빠띠삼비다막가(Patisambhidamagga)

빤냐박가(Pannavaggo) - 4. 분리에 관한 논의(vivekakatha)

실론섬 2014. 9. 12. 13:22

4. 분리에 관한 논의(vivekakatha)

Paripunnanidanam

 

1. 비구들이여, 이를테면 많이 행해야 할 어떠한 행위를 할 때, 그러한 모든 이들이 반드시 땅을 의지하여, 땅 위에 서서, 그와 같이 그 많이 행해야 할 행위를 한다. 그러하듯이 비구들이여, 실로 그와 같이 비구는 계(戒)를 의지하여, 계에 서고난 후, 여덟 가지 거룩한 길을 닦으며, 여덟 가지 거룩한 길을 많이 행한다.

 

2. 비구들이여, [비구가 계를 의지하고, 계에 서고 난 후 여덟 가지 거룩한 길을 닦으며, 여덟 가지 거룩한 길을 많이 행한다]는 것은 어떻게 해서인가? 

비구들이여, 여기에서 비구는 바른 견해를 닦으며, 분리됨(離. 떠남)에 의지하고, 탐냄의 떠남에 의지하고, 소멸에 의지하여 내놓음에 이른다. 바른 사유를, 바른 말, 바른 행위, 바른 삶, 바른 정진, 바른 마음지킴, 바른 삼매를 닦으며 분리됨에 의지하고, 탐냄의 떠남에 의지하고, 소멸에 의지하여 내놓음에 이른다. 비구들이여, 비구는 실로 이와 같이 계를 의지하고, 계에 서고 난 후, 여덟 가지 거룩한 길을 닦으며 여덟 가지 거룩한 길을 많이 행한다.  

비구들이여, 이를테면 어떠한 종자의 무리와 존재하는 것의 무리가 성장.증장.성숙하는데, 반드시 땅에 서서 그러한 종자의 무리와 존재하는 것의 무리가 성장.증장.성숙한다.

그러하듯이 비구들이여, 비구는 실로 이와 같이 계를 의지하고, 계에 서고 난 후, 여덟 가지 거룩한 길을 닦으며, 여덟 가지 거룩한 길을 많이 행하여 법에 있어서의 성장.증장.성숙을 얻는다.  

 

3. 비구들이여,[비구가 계를 의지하고, 계에 서고 난 후, 여덟 가지 거룩한 길을 닦으며, 여덟 가지 거룩한 길을 많이 행하여 법에 있어서의 성장.증장.성숙을 얻는다]는 것은 어떻게 해서인가? 

비구들이여, 여기에서 비구는 바른 견해를 닦으며, 분리됨에 의지하고, 탐냄의 떠남에 의지하고, 소멸에 의지하여, 내놓음에 이른다. 바른 사유를, 바른말. 바른 행위. 바른 삶. 바른 정진.바른 마음지킴.바른 삼매를 닦으며, 분리됨에 의지하고, 탐냄의 떠남에 의지하고, 소멸에 의지하여, 내놓음에 이르른다. 바른 견해에 다섯 가지 분리와 다섯 가지 탐냄의 떠남과, 다섯 가지 소멸과, 다섯 가지 내놓음과, 12가지 의지함이 있다. 

 

4. 바른 견해에서 다섯 가지 분리란 무엇인가?     

제거를 통한 분리. 결정을 통한 분리. 단절을 통한 분리. 그침을 통한 분리. 벗어남을 통한 분리이다. 제거를 통한 분리한 첫 번째 선정을 닦을 때 다섯 장애로부터 분리되는 것이다. 결정을 통한 분리는 결택에 의한 삼매를 닦을 때 여러 악한 견해로부터 분리되는 것이다. 단절을 통한 분리는 출세간의 다해 없어짐에 이르는 길을 닦을 때의 것이다. 그침을 통한 분리는 성취(과)의 순간 속한 것이며, 벗어남을 통한 분리는 소멸.열반이다. 바른 견해에 이러한 다섯 가지 분리가 있다.

이들 다섯의 분리에 대한 바램에 의해 생겨난 것이 있고, 믿음에 의한 확신이 있어, 그 마음을 잘 굳힌다.

 

5. 바른 견해에서 다섯 가지 탐냄의 떠남이란 무엇인가? 

