빠띠삼비다막가(Patisambhidamagga)

마하박가(mahavagga) - 제10장 종성을 지닌 이에 관련한 지혜

실론섬 2014. 9. 9. 17:30

제10장 종성을 지닌 이의 지혜

 

1. 「밖으로부터의 벗어남(출리)과 물러남(퇴전)에서의 혜로서 종성을 지닌 이의 지혜가 있다」는 것은 어떻게 해서인가?

'일어남(생)을 극복한다' 그러므로 종성을 지닌 이이다. '이어짐(유전)을 극복한다' 그르므로 종성을 지닌 이이다. '드러난 모습을 극복한다' 그러므로 종성을 지닌 이이다. '지속하는 힘을 극복한다' 그르므로 종성을 지닌 이이다. '생명을 맺음을 극복한다' 그러므로 종성을 지닌 이이다. '다른 존재로 나아감을 극복한다' 그러므로 종성을 지닌 이이다. '생겨남(생성)을 극복한다' 그러므로 종성을 지닌 이이다. '자라남(생기)을 극복한다' 그러므로 종성을 지닌 이이다. '태어남을 극복한다' 그러므로 종성을 지닌 이이다.

주) '종성을 지닌 이(gotrabhu)'란 '보통사람(puthujjana)'에 상대되는 의미의 '거룩한 이'를 가리킨다. PsA(p.275)에 "극복한다면 곧 종성을 지닌 이라는 것이다. 보통 사람이 지니는 품성을 극복한 까닭에 종성을 지닌 이라 말한다. 뛰어든다면(거룩한 상태들을 즐긴다)종성을 지닌 이라는 것이다. 거룩한 이들이 지닌 품성을 계발한 까닭에 종성을 지닌 이라고 말한다"라는 구절이 있다. 

 

1-2. '늙음을 극복한다' 그러므로 종성을 지닌 이이다. '병듦을 극복한다' 그러므로 종성을 지닌 이이다. '죽음을 극복한다' 그러므로 종성을 지닌 이이다. '슬픔을 극복한다' 그러므로 종성을 지닌 이이다. '비탄을 극복한다' 그러므로 종성을 지닌 이이다. '번민을 극복한다' 그러므로 종성을 지닌 이이다. '밖으로 드러난 모습을 지닌 형성력을 극복한다' 그러므로 종성을 지닌 이이다. '일어나지 않음으로 뛰어든다' 그러므로 종성을 지닌 이이다. '이어지지 않음으로 뛰어든다' 그러므로 종성을 지닌 이이다. ... 소멸.열반으로 뛰어든다' 그러므로 종성을 지닌 이이다. '일어남을 극복하고 일어나지 않음으로 뛰어든다' 그러므로 종성을 지닌 이이다. '이어짐을 극복하고 이어지지 않음으로 뛰어든다' 그러므로 종성을 지닌 이이다. '드러난 모습을 극복하고 드러나지 않음으로 뛰어든다' 그러므로 종성을 지닌 이이다. ... '밖으로 드러난 모습을 지닌 형성력을 극복하고 소멸.열반으로 뛰어든다' 그러므로 종성을 지닌 이이다.

 

2-1. '일어남으로부터 벗어(출리)난다' 그러므로 종성을 지닌 이이다. '이어짐으로부터 벗어난다' 그러므로 종성을 지닌 이이다. '드러난 모습으로부터 벗어난다' 그러므로 종성을 지닌 이이다. '지속하는 힘으로부터 벗어난다' 그러므로 종성을 지닌 이이다. '생명을 맺음으로부터 벗어난다' 그러므로 종성을 지닌 이이다. '다른 존재로 나아감으로부터 벗어난다' 그러므로 종성을 지닌 이이다. '생겨남으로부터 벗어난다' 그러므로 종성을 지닌 이이다. '자라남으로부터 벗어난다' 그러므로 종성을 지닌 이이다. '태어남으로부터 벗어난다' 그러므로 종성을 지닌 이이다. '늙음으로부터 벗어난다' 그러므로 종성을 지닌 이이다. '병듦으로부터 벗어난다' 그러므로 종성을 지닌 이이다. '죽음으로부터 벗어난다' 그러므로 종성을 지닌 이이다. '슬픔으로부터 벗어난다' 그러므로 종성을 지닌 이이다. '비탄으로부터 벗어난다' 그러므로 종성을 지닌 이이다. '번민으로부터 벗어난다' 그러므로 종성을 지닌 이이다. '밖으로 드러난 모습을 지닌 형성력으로부터 벗어난다' 그러므로 종성을 지닌 이이다. '일어나지 않음에 뛰어든다' 그러므로 종성을 지닌 이이다. '이어지지 않음에 뛰어든다' 그러므로 종성을 지닌 이이다. '이어지지 않음에 뛰어든다' 그러므로 종성을 지닌 이이다. ... '소멸.열반에 뛰어든다' 그러므로 종성을 지닌 이이다.

