빠알리어 경전/맛지마 니까야

M032. 고싱가살라 긴 경(Mahāgosiṅgasuttaṃ)

실론섬 2016. 4. 6. 19:49

고싱가살라 긴 경 M32
Majjhima Nikàya I 4. 2. Mahàgosingasuttaü

1.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한 때에 세존께서는 널리 알려진 많은 장로 제자들 즉 사리뿟따 존자, 마하목갈라나 존자, 마하깟사빠 존자, 아누룻다 존자, 레와따 존자, 아난다 존자와 그외 잘 알려진 여러 장로 제자들과 함께 고싱가살라 숲의 동산에 머물고 계셨다. 그 무렵 마하목갈라나 존자가 해거름에 홀로 머묾에서 일어나 마하깟사빠 존자에게 다가갔다. 가서는 마하깟사빠 존자에게 "도반 깟사빠여, 우리는 법을 들으러사리뿟따 존자에게  갑시다."라고 말했다. "좋습니다, 도반이여."라고 마하깟사빠 존자는 마하목갈라나 존자에게 대답했다. 그리고 마하목갈라나 존자와 마하깟사빠 존자와 아누룻다 존자는 법을 듣기 위해 사리뿟따 존자에게 갔다. 아난다 존자가 법을 듣기 위해 사리뿟따 존자에게 가는 마하목갈라나 존자와 마하깟사빠 존자와 아누룻다 존자를 보았다. 보고서 레와따 존자에게 다가갔다. 가서는 레와따 존자에게 "도반 레와따여, 저 훌륭한 분들이 법을 듣기 위해 사리뿟따 존자에게 가고 있습니다. 오십시오, 도반 레와따여, 우리도 법을 듣기 위해 사리뿟따 존자에게 갑시다."라고 말했다. "그럽시다, 도반이여."라고 레와따 존자는 아난다 존자에게 대답했다. 레와따 존자와 아난다 존자도 법을 듣기 위해 사리뿟따 존자에게 갔다.

 

*마하목갈라나 존자(ayasma Maha-Moggallana)는 라자가하의 꼴리따 마을(Kolitagama)의 바라문 가문에서 태어났으며 마을 이름을 따서 꼴리따라고 불리었다. 어머니의 이름이 목갈라(Moggali 혹은 Moggalini)였기 때문에 목갈라나로 불리게 되었다. 어릴 적부터 사리뿟따와 절친한 친구였으며 같이 산자야 문하에서 수학하다가 사리뿟따 존자와 함께 세존의 제자가 되었다. 
*마하깟사빠 존자(ayasma Maha-Kassapa) 존자는 마가다의 마하띳타(Mahatittha)ㅔ서 바라문으로 태어났으며 이름은 삡빨리(Pippali)였다. 그는 일찍 결혼하였으나 아내인 밧다(Bhadda)와 논의하여 둘 다 출가하였다. 
'디가 니까야' 주석서 서문에 의하면 1차 결집에서 '상윳따 니까야'는 마하깟사빠 존자의 제자들에게 부촉해서 전승하도록 하였다 한다.
*사리뿟따 존자(ayasma Sariputta)에 대한 설명은 다른 자료를 참조토록 여기서는 생략한다. 
1차결집에서 '맛지마 니까야'는 사리뿟따 존자의 제자들에게 부촉해서 전승하도록 하였다고 한다.
*아누룻다 존자(ayasma Anuruddha)는 세존의 사촌이고 사까의 아미또다나의 아들이다. 세존께서 깨달음을 얻으신 후 까삘라왓투를 방문하였을 때 사까의 아누삐야(Anupiya)에서 밧디야(Bhaddiya), 아난다(Ananda), 바구(Bhagu), 낌빌라(Kimbila), 데와닷따(Devadatta)같은 왕자들과 이발사 우빨리(Upali)를 비롯한 많은 사까의 청년들과 함께 출가하였다.(Vin.ii.180;AA.i.108,DphA.i.133;iv.127)
1차결집에서 '앙굿따라 니까야'는 아누룻다 존자의 제자들에게 부촉해서 전승하도록 하였다고 한다.
*아난다 존자(ayasma Ananda)는 세존의 사촌 동생이다. 세존의 후반부 25년 동안 시자로 있으면서 세존의 설법을 가장 많이 듣고 기억하고 있는 분으로 알려져 있다. 1차경전결집시 경을 암송하는 역활을 하였다.
1차결집에서 '디가 니까야'는 아난다 존자의 제자들에게 부촉ㅎ서 전승하도록 하였다고 한다.
*레와따 존자(ayasma Revata)는 깡카레와따(Kankha-Revata)존자는 사왓티의 부유한 장자 집안의 출신이었다. 그는 출가하여 선의 증득(jhana-sampapatti)을 통해서 십력(十力.dasabala)을 갖춘 아라한이 되었다고 한다.