제거를 통한 탐냄의 떠남. 결정을 통한 탐냄의 떠남. 단절을 통한 탐냄의 떠남. 그침을 통한 탐냄의 떠남. 벗어남을 통한 탐냄의 떠남이다. 제거를 통한 탐냄의 떠남이란 첫 번째 선정을 닦을 때 다섯 장애로부터 탐냄을 떠나는 것이다. 결정을통한 탐냄의 떠남이란 결택에 의한 삼매를 닦을 때 여러 악한 견해로부터 탐냄을 떠나는 것이다. 단절을 통한 탐냄의 떠남은 출세간의 다해 없어짐에 이르는 길을 닦을 때의 것이다. 그침을 통한 탐냄의 떠남은 성취의 순간에 속한 것이며, 벗어남을 통한 탐냄의 떠남은 소멸.열반이다. 바른 견해에 이러한 다섯 가지 탐냄의 떠남이 있다.      

이들 다섯 탐냄의 떠남에 대한 바램에 의해 생겨난 것이 있고 믿음에 의한 확신이 있어, 그 마음을 잘 굳힌다.

 

6. 바른 견해에서 다섯 가지 소멸이란 무엇인가? 

제거를 통한 소멸. 결정을 통한 소멸. 단절을 통한 소멸. 그침을 통한 소멸. 벗어남을 통한 소멸이다. 제거를 통한 소멸은 첫 번째 선정을 닦을 때 다섯 장애를 소멸하는 것이다. 결정을 통한 소멸은 결택에 의한 삼매를 닦을 때 여러 악한 견해를 소멸하는 것이다. 단절을 통한 소멸은 출세간의 다해 없어짐에 이르는 길을 닦을 때의 것이다. 그침을 통한 소멸은 성취의 순간에 속한 것이며, 벗어남에 의한 소멸은 소멸.열반이다. 바른 견해에 이러한 다섯 가지 소멸이 있다.

이들 다섯 소멸에 대한 바램에 의해 생겨난 것이 있고 믿음에 의한 확신이 있어, 그 마음을 잘 굳힌다.

 

7. 바른 견해에서 다섯 가지 내놓음이란 무엇인가? 

제거를 통한 내놓음. 결정을 통한 내놓음. 단절을 통한 내놓음. 그침을 통한 내놓음. 벗어남을 통한 내놓음이다. 제거를 통한 내놓음은 첫 번째 선정을 닦을 때 다섯 장애를 내놓는다는 것이다. 결정을 통한 내놓음은 결택에 의한 삼매를 닦을 때 여러 악한 견해를 내놓는다는 것이다. 단절을 통한 내놓음은 출세간의 다해 없어짐에 이르는 길을 닦을 때의 것이다. 그침을 통한 내놓음은 성취의 순간에 속한 것이며, 벗어남에 의한 내놓음은 소멸.열반이다. 바른 견해에 이러한 다섯 가지 내놓음이 있다.

이들 다섯 내놓음에 대한 바람에 의해 생겨난 것이 있고 믿음에 의한 확신이 있어, 그 마음을 잘 굳힌다.

 

8. 바른 사유. 바른 말. 바른 행위. 바른 삶. 바른 정진. 바른 마음지킴. 바른 삼매에서 다섯 가지 분니이란 무엇인가? 제거를 통한 분리. 결정을 통한 분리. 단절을 통한 분리. 그침을 통한 분리. 벗어남을 통한 분리이다. 제거를 통한 분리는 첫 번째 선정을 닦을 때 다섯 장애로부터 분리되는 것이다. 결정을 통한 분리는 결택에 의한 삼매를 닦을 때 여러 악한 견해로부터 분리되는 것이다. 단절을 통한 분리는 출세간의 다해 없어짐으로 나아감을 닦을 때의 것이다. 그침을 통한 분리는 성취의 순간에 속한 것이며, 벗어남을 통한 분리는 소멸.열반이다. 바른 사유에 이러한 다섯 가지 분리가 있다. 

이들 다섯의 분리에 대한 바램에 의해 생겨난 것이 있고, 믿음에 의한 확신이 있어, 그 마음을 잘 굳힌다.

 

9. 바른 삼매에서 다섯 가지 탐냄의 떠남이란 무엇인가? 제거를 통한 탐냄의 떠남. 결정을 통한 탐냄의 떠남. 단절을 통한 탐냄의 떠남. 그침을 통한 탐냄의 떠남. 벗어남을 통한 탐냄의 떠남이다. 제거를 통한 탐냄의 떠남은 첫 번째 선정을 닦을 때 다섯 장애로부터 탐냄을 떠나는 것이다. 결정을 통한 탐냄의 떠남은 결택에 의한 삼매를 닦을 때 여러 악한 견해로부터 탐냄을 떠나는 것이다. 단절을 통한 탐냄의 떠남은 출세간의 다해 없어짐으로 나아감을 닦을 때의 것이다. 그침을 통한 탐냄의 떠남은 성취의 순간에 속한 것이며, 벗어남을 통한 탐냄의 떠남은 소멸.열반이다. 바른 삼매에 이러한 다섯 가지 탐냄의 떠남이 있다. 

