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번째 품
30. 받아들임(攝受.섭수)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딸린 것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원만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하나로 집중됨(一境)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산란하지 않음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정근(精勤)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흩어지지 않음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물들지 않음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동요없음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하나됨을 확립한 힘에 의해 마음이 머무는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인식의 의지처(대상)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인식이 미치는 영역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끊음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포기(永捨. 영사)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벗어남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물러남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고요함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수승함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해탈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무루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건넘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드러나지 않음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바램없음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공성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한 맛(一味)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어긋나지 않음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짝을 이루는 것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윤회로부터의 나감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원인(因)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봄(見)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탁월함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주) 1. 받아들임(pariggaha)은 보통 섭수(攝受)로 한역되는데, 섭수란 교화하는 방법으로서 '중생의 사정을 잘 헤아려 받아주는 것'을 말한다.
2. '하나됨을 확립한 힘에 의해(ekattapatthanavasena)'라는 말에서 '하나됨의 확립(ekattapatthana)'이라는 말과 관련하여, PsA에는 다음과 같은 설명이 기술되어 있다. "하나됨의 확립이란 하나의 대상에 대해 움직이지 않는 상태를 지녀 확고하게 머무는 것으로, 나아가 믿음의 근의 연(緣)이 되는 것이다."
3. 포기(pariccaga)라는 말은 '포기하다, 단념하다'라는 의미를 지닌다. "포기의 의미로 해탈을 철저히 알아야 한다"라거나 "무릇 끊긴 제법이 있다는 것은 곧 포기된 제법이 있다는 것이다"등의 귀절에서 보듯이 중대한 실천론적 의의를 지닌 용어이다.
4. 탁월함(adhipateyya,abhipateyya. 增上증상)이란 'adhi(위)' 와 'pati(주인.지도자)'의 복합어에서 유래한 말로, '현저함, 탁월함'의 의미를 지닌다. 이 말은 "근에서 탁월함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indriyanam adhipateyyattho abhginneyyo)"등의 구절에서 볼 수 있듯이 '믿음의 근, 정진의 근, 알아차림의 근(satindriya. 念根), 삼매의 근, 혜의 근'등의 근(根.indriya)이라는 용어와 함께 사용되어 그것이 '수행의 기능' 혹은 '수행의 작용력'을 가리키는 말로 쓰인다.
31. 사마타(止)에서 산란하지 않음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위빠싸나(觀)에서 따라가며 보는 법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사마타와 위빠싸나에서 한 맛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짝을 이룸에서 어긋나지 않음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배움에서 받아 지님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인식의 의지처에서 인식이 미치는 영역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열등한 마음에서 정근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들뜬 마음에서 억제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짝을 이룬 청정에서 평정된 마음으로 보는 것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넘어섬의 얻음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위로 꿰뚫음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진리에 대한 명료한 앎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소멸에 확고히 서는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주) '평정된 마음으로 보는 것(ajjhupekkhana)'이란 말은 '장애없이 주시하는 것'이라는 의미이다.
32. 믿음의 근에서 확신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정진의 근에서 정근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알아차림의 근에서 확립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삼매의 근에서 산란하지 않음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혜의 근에서 봄(見)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주)1.확신(adhimokkha)이란 '로 마음이 향하다, 신뢰하다, 결심하다'의 의미를 지닌다. '강고한 결심'을 나타낼 때 사용되는 용어이다.
2.'확립(upatthana)' 이란 upavstha를 원형으로 하는 말로 '가까이에 머물다'는 어원적 의미를 가진다.그리고 여기에서 유래하여 '확립하다, 공고히 하다, 보살피다'등의 의미와 함께 '인식되는 대상의 측면에서 나타나다, 드러나다'등의 의미로 확대된다. 이와 같은 upatthana의 의미를 분명히 해주는 PsA의 설명을 보면 "우빳타나란 알아차림(sati)으로서, 그것의 대상에 밀착하여 선다는 것이며, 알아차림을 우빳타나라고 이름한다(upatthanam satiti tam arammanam upecca titthatiti sati upatthanam nama)"라는 구절이 있다.
