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7장 첫 번째 날곡식의 반복
Āmakadhañña-peyyāla
aññatrasuttam (SN 56.61-다른곳 경)
1131. 세존께서는 손톱 위에 작은 흙을 올려놓고 비구들에게 말씀하셨다.
“비구들이여, 이것을 어떻게 생각하는가, 내 손톱 위에 올려놓은 작은 흙과 저 대지 가운데 어떤 것이 더 큰가?”라고.
“세존이시여, 오직 저 대지가 더 큽니다. 세존의 손톱 위에 올려놓은 작은 흙은 하잘것 없습니다(아주 작습니다). 세존의 손톱 위에 올려놓은 작은 흙은 대지에 비교하여 헤아릴 것도 없고, 비교할 것도 없고, 작은 조각에도 미치지 못합니다.”
“이처럼, 비구들이여, 인간으로 다시 태어나는 중생들은 적고 인간이 아닌 다른 곳에 태어나는 중생들은 많다. 그것은 무슨 이유 때문인가? 비구들이여, 네 가지 성스러운 진리를 보지(알지) 못했기 때문이다. 어떤 네 가지인가? 괴로움에 관한 성스러운 진리, 괴로움의 일어남에 관한 성스러운 진리, 괴로움의 소멸에 관한 성스러운 진리, 괴로움의 소멸에 이르는 길에 관한 성스러운 진리이다. 그러므로, 비구들이여, 그대들은 ‘이것이 괴로움이다.’라고 닦아야 한다. ‘이것이 괴로움의 일어남이다.’라고 닦아야 한다. ‘이것이 괴로움의 소멸이다.’라고 닦아야 한다. ‘이것이 괴로움의 소멸에 이르는 길이다.’라고 닦아야 한다."
paccantasuttam (SN 56.62-변방 경)
1132. 세존께서는 손톱 위에 작은 흙을 올려놓고 비구들에게 말씀하셨다.
“비구들이여, 이것을 어떻게 생각하는가, 내 손톱 위에 올려놓은 작은 흙과 저 대지 가운데 어떤 것이 더 큰가?”라고.
“세존이시여, 오직 저 대지가 더 큽니다. 세존의 손톱 위에 올려놓은 작은 흙은 하잘것 없습니다(아주 작습니다). 세존의 손톱 위에 올려놓은 작은 흙은 대지에 비교하여 헤아릴 것도 없고, 비교할 것도 없고, 작은 조각에도 미치지 못합니다.”
"이처럼, 비구들이여, 지역의 중심에 인간으로 태어나는 중생들은 적고 변방에서 무지한 범부로 태어나는 중생들은 많다. 그것은 무슨 이유 때문인가? 비구들이여, 네 가지 성스러운 진리를 보지 못했기 때문이다. 어떤 네 가지인가? 괴로움에 관한 성스러운 진리, 괴로움의 일어남에 관한 성스러운 진리,괴로움의 소멸에 관한 성스러운 진리, 괴로움의 소멸에 이르는 길에 관한 성스러운 진리이다. 그러므로, 비구들이여, 그대들은 ‘이것이 괴로움이다.’라고 닦아야 한다. ‘이것이 괴로움의 일어남이다.’라고 닦아야 한다. ‘이것이 괴로움의 소멸이다.’라고 닦아야 한다. ‘이것이 괴로움의 소멸에 이르는 길이다.’라고 닦아야 한다."
paññāsuttam (SN 56.63-지혜 경)
1133. “이처럼, 비구들이여, 지혜의 눈[慧眼]을 갖춘 중생들은 적고 무명에 빠지고 미혹한 중생들은 많다. ···"
surāmerayasuttam (SN 56.64-술과 발효액 경)
1134. "이처럼 비구들이여, 술과 발효액등 취하게 하는 것으로 인한 방일한 머묾으로부터 멀리 떠난 중생들은 적고 술과 발효액등 취하게 하는 것으로 인해 방일한 머묾으로부터 멀리 떠나지 못한 중생들은 많다. ···"
odakasuttam (SN 56.65-물에서 태어남 경)
1135. "이처럼, “비구들이여, 땅에서 태어난 중생들은 적고 물에서 태어난 중생들은 많다. ···"
matteyyasuttam (SN 56.66-어머니를 존중함 경)
1136. “이처럼, 비구들이여, 어머니를 존중하는 중생들은 적고 어머니를 존중하지 않는 중생들은 많다. ···"
petteyyasuttam (SN 56.67-아버지를 존중함 경)
1137. “이처럼, 비구들이여, 아버지를 존중하는 중생들은 적고 아버지를 존중하지 않는 중생들은 많다. ···"
sāmaññasuttam (SN 56.68-사문을 존중함 경)
1138. “이처럼, 비구들이여, 사문을 존중하는 중생들은 적고 사문을 존중하지 않는 중생들은 많다. ···"
brahmaññasuttam (SN 56.69-바라문을 존중함 경)
1139. “이처럼, 비구들이여, 바라문을 존중하는 중생들은 적고 바라문을 존중하지 않는 중생들은 많다. ···"
pacāyikasuttam (SN 56.70-연장자를 존중함 경)
1140. “이처럼, 비구들이여, 가문의 연장자를 존중하는 중생들은 적고 가문의 연장자를 존중하지 않는 중생들은 많다. ···"
제7장 첫 번째 날곡식의 반복이 끝났다.
'빠알리어 경전 > 상윳따 니까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56상윳따 - 제9장 세 번째 날곡식의 반복(SN56:81-SN56:90. Āmakadhañña-peyyāla) (0) | 2014.09.07 |
---|---|
제56상윳따 - 제8장 두 번째 날곡식의 반복(SN56:71-SN56:80. Āmakadhañña-peyyāla) (0) | 2014.09.07 |
제56상윳따 - 제6장 관통 품(SN56:51-SN56:60. Abhisamaya-vagga) (0) | 2014.09.07 |
제56상윳따 - 제5장 절벽 품(SN56:41-SN56:50. Papāta-vagga) (0) | 2014.09.07 |
제56상윳따 - 제4장 시사빠 숲 품(SN56:31-SN56:40. Sisapāvana-vagga) (0) | 2014.09.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