이들 다섯 탐냄의 떠남에 대한 바램에 의해 생겨난 것이 있고 믿음에 의한 확신이 있어, 그 마음을 잘 굳힌다.

 

10. 바른 삼매에서 다섯 가지 탐냄의 소멸이란 무엇인가? 

제거를 통한 소멸. 결정을 통한 소멸. 단절을 통한 소멸. 그침을 통한 소멸. 벗어남을 통한 소멸이다. 제거를 통한 소멸은 첫 번재 선정을 닦을 때 다섯 장애가 소멸한다는 것이다. 결정을 통한 소멸은 결택에 의한 삼매를 닦을 때 여러 악한 견해가 소멸한다는 것이다. 단절을 통한 소멸은 출세간의 다해 없어짐으로 나아감을 닦을 때의 것이다. 그침을 통한 소멸은 성취의 순간에 속한 것이며, 벗어남을 통한 소멸은 소멸.열반이다. 바른 삼매에 이러한 다섯 가지 소멸이 있다.

이들 다섯 소멸에 대한 바램에 의해 생겨난 것이 있고 믿음에 의한 확신이 있어, 그 마음을 잘 굳힌다.  


11. 바른 삼매에서 다섯 가지 내놓음이란 무엇인가? 

제거를 통한 내놓음. 결정을 통한 내놓음. 단절을 통한 내놓음. 그침을 통한 내놓음. 벗어남을 통한 내놓음이다. 제거를 통한 내놓음은 첫 번째 선정을 닦을 때 다섯 장애를 내놓는다는 것이다. 결정을 통한 내놓음은 결택에 의한 삼매를 닦을 때 여러 악한 견해를 내놓는다는 것이다. 단절을 통한 내놓음은 출세간의 다해 없어짐으로 나아감을 닦을 때의 것이다. 그침을 통한 내놓음은 성취의 순간에 속한 것이며, 벗어남을 통한 내놓음은 소멸.열반이다. 바른 삼매에 이러한 다섯 가지 내놓음이 있다. 이들 다섯 내놓음에 대한 바램에 의해 생겨난 것이 있고 믿음에 의한 확신이 있어, 그 마음을 잘 굳힌다.
바른 삼매에 다섯 분리와 다섯 가지 탐냄의 떠남과 다섯 가지 소멸과 다섯 가지 내놓음과 12가지 의지함이 있다. 


12. 비구들이여, 이를테면 많이 행해야 할 어떠한 행위를 할 때, 그러한 모든 이들이 반드시 땅을 의지하여, 땅 위에 서서, 그와 같이 그 많이 행해야 할 행위를 한다. 

그러하듯이 비구들이여, 실로 그와 같이 비구는 계를 의지하여, 계에 서고 난 후, 일곱 깨달음의 요소를 닦으며, 일곱 깨달음의 요소를 많이 행한다. 

비구들이여, 이를테내면 어떠한 종자의 무리와 존재하는 것의 무리가 성장.증장.성숙하는데 반드시 땅을 의지하여 땅위에 서서 그러한 종자의 무리와 존재하는 것의 무리가 성장.증장.성숙한다. 그러하듯이 비구들이여, 비구는 실로 이와 같이 계를 의지하고, 계에 서고 난 후, 일곱 깨달음의 요소를 닦으며, 일곱 깨달음의 요소를 많이 행하여 법에 있어서의 성장.증장.성숙을 얻는다. 

비구들이여, 이를테면 많이 행해야 할 어떠한 행위를 할 때, 그러한 모든 이들이 반드시 땅을 의지하여, 땅 위에 서서, 그와 같이 그 많이 행해야 할 행위를 한다. 그러하듯이 비구들이여, 실로 그와 같이 비구는 계를 의지하여, 계에 서고 난 후,다섯 힘을 닦으며, 다섯 힘을 많이 행한다.

구들이여, 이를테내면 어떠한 종자의 무리와 존재하는 것의 무리가 성장.증장.성숙하는데 반드시 땅을 의지하여 땅위에 서서 그러한 종자의 무리와 존재하는 것의 무리가 성장.증장.성숙한다. 그러하듯이 비구들이여, 비구는 실로 이와 같이 계를 의지하고, 계에 서고 난 후, 다섯 힘을 닦으며, 다섯 힘을 많이 행하여 법에 있어서의 성장.증장.성숙을 얻는다.

