빠띠삼비다막가(Patisambhidamagga)

마하박가(mahabhagga) - 제18장 경지에 관련한 지혜

실론섬 2014. 9. 9. 19:25

경지에 관련한 지혜

 

1. [네 법을 결정하는 데서의 혜로서 여러 가지 경지에 관련한 지혜가 있다]는 것은 어떻게 해서인가?

경지에 넷이 있다. 감각적 쾌락의 영역에 속하는 경지, 물질적 현상의 영역에 속하는 경지, 물질적 현상을 지지지 않은 영역에 속한 경지, 출세간의 경지이다.

 

2. 감각적 쾌락의 영역에 속한 경지란 무엇인가?

아래로는 아비찌니라야(avicinirayam.무간지옥)를 경계로 하며, 위로는 빠라님미따바사밧띠데바(paranimmitavasavatti deva.타화자재천)를 끝으로 허요, 그 중간에 속한 영역과 거기에 포함된 것으로 구성요소(蘊.온), 계(界), 터전(處), 물질적 요소(色), 감수작용(受), 지각작용(想), 형성작용(行), 식별작용(識)이 있다. 이것이 감각적 쾌락의 영역에 속한 경지이다. 

 

3. 물질적 영역에 속한 경지란 무엇인가?

아래로부터는 브르흐마로까(brahmalokam.범천)를 경계로 하며, 위로는 아까닛타데바(akanitthe deva.色究竟天.색구경천)을 끝으로 하여 그 중간에 거기에 속한 영역과 그것에 포함된 것으로 정(定)에 들어간 자, 다시 태어난 자, 현재의 법에 즐거이 머무는 자의 마음(心.citta)과 마음작용에 관련한 법(心所法)이 있다. 이것이 물질적 현상의 영역에 속한 경지이다.

 

4. 물질적 현상을 지니지 않은 영역에 속한 경지란 무엇인가?

아래로부터는 공간에 걸림이 없는 하늘(akasanancayatanupage deva.공무변처천.空無邊處天)을 경계로 하며, 위로는 지각이 있는 것도 없는 것도 아닌 하늘(nevasannanasannayatanupage deva.비상비비상천.非想非非想天)을 끝으로 하여 그 중간에 거기에 속한 영역과 거기에 포함된 것으로 정에 들어간 자, 다시 태어난 자, 현재의 법에 즐거이 머무는 자의 마음과 마음 작용에 관련한 법이 있다. 이것이 물질적 현상을 지니지 않은 영역에 속한 경지이다. 

 

5. 출세간의 경지란 무엇인가?

출세간이란 나아감(magga.道)과 나아감에 의한 성취(maggaphalani.道果) 그리고 무위의 계(asankhata.無爲界)이다. 이것이 출세간의 경지이다. 이들이 네 가지 경지이다.

 

6. 다시, 경지에 넷이 있다. 

네 가지 마음챙김의 확립(사념처)

네 가지 바른 노력(사정근)

네 가지 신통의 요소(사신족)

네 가지 선정(사선정)

네 가지 무량함(사무량)

네 가지 물질적 현상을 지니지 않은 영역의 선정(사무색정)

네 가지 분석적 통찰(사무애해.四無碍解)

네 가지 길(四行)

네 가지 의지처

네 가지 종성

네 가지 받드는 일

네 가지 바퀴

네 가지 법의 말씀

 

이들이 네 가지 경지이다. 그와 같이 알고 있다는 의미에서 지혜(智)이며, 알아차린다는 의미에서 혜(慧)이다. 그러므로 말한다. [네 법을 결정하는 데서의 혜로서 여러 가지 경지에 관련한 지혜가 있다]고.

 

주)
1. 네 가지 무량함(catasso appamannayo.사무량심)이란 '자비(metta)', '가엾이 여김(karuna)', '기뻐함(mudita)', '평정(upekkha)' 을 말한다.
2. 네 가지 물질적 현상을 지니지 않은 선정(四無色定.catasso arupavacarasamapattiyo)
① 공간에 걸림이 없는 선정(akasanancayatanasamapatti.공무변처정.空無邊處定)
② 의식에 걸림이 없는 선정(vinnanancayatanasamapatti.식무변처정.識無邊處定)
③ 아무것도 없는 선정(akincannayatanasamapatti.무소유처정.無所有處定)
④ 지각이 있는 것도 없는 것도 아닌 선정(nevasannanasannayatanasamapatti.비상비비상처정.非想非非想處定)
3. 네 가지 길
① 고통스럽고 느린 앎의 길(dukkha patipada dandhabhinna)
② 고통스럽되 빠른 앎의 길(dukkha patipada khippabhinna)
③ 즐겁되 느린 앎의 길(sukha patipada dandhabhinna)
④ 즐겁고 빠른 앎의 길(sukha patipada khippabhinna)
4. 네 가지 의지처(cattari arammanani) - 선관(禪觀)의 대상을 그 범위의 크고 작음에 따라 넷으로 분류
① 작은 것 안의 작은 의지처(parittaparittarammana)
② 작은 것 안의 무량한 의지처(parittappamanarammana)
③ 무량한 것 안의 작은 의지처(appamannaparittarammana)
④ 무량한 것 안의 무량한 의지처(appamanappamanarammana)
5. 네 가지 종성(cattari airyavamsani.四種性) 이란 붓다(buddha.모든 부처), 홀로 깨달은 이(paccekabuddha독각), 여래(tathagata), 성문(savaka)의 네 거룩한 분들을 말하기도 하고, '의복에 만족할 줄 아는것''걸식에 만족할 줄 아는 것''걸식에 만족할 줄 아는 것''눕거나 앉는 도구에 만족할 줄 아는 것'등을 가리키는 말이기도 하다. 
6. 네 가지 받는 일(cattari sangahavatthuni)이란 '보시(dana)', '다정한 말(peyyavajja)', '이로움을 주는 행위(atthacariya)', '함께 돕는 것(samanattata)'을 말한다. PsA 299. 
7. 네 가지 바퀴는 PsA에서는 '네 가지 바퀴(cattari cakkani)대신에 '나무로 이루어진 바퀴(darucakka)', ' 보배로 이루어진 바퀴(ratanacakka)', '법으로 이루어진 바퀴(dhammacakka)', '옳은 행위로 이루어진 바퀴(iriyapathacakka)', '성취함으로써 이루어진 바퀴(sampatticakka)'등으로 다섯 바퀴를 열거하고 있다. 
8. 네 가지 법의 말씀(cattari dhammapadani)란 '탐내지 않음에 대한 법의 말씀(anabhijjha dhammapada)', '성내지 않음에 대한 법의 말씀(abyapado dhammapada)', '바른 마음챙김에 대한 법의 말씀(sannasati dhammapada)', '바른 삼매에 대한 법의 말씀(sannasanadhi dhammapada)'등을 가리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