33. 믿음의 힘에서 믿음없음에 대해 동요하지 않음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정진의 힘에서 게으름에 대해 동요하지 않음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알아차림의 힘에서 부주의에 대해 동요하지 않음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삼매의 힘에서 들뜸에 대해 동요하지 않음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혜의 힘에서 무명에 대해 동요하지 않음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34. 알아차림(마음챙김. 마음새김. 마음지킴)으로 이루어진 깨달음의 요소(염각지.念覺支)에서 확립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법에 대한 선별로 이루어진 깨달음의 요소(택법각지.擇法覺支)에서 고찰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정진으로 이루어진 깨달음의 요소(정진각지.精進覺支)에서 정근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기쁨으로 이루어진 깨달음의 요소(희각지.喜覺支)에서 두루함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편안함으로 이루어진 깨달음의 요소(경안각지.輕安覺支)에서 평안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삼매로 이루어진 깨달음의 요소(정각지.定覺支)에서 산란하지 않음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평정으로 이루어진 깨달음의 요소(사각지.捨覺支)에서 돌이켜 관찰함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35. 바른 견해에서 봄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바른 사유에서 마음쏟음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바른 말에서 받아들임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바른 행위에서 일어남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바른 삶에서 청정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바른 정진에서 정근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바른 마음새김(마음챙김.알아차림)에서 확립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바른 삼매에서 산란하지 않음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주) 마음쏟음(abhiniropana)은 특정한 대상에 대해 마음을 옮겨 심는것, 즉 마음 쏟음을 말한다.
36. 다섯 근에서 탁월함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다섯 힘에서 동요하지 않음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일곱 깨달음의 요소에서 윤회로부터 나감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여덟의 거룩한 길에서 원인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네 가지 마음챙김의 확립에서 확립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네 가지 바른 노력에서 노력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네 가지 신통의 요소에서 성취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네 거룩한 진리에서 여실함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네 가지 실천행에서 그침(止滅.지멸)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네 가지 성취(果)에서 겪음을 통한 앎(現證)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거친 사유에서 마음쏟음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미세한 사유에서 전념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기쁨에서 두루함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즐거움에서 결과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마음(心)에서 하나로 집중됨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마음기울임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분별(識)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알아차림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지각(想)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한곳에 고정됨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37. 철저한 앎에 의한 앎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완전한 앎에서 건넘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끊음에 이한 포기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닦음에서 한 맛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겪음을 통한 앎에서 접촉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다섯 온에서 온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열 여덟 계에서 계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열 둘의 터전에서 터전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유위법에서 유위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무위법에서 무위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38. 찟따(citta.마음)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찟따에서 간단없음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찟따에서 벗어남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찟따에서 물러남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찟따에서 원인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찟따에서 연(緣)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찟따에서 바투(事)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찟따에서 경지(境地)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찟따에서 인식의 의지처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찟따에서 인식이 미치는 영역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찟따에서 작용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찟따에서 다른 존재로 나아감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찟따에서 이끌어 냄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찟따에서 나감(離)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찟따에서 벗어남(出離)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39-1. 하나됨에서 마음기울임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하나됨에서 분별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하나됨에서 알아차림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하나됨에서 지각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하나됨에서 한곳에 고정됨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하나됨에서 밝음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하나됨에서 안정됨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하나됨에서 해탈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하나됨에서 '이것이 고요함이다'고 보는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하나됨에서 정통함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하나됨에서 철저히 실천함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하나됨에서 따라 이룸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하나됨에서 축적함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하나됨에서 노력의 다짐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39-2. 하나됨에서 받아들임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하나됨에서 딸린 것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하나됨에서 원만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하나됨에서 모음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하나됨에서 마음굳힘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하나됨에서 익힘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하나됨에서 닦음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하나됨에서 많이 행함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하나됨에서 잘이룸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하나됨에서 잘 해탈함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하나됨에서 깨어있음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하나됨에서 따라가며 깨어있음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하나됨에서 각각에 대해 깨어있음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하나됨에서 완전히 깨어있음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하나됨에서 깨달아 앎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하나됨에서 따라가며 깨달아 앎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하나됨에서 각각에 대해 깨달아 앎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하나됨에서 완전히 깨달아 앎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하나됨에서 깨달음의 요소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하나됨에서 따라가며 깨닫는 요소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하나됨에서 각각에 대해 깨닫는 요소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하나됨에서 완전히 깨닫는 요소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하나됨에서 비춤(明)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하나됨에서 밝게 비춤(開明)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하나됨에서 따라가며 비춤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하나됨에서 각각에대해 비춤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하나됨에서 완전한 비춤(等明)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40. 