 

2-2. '일어남으로부터 벗어나 일어나지 않음에 뛰어든다' 그러므로 종성을 지닌 이이다. '이어짐으로부터 벗어나 이어지지 않음에 뛰어든다' 그러므로 종성을 지닌 이이다. '드러난 모습으로부터 벗어나 드러나지 않음에 뛰어든다' 그러므로 종성을 지닌 이이다. '지속하는 힘으로부터 벗어나 지속하는 힘을 지니지 않음에 뛰어든다' 그러므로 종성을 지닌 이이다. '생명을 맺음으로부터 벗어나 생명을 맺지 않음에 뛰어든다' 그러므로 종성을 지닌 이이다. '다른 존재로 나아감으로부터 벗어나 다른 존재로 나아가지 않음에 뛰어든다' 그러므로 종성을 지닌 이이다. '생겨남으로부터 벗어나 생겨나지 않음에 뛰어든다' 그러므로 종성을 지닌 이이다. '자라남으로부터 벗어나 자라나지 않음에 뛰어든다' 그러므로 종성을 지닌 이이다. '태어남으로부터 벗어나 태어나지 않음에 뛰어든다' 그러므로 종성을 지닌 이이다.

 

2-3. '늙음으로부터 벗어나 늙지 않음에 뛰어든다' 그러므로 종성을 지닌 이이다. '병듦으로부터 벗어나 병들지 않음에 뛰어든다' 그러므로 종성을 지닌 이이다. '죽음으로부터 벗어나 죽지 않음에 뛰어든다' 그러므로 종성을 지닌 이이다. ''슬픔으로부터 벗어나 슬퍼하지 않음에 뛰어든다' 그러므로 종성을 지닌 이이다. '비탄으로부터 벗어나 비탄하지 않음에 뛰어든다' 그러므로 종성을 지닌 이이다. '번민으로부터 벗어나 번민하지 않음에 뛰어든다' 그러므로 종성을 지닌 이이다. '밖으로 드러난 모습을 지닌 형성력으로부터 벗어나 소멸.열반에 뛰어든다' 그러므로 종성을 지닌 이이다.

'일어남으로부터 물러난다' 그러므로 종성을 지닌 이이다. '이어짐으로부터 물러난다' 그러므로 종성을 지닌 이이다. ··· '밖으로 드러난 모습을 지닌 형성력으로부터 물러난다' 그러므로 종성을 지닌 이이다. '일어나지 않음으로 뛰어든다' 그러므로 종성을 지닌 이이다. '이어지지 않음에 뛰어든다' 그러므로 종성을 지닌 이이다. ··· '소멸.열반에 뛰어든다' 그러므로 종성을 지닌 이이다. '일어남으로부터 물러나 일어나지 않음에 뛰어든다' 그러므로 종성을 지닌 이이다. '이어짐으로부터 물러나 이어지지 않음에 뛰어든다' 그러므로 종성을 지닌 이이다. ··· '밖으로 드러난 모습을 지닌 형성력으로부터 물러나 소멸.열반에 뛰어든다' 그러므로 종성을 지닌 이이다.

 

3. 종성을 지닌 이에 관하여 몇 가지 법이 사마타의 힘에 의해서 생기는가?

종성을 지닌 이에 관련하여 몇 가지의 법이 위빠사나이 힘에 의해서 생기는가?

여덟가지 종성을 지닌 이에 관련한 법이 사마타의 힘에 의해서 생긴다. 10가지 종성에 관련한 법이 위빠사나의 힘에 의해서 생긴다.

 

4. 사마타의 힘에 의해서 생기는 여덟가지 종성을 지닌 이에 관련한 법이란 무엇인가?

