하늘의 소리, 하늘의 향기, 하늘의 맛, 하늘의 감촉이다.

 

*와사왓띠(Vasavatti, 문자적으로 '자재'를 뜻함)는 타와자재천(Paranmmitavasavatti)의 왕이다. 

 

비구들이여, 이러한 세 가지 공덕의 결실을 익게하는 토대가 있다.”

 

sappurisadānasuttaṃ (AN 8.37-고결한 사람의 보시 경)

37. “비구들이여, 여덟 가지 고결한(참된) 사람의 보시가 있다. 어떤 여덟인가?
깨끗한 것을 보시하고, 
좋은 것을 보시하고, 적절한 시기에 보시하고, 적당한 것을 보시하고, 살펴 본 뒤에 보시하고, 지속적으로 보시하고, 보시하는 마음을 청정하게 하고, 보시한 뒤에는 기뻐한다. 이것이, 비구들이여, 여덟 가지 고결한 사람의 보시이다."

 

'적절한 시기에 깨끗하고, 뛰어나고, 적당한 음료와 먹을 것을  

범행을 닦는 자, 훌륭한 복밭에 지속적으로 보시한다.

 

많은 재물을 베푼 뒤에도 후회하지 않는 자의

이렇게 베푼 보시를 바르게 보는 자들은 칭찬한다.

 

믿음이 있고 지혜로운 자는 관대한 마음으로 이렇게 베푼 뒤에

악의 없는 행복한 세상에 태어난다.'

 

sappurisasuttaṃ (AN 8.38-고결한 사람 경)

38. “비구들이여, 고결한 사람이 한 가문에 태어나게 되면 많은 사람들에게 이로움이 되고 도움이 되고 행복이 된다. 부모에게 이로움이 되고 도움이 되고 행복이 된다. 아들과 아내에게 이로움이 되고 도움이 되고 행복이 된다. 하인과 일꾼들에게 이로움이 되고 도움이 되고 행복이 된다. 친구와 동료들에게 이로움이 되고 도움이 되고 행복이 된다. 선조들에게 이로움이 되고 도움이 되고 행복이 된다. 신들에게 이로움이 되고 도움이 되고 행복이 된다. 사문∙바라문들에게 이로움이 되고 도움이 되고 행복이 된다.

 

예를 들면, 비구들이여, 충분하게 내리는 비는 모든 곡식을 익게 하여 많은 사람들에게 이로움이 되고 도움이 되고 행복이 되는 것과 같다. 그와 같이, 비구들이여, 참된 사람이 한 가문에 태어나게 되면 많은 사람들에게 이로움이 되고 도움이 되고 행복이 된다. 부모에게 이로움이 되고 도움이 되고 행복이 된다. 아들과 아내에게 이로움이 되고 도움이 되고 행복이 된다. 하인과 일꾼들에게 이로움이 되고 도움이 되고 행복이 된다. 친구와 동료들에게 이로움이 되고 도움이 되고 행복이 된다. 선조들에게 이로움이 되고 도움이 되고 행복이 된다. 신들에게 이로움이 되고 도움이 되고 행복이 된다. 사문∙바라문들에게 이로움이 되고 도움이 되고 행복이 된다."

 

'현자가 집에 머물면 많은 사람들에게 도움이 된다.

처음엔 어머니와 아버지가 지은 공덕을 기억하면서

밤낮으로 게으르지 않고

 

그들을 법답게 섬기고 집에서 집없는 곳으로 출가하면

청정범행을 닦는 것을 존중하고 믿음이 굳고 온화하며

법을 알아 그것을 공경한다.

 

왕에게 이롭고 신들에게 이롭고 친척과 친구들에게 이롭고

모두에게 이로운, 정법에 확고부동한 그는 인색의 더러움을 없애고

세상에 행운을 가져다준다.'

 

abhisandasuttaṃ (AN 8.39-쌓음 경)

39. “비구들이여, 공덕을 쌓고(공덕이 넘쳐 흐르고), 유익함을 쌓고, 행복을 가져오고, 신성한 결말을 가져오고, 과보가 행복이고, 천상으로 이끄는 이러한 여덟 가지는 원하고, 좋아하고, 마음에 드는 이익과 행복으로 이끈다. 어떤 여덟인가?