드러냄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비춤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번뇌에서 뜨거움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흠을 없앰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흠으로부터의 떠남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흠이 없음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평등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모임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분리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분리된 행위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탐냄의 떠남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탐냄을 떠난 행위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소멸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소멸한 행위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내놓음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내놓는 행위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해탈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해탈한 행위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41. 바램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바램에서 근본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바램에서 근거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바램에서 노력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바램에서 성취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바램에서 확신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바램에서 정근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바램에서 확립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바램에서 산란하지 않음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바램에서 봄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42. 정진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정진에서 근본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정진에서 근거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정진에서 노력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정진에서 성취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정진에서 확신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정진에서 정근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정진에서 확립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정진에서 산란하지 않음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정진에서 봄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43. 찟따(心)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찟따에서 근본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찟따에서 근거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찟따에서 노력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찟따에서 성취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찟따에서 확신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찟따에서 정근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찟따에서 확립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찟따에서 산란하지 않음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찟따에서 봄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44. 사유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사유에서 근본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사유에서 근거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사유에서 노력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사유에서 성취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사유에서 확신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사유에서 정근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사유에서 확립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사유에서 산란하지 않음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사유에서 봄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45. 괴로움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괴로움에서 상해(害)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괴로움에서 유위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괴로움에서 뜨거움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괴로움에서 달라짐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일어남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일어남에서 지속하는 힘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일어남에서 인연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일어남에서 결합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일어남에서 장애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소멸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소멸에서 벗어남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소멸에서 분리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소멸에서 무위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소멸에서 죽지 않음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길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길에서 나감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길에서 원인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길에서 봄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길에서 탁월함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46. 여실함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무아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진리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꿰뚫음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철저한 앎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완전한 앎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법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계(界)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알려진 것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겪음을 통한 앎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접촉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명료한 앎의 의미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주) 명료한 앎(abhisamaya)이란 현재의 사물을 가까이에서 보는 것 혹은 명확하게 이해하는 것등으로 이해할 수 있다.
47. 감각적 쾌락에 대한 바램으로부터의 떠남을 철저히 알아야 한다. 성내지 않음을 철저히 알아야 한다. 빛에 대한 지각(光明想)을 철저히 알아야 한다. 산란하지 않음을 철저히 알아야 한다. 법에 대한 결정을 철저히 알아야 한다. 지혜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환희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첫 번째 선정을 철저히 알아야 한다. 두 번째 선정을 철저히 알아야 한다. 세 번째 선정을 철저히 알아야 한다. 네 번째 선정을 철저히 알아야 한다. 공간에 걸림이 없는 선정을 철저히 알아야 한다. 의식에 걸림이 없는 선정을 철저히 알아야 한다. 아무것도 없는 선정을 철저히 알아야 한다. 지각이 있는 것도 없는 것도 아닌 선정을 철저히 알아야 한다.
48. 무상을 따라가며 보는 법을 철저히 알아야 한다(무상을 봄을 철저히 알아야 한다). 괴로움을 따라가며 보는 법을 철저히 알아야 한다(괴로움을 봄을 철저히 알아야 한다). 무아를 봄을 철저히 알아야 한다. 싫어하여 떠남을 봄을 철저히 알아야 한다. 탐냄을 떠남을 봄을 철저히 알아야 한다. 소멸을 봄을 철저히 알아야 한다. 버림을 봄을 철저히 알아야 한다. 다해 없어짐을 봄을 철저히 알아야 한다. 사라짐을 봄을 철저히 알아야 한다. 달라짐을 봄을 철저히 알아야 한다. 드러나지 않음을 봄을 철저히 알아야 한다. 바램없음을 봄을 철저히 알아야 한다. 공성을 봄을 철저히 알아야 한다. 탁월한 혜로써 법을 보는 법을 철저히 알아야 한다. 있는 그대로 알아보는 법을 철저히 알아야 한다. 잘못됨에 대해 봄을 철저히 알아야 한다. 돌이켜 관찰하여 따라가며 보는 법을 철저히 알아야 한다. 물러나 따라가며보는 법을 철저히 알아야 한다.
49. 흐름에 나아가는 경지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흐름에 들어선 선정의 경지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한번 돌아옴에 나아가는 경지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한번 돌아옴에 들어선 선정의 경지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돌아오지 않음에 나아가는 경지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돌아오지 않음에 들어선 선정의 경지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아라한에 나아가는 경지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아라하에 들어선 선정의 경지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50. 확신의 의미로 믿음의 근을 철저히 알아야 한다. 정진의 의미로 정진의 근을 철저히 알아야 한다. 확립의 의미로 마음챙김의 근을 철저히 알아야 한다. 산란하지 않음의 의미로 삼매의 근을 철저히 알아야 한다. 봄의 의미로 혜의 근을 철저히 알아야 한다. 믿음없음에 대해 동요하지 않음의 의미로 믿음의 힘을 철저히 알아야 한다. 게으름에 대해 동요하지 않음의 의미로 정진의 힘을 철저히 알아야 한다. 부주의에 대해 동요하지 않음의 의미로 마음챙김의 힘을 철저히 알아야 한다. 들뜸에 대해 동요하지 않음의 의미로 삼매의 힘을 철저히 알아야 한다. 무명에 대해 동요하지 않음의 으미로 혜의 힘을 철저히 알아야 한다.