'첫 번째 선정을 획득하기 위해 다섯 장애를 극복한다' 그러므로 사마타의 힘에 의한 종성을 지닌이이다. '두 번째 선정을 획득하기 위해 거친 사유와 미세한 사유를 극복한다' 그러므로 사마타의 힘에 의한 종성을 지닌 이이다. '세 번째 선정을 획득하기 위해 기쁨을 극복한다' 그러므로 사마타의 힘에 의한 종성을 지닌 이이다. '네 번째 선정을 획득하기 위해 즐거움과 고통을 극복한다' 그러므로 사마타의 힘에 의한 종성을 지닌 이이다. '공간에 걸림이 없는 선정(공무변처정)을 획득하기 위해 물질적 현상에 대한 지각. 장애에 대한 지각. 잡다한 지각을 극복한다. 그러므로 사마타의 힘에 의한 종성을 지닌 이이다. '의식에 걸림이 없는 선정(식무변처정)을 획득하기 위해 공간에 걸림이 없음에 대한 지각을 극복한다. 그러므로 사마타의 힘에 의한 종성을 지닌 이이다. '아무것도 없는 선정(무소유처정)을 획득하기 위해 의식에 걸림이 없음에 대한 지각을 극복한다. 그러므로 사마타의 힘에 의한 종성을 지닌 이이다. '지각이 있는 것도 없는 것도 아닌 선정(비상비비상처정)을 획득하기 위해 아무것도 없음에 대한 지각을 극복한다' 그러므로 사마타의 힘에 의한 종성을 지닌 이이다. 이와 같은 여덟가지 종성을 지닌 이에 관련한 법이 사마타의 힘에 의해서 생긴다.

 

5. 위빠싸나의 에 의해서 생기는 10가지 종성을 지닌 이에 관련한 법이란 무엇인가?

'흐름에 나아가는 경지(예류도)를 획득하기 위해 얼어남.이어짐.드러난 모습.지속하는 힘. 생명을 맺음. 다른 존재로 나아감, 생겨남. 자라남. 태어남. 늙음. 병듦. 죽음. 슬픔. 비판. 번민. 밖으로 드러난 모습을 지닌 형성력을 극복한다' 그러므로 위빠싸나의 힘에 의한 종성을 지닌 이이다. '흐름에 들어선 선정의 경지(예류과정)를 위해 일어남. 이어짐. 드러난 모습. 지속하는 힘. 생명을 맺음을 극복한다' 그러므로 위빠싸나의 힘에 이한 종성을 지닌 이이다. '한번 돌아옴에 나아가는 경지(일래도)를 획득하기 위해 ··· 한번 돌아옴에 들어선 선정의 경지(일래과정)를 위해 ··· 돌아오지 않음에 나아가는 경지(불환도)를 획득하기 위해 ··· 돌아오지 않음에 들어선 선정의 경지(불환과정)를 위해 ··· 아라한에 나아가는 경지를 획득하기 위해 일어남. 이어짐 ··· 밖으로 드러난 모습을 지닌 형성력을 극복한다.' 그러므로 위빠싸나의 힘에 의한 종성을 지닌 이이다. '아라한에 들어선 선정의 경지를(아라한과정) 위해 ··· 공성에 머무름에 도달하기 위해 ··· 드러나지 않음에 머무르는 것에 도달하기 위해 일어남. 이어짐. 드러난 모습. 지속하는 힘. 생명을 맺음을 극복한다' 그러므로 위빠싸나의 힘에 이한 종성을 지닌 이이다. 이와 같은 10가지 종성을 지닌 이에 관련한 법이 위빠싸나의 힘에 의해서 생긴다.  

 

6. 종성을 지닌 이에 관련하여 몇 가지 법이 선한가?

몇 가지가 선하지 않은가? 몇 가지가 무기인가?

종성을 지닌 이에 관련한 법은 15가지가 선한 것이며, 종성을 지닌 이에 관련한 법은 세 가지가 무기이며, 종성을 지닌 이에 관련한 법으로서 선하지 않은 것이 없다.

 

7. 저열한 것과 저열하지 않은 것

바램과 바램없음

소박됨과 속박없음

벗어남과 벗어나지 못함이 있네

삼매를 연으로 한 여덟,지혜의 영역으로부터 열

이들 열 여덟의 종성을 지닌 이에 관련한 법은

세 가지 해탈의 연이라네

이들 열 여덟의 모습을 혜로써 알아

물러남과 벗어남에 능한자는 잡다한 견해에 동요하지 않는다네.

주)
1. PsA에 따르면 '저열한 것(samisa)'은 '종성의 지위를 그치게 하는 지혜(samathagotrbhunana)'에 과련된다고 한다. '바램(panihita)', 속박됨(sannuta)', 벗어나지 못함(avutthita)', 등도 또한 마찬가지이다. 그리고 '저열하지 않은 것'등은 그와 반대로 '종성의 지위를 보게 하는 지혜(vipassanagotrbhunana)' 에 관련된다고 한다. 
2. '세 가지 해탈(tinnam vimokkhanam)'이란 '공성을 내용으로 하는 해탈(sunnatavimokkha)', '드러나지 않음에 의한 해탈(animittvimokkha)', '바램없음에 의한 해탈(appanihitavimokkha)'의 세 해탈을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