비구들이여, 이를테면 많이 행해야 할 어떠한 행위를 할 때, 그러한 모든 이들이 반드시 땅을 의지하여, 땅 위에 서서, 그와 같이 그 많이 행해야 할 행위를 한다. 그러하듯이 비구들이여, 실로 그와 같이 비구는 계를 의지하여, 계에 서고 난 후, 다섯 근을 닦으면며 다섯 힘을 많이 행한다. 비구들이여, 이를테내면 어떠한 종자의 무리와 존재하는 것의 무리가 성장.증장.성숙하는데 반드시 땅을 의지하여 땅위에 서서 그러한 종자의 무리와 존재하는 것의 무리가 성장.증장.성숙한다. 그러하듯이 비구들이여, 비구는 실로 이와 같이 계를 의지하고, 계에 서고 난 후, 다섯 근을 닦으며, 다섯 근을 많이 행하여 법에 있어서의 성장.증장.성숙을 얻는다.


13. 비구들이여, [비구가 계에 의지하고, 계에 서고 난 후, 다섯 근을 닦으며, 다섯 근을 많이 행하여, 법에 있어서의 성장.증장.성숙을 얻는다]는 어떻게 해서인가? 

비구들이여, 여기에서 비구는 믿음의 근을 닦는다. 분리됨에 의지하고, 탐냄의 떠남에 의지하고, 소멸에 의지하여, 내놓음에 이른다. 정진의 근을 닦는다. 분리됨에 의지하고, 탐냄의 떠남에 의지하고, 소멸에 의지하여, 내놓음에 이른다. 마음 지킴의 근을 닦는다. 분리됨에 의지하고, 탐냄의 떠남에 의지하고, 소멸에 의지하여, 내놓음에 이른다. 삼매의 근을 닦는다. 분리됨에 의지하고, 탐냄의 떠남에 의지하고, 소멸에 의지하여, 내놓음에 이른다. 혜의 근을 닦는다. 분리됨에 의지하고, 탐냄의 떠남에 의지하고, 소멸에 의지하여, 내놓음에 이른다. 믿음의 근에 다섯 가지 분리와, 다섯 가지 탐냄의 떠남과, 다섯 가지 소멸과, 다섯 가지 내놓음과 12가지 의지함이 있다. 정진의 근에, 마음지킴의 근에, 삼매의 근에, 혜이 근에 다섯 가지 분리와, 다섯 가지 탐냄의 떠남과, 다섯 가지 소멸과, 다섯 가지 내놓음과 12가지 의지함이 있다.

 

14. 믿음의 근에서 다섯 가지 분리란 무엇인가? 

제거를 통한 분리. 결정을 통한 분리. 단절을 통한 분리. 그침을 통한 분리. 벗어남을 통한 분리이다. 제거를 통한 분리는 첫 번째 선정을 닦을 때 다섯 장애로부터 분리되는 것이다. 결정을 통한 분리는 결택에 의한 삼매를 닦을 때 여러 악한 견해로부터 분리되는 것이다. 단절을 통한 분리는 출세간의 다해 없어짐으로 나아감을 닦을 때의 것이다. 단절을 통한 분리는 성취의 순간에 속한 것이며, 벗어남을 통한 분리는 소멸.열반이다. 믿음의 근에 이러한 다섯 가지 분리가 있다. 이들 다섯 분리에 대한 바램에 의해 생겨난 것이 있고, 믿음에 의한 확신이 있어 그 마음을 잘 굳힌다. 믿음의 근에 다섯 가지 분리됨과, 다섯 가지 탐냄의 떠남과, 다섯 가지 소멸과, 다섯 가지 내놓음과 12가지 의지함이 있다.  

 

정진의 근에서 ··· 마음챙김의 근에서 ··· 삼매의 근에서 ··· 혜의 근에서 다섯 가지 분리란 무엇인가?

제거를 통한 분리. 결정을 통한 분리. 단절을 통한 분리. 그침을 통한 분리. 벗어남을 통한 분리이다. 제거를 통한 분리는 첫 번째 선정을 닦을 때 다섯 장애로부터 분리되는 것이다. 결정을 통한 분리는 결택에 의한 삼매를 닦을 때 여러 악한 견해로부터 분리되는 것이다. 단절을 통한 분리는 출세간의 다해 없어짐으로 나아감을 닦을 때의 것이다. 단절을 통한 분리는 성취의 순간에 속한 것이며, 벗어남을 통한 분리는 소멸.열반이다.  

 

정진의 근에 ··· 마음챙김의 근에 ··· 삼매의 근에 ··· 혜의 근에 이러한 다섯 가지 분리가 있다. 이들 다섯 분리에 대한 바램에 의해 생겨난 것이 있고, 믿음에 의한 확신이 있어 그 마음을 잘 굳힌다. 혜의 근에 다섯 가지 분리와, 다섯 가지 탐냄의 떠남과, 다섯 가지 소멸과, 다섯 가지 내놓음과 12가지 의지함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