 

여기, 비구들이여, 성스러운 제자는 세존께 귀의한다.

이것이, 비구들이여, 공덕을 쌓고, 유익함을 쌓고, 행복을 가져오고, 신성한 결말을 가져오고, 과보가 행복이고, 천상으로 이끄는 첫 번째 것이고, 이것은 원하고, 좋아하고, 마음에 드는 이익과 행복으로 이끈다.

 

여기, 비구들이여, 성스러운 제자는 법에 귀의한다. 

이것이, 비구들이여, 두 번째 공덕을 쌓고, 유익함을 쌓고, 행복을 가져오고, 신성한 결말을 가져오고, 과보가 행복이고, 천상으로 이끄는 두 번째 것이고, 이것은 원하고, 좋아하고, 마음에 드는 이익과 행복으로 이끈다.

 

여기, 비구들이여, 성스러운 제자는 승가에 귀의한다.
이것이, 비구들이여, 공덕을 쌓고, 유익함을 쌓고, 행복을 가져오고, 신성한 결말을 가져오고, 과보가 행복이고, 천상으로 이끄는 세 번째 것이고, 이것은 원하고, 좋아하고, 마음에 드는 이익과 행복으로 이끈다.

 

비구들이여, 다섯 가지 보시가 있다. 가장 높은 것이라고 알려지고, 오래되었다고 알려지고, 계보라고 알려지고, 고대로부터 전해오고, 오염되지 않은 것이어서 이전에도 오염되지 않았고, 오염되지 않은 그리고 오염되지 않을 위대한 보시인데, 현명한 사과 바라문들에 의해서 비난받지 않는 것이다. 무엇이 다섯인가? 여기, 비구들이여, 성스러운 제자는 생명을 해치는 행위를 버렸기 때문에 생명을 해치는 행위로부터 멀리 떠난 자이다. 비구들이여, 생명을 해치는 행위로부터 멀리 떠난 성스러운 제자는 한량없는 중생들에게 두려움 없음을 베풀고 증오 없음을 베풀고 악의 없음을 베푼다. 한량없는 중생들에게 두려움 없음을 베풀고 증오 없음을 베풀고 악의 없음을 베푼 뒤에 무량한 두려움 없음과 증오 없음과 악의 없음을 나누어 가진다. 이것이, 비구들이여, 첫 번째 보시이다.  가장 높은 것이라고 알려지고, 오래되었다고 알려지고, 계보라고 알려지고, 고대로부터 전해오고, 오염되지 않은 것이어서 이전에도 오염되지 않았고, 오염되지 않은 그리고 오염되지 않을 위대한 보시인데, 현명한 사과 바라문들에 의해서 비난받지 않는 것이다. 이것이, 비구들이여, 공덕을 쌓고, 유익함을 쌓고, 행복을 가져오고, 신성한 결말을 가져오고, 과보가 행복이고, 천상으로 이끄는 네 번째 것이고, 이것은 원하고, 좋아하고, 마음에 드는 이익과 행복으로 이끈다.

 

