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6장 일어남과 사라짐을 따라가며 보는 지혜
1. [현재의 제법이 달라짐을 따라가며 보는 데서의 혜로서 일어남과 사라짐을 따라가며 보는 지혜가 있다]는 것은 어떻게 해서인가?
현재 생겨난 물질적 요소(色), 그것의 생겨나는 모습(相)은 일어남(生)이며, 달라지는 모습은 사라짐(滅)으로서 따라가며 보는 지혜에 속한다. 현재 생겨난 감수작용(受). 생겨난 지각작용(想). 생겨난 형성작용(行). 생겨난 식별작용(識). 생겨난 눈(眼). 생겨난 귀(耳) ... 생겨난 있음(有), 그것의 생겨나는 모습(相)은 일어남(生)이며, 달라지는 모습은 사라짐(滅)으로서 따라가며 보는 지혜에 속한다.
2. 다섯 가지 온(蘊)의 일어남을 볼 때 몇 가지의 모습을 볼 수 있는가?
사라짐을 볼 때 몇 가지의 모습을 볼 수 있는가?
일어남과 사라짐을 볼 때 몇 가지의 모습을 볼 수 있는가?
다섯 온의 일어남을 볼 때 25가지의 모습을 본다. 사라짐을 볼 때 25가지의 모습을 본다. 일어남과 사라짐을 볼 때 50가지 모습을 본다.
3. 물질적 요소에 의한 온(色蘊)의 일어남(生)을 볼 때 몇 가지의 모습을 볼 수 있는가?
사라짐을 볼 때 몇 가지의 모습을 볼 수 있는가?
일어남과 사라짐을 볼 때 몇 가지의 모습을 볼 수 있는가?
감수작용에 의한 온의 ··· 지각작용에 의한 온의 ··· 형성작용에 의한 온의 ··· 식별작용에 의한 온의 일어남을 볼 때 몇 가지의 모습을 볼 수 있는가? 사라짐을 볼 때 몇 가지의 모습을 볼 수 있는가?
일어남과 사라짐을 볼 때 몇가지의 모습을 볼 수 있는가?
물질적 요소에 의한 온의 일어남을 볼 때 다섯 가지 모습을 본다. 사라짐을 볼 때 다섯 가지 모습을 본다. 일어남과 사라짐을 볼 때 10가지 모습을 본다. 감수작용에 의한 온의 ··· 지각작용에 의한 온의 ··· 형성작용에 의한 온의 ··· 식별작용에 의한 온의 일어남을 볼 때 다섯 가지 모습을 본다. 사라짐을 볼 때 다섯 가지 모습을 본다. 일어남과 사라짐을 볼 때 10가지 모습을 본다.
4. 물질적 요소에 의한 온(色蘊)의 일어남을 볼 때 어떠한 다섯 가지 모습을 볼 수 있는가?
'무명이 모여 일어남(集)으로서 물질적 요소(色)가 모여 일어난다'고 하는 연(緣)에 의한 모여 일어남(集)의 의미로 물질적 요소에 의한 온의 일어남(生)을 본다. '갈애가 모여 일어남으로서 물질적 요소가 모여 일어난다'고 하는 연에 의한 모여 일어남의 의미로 물질적 요소에 의한 온의 일어남을 본다. '업이 모여 일어남으로서 물질적 요소가 모여 일어난다'고 하는 연에 의한 모여 일어남의 의미로 물질적 요소에 의한 온의 일어남을 본다. '자양분(食)이 모여 일어남으로서 물질적 요소가 모여 일어난다'고 하는 연에 의한 모여 일어남의 의미로 물질적 요소에 의한 온의 일어남을 본다. 또한 생겨나는 모습을 볼 때, 물질적 요소에 의한 온의 일어남을 본다. 물질적 요소에 의한 온의 일어남을 볼 때 이와 같은 다섯 가지 모습을 본다.