51. 확립의 의미로 마음챙김으로 이루어진 깨달음의 요소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고찰의 의미로 법에 대한 선별로 이루어진 깨달음의 요소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정근의 의미로 정진으로 이루어진 깨달음의 요소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두루함의 의미로 기쁨으로 이루어진 깨달음의 요소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평안의 의미로 편안함으로 이루어진 깨달음의 요소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산란하지 않음의 의미로 삼매로 이루어진 깨달음의 요소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돌이켜 관찰함의 의미로 평정으로 이루어진 깨달음의 요소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52. 봄의 의미로 바른 견해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마음쏟음의 의미로 바른 사유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받아들임의 의미로 바른 말을 철저히 알아야 한다. 일어남의 의미로 바른 행위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청정의 의미로 바른 삶을 철저히 알아야 한다. 정근의 의미로 바른 정진을 철저히 알아야 한다. 확립의 의미로 바른 마음챙김을 철저히 알아야 한다. 산란하지 않음의 의미로 바른 삼매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53. 탁월함의 의미로 다섯 근을 철저히 알아야 한다. 동요하지 않음의 의미로 다섯 힘을 철저히 알아야 한다. 윤회로부터의 나감의 의미로 일곱 깨달음의 요소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원인의 의미로 여덟의 거룩한 길을 철저히 알아야 한다. 확립의 의미로 네 가지 마음챙김의 확립을 철저히 알아야 한다. 노력의 의미로 네 가지 바른 노력을 철저히 알아야 한다. 성취의 의미로 네 가지 신통의 요소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여실함의 의미로 네 가지 러룩한 진리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산란하지 않음의 의미로 사마타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따라가며 보는 법의 의미로 위빠싸나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한 맛의 의미로 사마타와 위빠싸나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어긋나지 않음의 의미로 짝을 이루는 것을 철저히 알아야 한다.
54. 지킴의 의미로 계의 청정을 철저히 알아야 한다. 산란하지 않음의 의미로 마음의 청정을 철저히 알아야 한다. 봄의 의미로 견해의 청정을 철저히 알아야 한다. 벗어남의 의미로 해탈을 철저히 알아야 한다. 꿰뚫음의 의미로 밝음을 철저히 알아야 한다. 포기의 의미로 해탈을 철저히 알아야 한다. 단절의 의미로 다해 없어짐에 관한 지혜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그침의 의미로 일어남을 여읜 지혜를 철저히 알아야 한다. 바램을 근본의 의미로 철저히 알아야 한다. 마음냄을 일어남의 의미로 철저히 알아야 한다. 닿음을 모음의 의미로 철저히 알아야 한다. 느낌을 결합의 의미로 철저히 알아야 한다. 삼매를 직접하는 것의 의미로 철저히 알아야 한다. 마음챙김을 탁월함의 의미로 철저히 알아야 한다. 혜를 그것의 위의 의미로 철저히 알아야 한다. 해탈을 견고의 의미로 철저히 알아야 한다. 죽지않음에 도달한 열반을 끝의 의미로 철저히 알아야 한다.
55. 무릇 철저히 안 제법이 있다는 것은 곧 그와 같이 알려진 제법이 있다는 것이다. 그와 같이 알고 있다는 의미에서 지혜이며, 알아차린다는 의미에서 혜이다. 그러므로 말한다. [이들 제법을 철저히 알아야 한다고 새겨들은 바, 그것에 관해 알아차리는 혜로서 들음을 통해 이루어진 지혜가 있다]고.
두 번째 품이 끝났다.
'빠띠삼비다막가(Patisambhidamagga)'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하박가(mahabhagga) - 네 번째 품 (0) | 2014.09.09 |
---|---|
마하박가(mahavagga) - 세 번째 품 (0) | 2014.09.09 |
마하박가(mahavagga) - 지혜에 관한 논의 - 제1장 들음을 통해 이루어진 지혜 (0) | 2014.09.09 |
논모(matika) - 73가지의 지혜 (0) | 2014.09.09 |
빠디삼비다막가(Patisambhidamagga) 해제 (1) | 2014.09.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