다시, 비구들이여, 성스러운 제자는 주지 않은 것을 가지는 행위를 버렸기 때문에 주지 않은 것을 가지는 행위로부터 멀리 떠난 자이다. ··· 음행에 대한 삿된 행위를 버렸기 때문에 음행에 대한 삿된 행위로부터 멀리 떠난 자이다. ···  거짓을 말하는 행위를 버렸기 때문에 거짓을 말하는 행위로부터 멀리 떠난 자이다. ···  술과 발효액 등 취하게 하는 것으로 인한 방일한 머묾을 버렸기 때문에 술과 발효액 등 취하게 하는 것으로 인한 방일한 머묾을 멀리 떠난 자이다. 비구들이여, 술과 발효액 등 취하게 하는 것으로 인한 방일한 머묾을 멀리 떠난 성스러운 제자는 한량없는 중생들에게 두려움 없음을 베풀고 증오 없음을 베풀고 악의 없음을 베푼다. 한량없는 중생들에게 두려움 없음을 베풀고 증오 없음을 베풀고 악의 없음을 베푼 뒤에 무량한 두려움 없음과 증오 없음과 악의 없음을 나누어 가진다. 이것이, 비구들이여, 다섯 번째 보시이다. 가장 높은 것이라고 알려지고, 오래되었다고 알려지고, 계보라고 알려지고, 고대로부터 전해오고, 오염되지 않은 것이어서 이전에도 오염되지 않았고, 오염되지 않은 그리고 오염되지 않을 위대한 보시인데, 현명한 사과 바라문들에 의해서 비난받지 않는 것이다. 이것이, 비구들이여, 공덕을 쌓고, 유익함을 쌓고, 행복을 가져오고, 신성한 결말을 가져오고, 과보가 행복이고, 천상으로 이끄는 여덟 번째 것이고, 이것은 원하고, 좋아하고, 마음에 드는 이익과 행복으로 이끈다."

 

duccaritavipākasuttaṃ (AN 8.40-잘못된 행위의 과보 경)
40. “비구들이여, 생명을 죽이는 행위는 실천하고 행하고 많이 지으면, 지옥에 태어나게 되고 축생의 모태에 태어나게 되고 아귀계에 태어나게 된다. 생명을 죽이는 자에게 빠르게 찾아오는 과보는 사람의 수명을 짧아지게 하는 것이다.

 

비구들이여, 주지 않은 것을 가지는 행위는 실천하고 행하고 많이 지으면, 지옥에 태어나게 되고 축생의 모태에 태어나게 되고 아귀계에 태어나게 된다. 주지 않은 것을 가지는 자에게 빠르게 찾아오는 과보는 사람의 재물을 잃게 하는 것이다.


비구들이여, 음행에 대한 삿된 행위는 실천하고 행하고 많이 지으면, 지옥에 태어나게 되고 축생의 모태에 태어나게 되고 아귀계에 태어나게 된다. 음행에 대해 삿된 행위를 하는 자에게 빠르게 찾아오는 과보는 사람에게 상대방의 원망을 가져 오는 것이다.


비구들이여, 거짓을 말하는 행위는 실천하고 행하고 많이 지으면, 지옥에 태어나게 되고 축생의 모태에 태어나게 되고 아귀계에 태어나게 된다. 거짓을 말하는 사람에게 빠르게 찾아오는 과보는 사람에게 사실이 아닌 것에 의한 비난을 듣게 하는 것이다.


비구들이여, 이간질 하는 말은 실천하고 행하고 많이 지으면, 지옥에 태어나게 되고 축생의 모태에 태어나게 되고 아귀계에 태어나게 된다. 이간질하는 말을 하는 사람에게 빠르게 찾아오는 과보는 사람에게 친구를 끊어지게 하는 것이다.


비구들이여, 거친 말은 실천하고 행하고 많이 지으면, 지옥에 태어나게 되고 축생의 모태에 태어나게 되고 아귀계에 태어나게 된다. 거친 말을 하는 사람에게 빠르게 찾아오는 과보는 사람에게 마음에 들지 않는 소리를 듣게 하는 것이다.


비구들이여, 꾸며대는 말은 실천하고 행하고 많이 지으면, 지옥에 태어나게 되고 축생의 모태에 태어나게 되고 아귀계에 태어나게 된다. 꾸며대는 말을 하는 사람에게 빠르게 찾아오는 과보는 사람의 말이 받아들여지지 않게 되는 것이다.


비구들이여, 방일하는 근본이 되는 술과 중독성 물질을 섭취하는 것은 실천하고 행하고 많이 지으면, 지옥에 태어나게 되고 축생의 모태에 태어나게 되고 아귀계에 태어나게 된다. 방일하는 근본이 되는 술과 중독성 물질을 섭취하는 사람에게 빠르게 찾아오는 과보는 사람을 혼미하게 하는 것이다.”

 


제4장 보시 품이 끝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