5. 사라짐(滅)을 볼때 어떠한 다섯 가지 모습(相)을 볼 수 있는가?
'무명이 사라짐으로서 물질적 요소(色)이 사라진다'고 하는 연(緣)에 의한 사라짐의 의미로 물질적 요소에 의한 온의 사라짐을 본다. '갈애가 사라짐으로서 물질적 요소가 사라진다'고 하는 연에 의한 사라짐의 의미로 물질적 요소에 의한 온의 사라짐을 본다. '업이 사라짐으로서 물질적 요소가 사라진다'고 하는 연에 의한 사라짐의 의미로 물질적 요소에 의한 온의 사라짐을 본다. '자양분이 사라짐으로서 물질적 요소가 사라진다'고 하는 연에 의한 사라짐의 의미로 물질적 요소에 의한 온의 사라짐을 본다. 또한 달라지는 모습을 볼 때, 물질적 요소에 의한 온의 사라짐을 본다. 물질적 요소에 의한 온의 사라짐을 볼 때 이와 같은 다섯 모습을 본다. 일어남과 사라짐을 볼 때 이와 같은 10가지 모습을 본다.
6. 감수작용에 의한 온(受蘊)의 일어남을 볼 때 어떠한 다섯 가지 모습을 볼 수 있는가?
'무명이 모여 일어남(集)으로서 느낌(受)이 모여 일어난다'고 하는 연(緣)에 의한 모여 일어남(集)의 의미로 감수작용에 의한 온의 일어남(生)을 본다. '갈애가 모여 일어남으로서 느낌이 모여 일어난다'고 하는 연에 의한 모여 일어남의 의미로 감수작용에 의한 온의 일어남을 본다. '업이 모여 일어남으로서 느낌이 모여 일어난다'고 하는 연에 의한 모여 일어남의 의미로 감수작용에 온의 일어남을 본다. '닿음(觸)이 모여 일어남으로서 느낌이 모여 일어난다'고 하는 연에 의한 모여 일어남의 의미로 감수작용에 온의 일어남을 본다. 또한 생겨나는 모습을 볼 때, 감수작용에 의한 온의 일어남을 본다. 감수작용에 의한 온의 일어남을 볼 때 이와 같은 다섯 가지 모습을 본다.
7. 사라짐을 볼 때 어떠한 다섯 가지 모습을 볼 수 있는가?
'무명이 사라짐으로서 느낌이 사라진다'고 하는 연(緣)에 의한 사라짐의 의미로 감수작용에 의한 온의 사라짐을 본다. '갈애가 사라짐으로서 느낌이 사라진다'고 하는 연에 의한 사라짐의 의미로 감수작용에 의한 온의 사라짐을 본다. '업이 사라짐으로서 느낌이 사라진다'고 하는 연에 의한 사라짐의 의미로 감수작용에 의한 온의 사라짐을 본다. '닿음이 사라짐으로서 느낌이 사라진다'고 하는 연에 의한 사라짐의 의미로 감수작용에 의한 온의 사라짐을 본다. 또한 달라지는 모습을 볼 때, 감수작용에의 의한 온의 사라짐을 본다. 감수작용에 의한 온의 사라짐을 볼 때 이와 같은 다섯 모습을 본다. 일어남과 사라짐을 볼 때 이와 같은 10가지 모습을 본다.
8. 지각작용에 의한 온(想蘊)의 ··· 형성작용에 의한 온의 ··· 식별작용에 의한 온의 일어남을 볼 때 어떠한 다섯 가지 모습을 볼 수 있는가?
'무명이 모여 일어남(集)으로서 의식(식)이 모여 일어난다'고 하는 연(緣)에 의한 모여 일어남(集)의 의미로 식별작용에 의한 온의 일어남(生)을 본다. '갈애가 모여 일어남으로서 의식이 모여 일어난다'고 하는 연에 의한 모여 일어남의 의미로 식별작용에 의한 온의 일어남을 본다. '업이 모여 일어남으로서 의식이 모여 일어난다'고 하는 연에 의한 모여 일어남의 의미로 식별작용에 온의 일어남을 본다. '정신적.물질적 요인이 모여 일어남으로써 의식이 모여 일어난다'고 하는 연에 의한 모여 일어남의 의미로 식별작용에 의한 온의 일어남을 본다. 또한 생겨나는 모습을 볼 때, 식별작용에 의한 온의 일어남을 본다. 식별작용에 의한 온의 일어남을 볼 때 이와 같은 다섯 가지 모습을 본다.
9. 사라짐을 볼 때 어떠한 다섯 가지 모습을 볼 수 있는가?
'무명이 사라짐으로서 의식이 사라진다'고 하는 연(緣)에 의한 사라짐의 의미로 식별작용에 의한 온의 사라짐을 본다. '갈애가 사라짐으로서 의식이 사라진다'고 하는 연에 의한 사라짐의 의미로 식별작용에 의한 온의 사라짐을 본다. '업이 사라짐으로서 의식이 사라진다'고 하는 연에 의한 사라짐의 의미로 식별작용에 의한 온의 사라짐을 본다. '정신적.물질적 요인이 사라짐으로서 의식이 사라진다'고 하는 연에 의한 사라짐의 의미로 식별작용에 의한 온의 사라짐을 본다. 또한 달라지는 모습을 볼 때, 식별작용에의 의한 온의 사라짐을 본다. 식별작용에 의한 온의 사라짐을 볼 때 이와 같은 다섯 모습을 본다. 일어남과 사라짐을 볼 때 이와 같은 10가지 모습을 본다.
다섯 온의 일어남을 볼 때 이와 같은 25가지 모습을 본다. 사라짐을 볼 때 이와 같은 25가지 모습을 본다. 일어남과 사라짐을 볼 때 이와 같은 50가지 모습을 본다. 그와 같이 알고 있다는 의미에서 지혜(智)이며, 알아차린다는 의미에서 혜(慧)이다. 그러므로 말한다. [현재의 제법이 달라짐을 따라가며 보는 데서의 혜로서 일어남과 사라짐을 따라가며 보는 지혜가 있다]고.
물질적 요소에 의한 온(色蘊)은 자양분이 모여 일어난 것(集)이고, 감수작용(수), 지각작용(상), 형성작용(행)에 의한 세 가지 온의 닿음(촉)이 모여 일어난 것이고, 식별작용에 의한 온은 정신(명)과 물질(색)이 모여 일어난 것이다.
주) 본 구절과 관련하여 MN.vol3.p17에 "비구여, 실로 물질적 요소의 온을 세우는 것은 네 가지 요소(사대)의 원인과 네 가지 요소의 연이며, 감수작용에 의한 온을 세우는 것은 닿음의 원인과 닿음의 연이며, 지각작용에 의한 온을 세우는 것은 닿음의 원인과 닿음의 연이며, 형성작용에 의한 온을 세우는 것은 닿음의 원인과 닿음의 연이다. 비구여, 실로 식별작용에 의한 온은 정신과 물질의 원인과 정신과 물질의 연이 세운다"라는 구절이 있다.
'빠띠삼비다막가(Patisambhidamagga)'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하박가(mahabhagga) - 제8장 잘못됨에 관련한 지혜 (0) | 2014.09.09 |
---|---|
마하박가(mahabhagga) - 제7장 위빠싸나의 지혜 (0) | 2014.09.09 |
마하박가(mahabhagga) - 제5장. 분명하게 이해하는 지혜 (0) | 2014.09.09 |
마하박가(mahabhagga) - 제4장 법에 머무는 지혜 (0) | 2014.09.09 |
마하박가(mahabhagga) - 제3장 정(定)을 닦음으로써 이루어진 지혜 (0) | 2014.09.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