 

2. 사리뿟따 존자는 멀리서 오고 있는 레와따 존자와 아난다 존자를 보았다. 보고는 아난다 존자에게 이렇게 말했다.

"오십시오, 아난다 존자여. 세존의 곁에서 시중들고 있는 아난다 존자를 환영합니다. 도반 아난다여, 고싱가살라 숲의 달이 빛나는 밤은 아름답습니다. 살라 나무는 꽃을 활짝 피웠고, 생각건대 하늘의 향기가 두루 퍼져 있는 것 같습니다도반 아난다여, 어떤 비구가 이 고싱가살라 숲을 빛나게 합니까?라고."

"여기, 도반 사리뿟따여, 많이 배우고 배운 것을 바르게 호지하고 배운 것을 잘 정리하는 비구가 있습니다. 처음도 훌륭하고 중간도 훌륭하고 끝도 훌륭하고, 의미와 표현이 일치하는 가르침을 설하고, 완전히 원만하고 청정한 거룩한 범행을 천명하는 가르침들을 많이 배우고 호지하고 말로써 익숙해지고 마음으로 숙고하고 견해로써 잘 통찰합니다. 그리고 그는 대중에게 잠재성향을 뿌리 뽑기 위해 잘 말해진 문구로써 끊임없이 법을 설합니다. 도반 사리뿟따여, 이런 비구가 고싱가살라 숲을 빛나게 합니다."

 

3. 이렇게 말했을 때, 사리뿟따 존자는 레와따 존자에게 이렇게 말했다.

"도반 레와따여, 아난다 존자가 자신의 이해를 이렇게 설명했습니다. 여기서 이제 우리는, '도반 레와따여, 고싱가살라 숲의 달이 빛나는 밤은 아름답습니다. 살라 나무는 꽃을 활짝 피웠고, 생각건대 하늘의 향기가 두루 퍼져 있는 것 같습니다. 도반 레와따여, 어떤 비구가 이 고싱가살라 숲을 빛나게 합니까?'라고 레와따 존자에게 묻습니다." 

"여기, 도반 사리뿟따여, 홀로 머묾을 즐기고 홀로 머묾을 기뻐하고 안으로 마음의 사마타[止]를 닦고, 선(禪)을 멀리하지 않고, 위빠사나를 닦으면서 더욱이 빈집에 머무는 비구가 있습니다. 도반 사리뿟따여, 이런 비구가 고싱가살라 숲을 빛나게 합니다."

 

4. 이렇게 말했을 때, 사리뿟따 존자는 아누룻다 존자에게 이렇게 말했다.

"도반 아누룻다여, 레와따 존자는 자신의 이해를 이렇게 설명했습니다. 여기서 이제 우리는 '도반 아누룻다여, 고싱가살라 숲의 달이 빛나는 밤은 아름답습니다. 살라 나무는 꽃을 활짝 피웠고, 생각건대 하늘의 향기가 두루 퍼져 있는 것 같습니다. 도반 아누룻다여, 어떤 비구가 이 고싱가살라 숲을 빛나게 합니까?'라고 아누룻다 존자에게 묻습니다." 

"여기, 도반 사리뿟따여, 인간의 능력을 넘어선 청정한 하늘 눈으로 천의 세계를 보는(천의 세상을 세심히 살피는) 비구가 있습니다. 예를 들면, 도반 사리뿟따여, 눈을 가진 자가 건물의 높은 곳에 오르면 천의 수레바퀴를 볼 수 있습니다. 이처럼 인간의 능력을 넘어선 청정한 하늘 눈으로 천의 세계를 보는 비구가 있습니다. 도반 사리뿟따여, 이런 비구가 고싱가살라 숲을 빛나게 합니다."

 

5. 이렇게 말했을 때, 사리뿟따 존자는 마하깟사빠 존자에게 이렇게 말했다.

"도반 깟사빠여, 아누룻다 존자는 자신의 이해를 이렇게 설명했습니다. 여기서 이제 우리는 '도반 깟사빠여, 고싱가살라 숲의 달이 빛나는 밤은 아름답습니다. 살라 나무는 꽃을 활짝 피웠고, 생각건대 하늘의 향기가 두루 퍼져 있는 것 같습니다. 도반 깟사빠여, 어떤 비구가 이 고싱가살라 숲을 빛나게 합니까?'라고 깟사빠 존자에게 묻습니다."

"여기, 도반 사리뿟따여, 자신도 숲에 머물면서 숲에 머무는 것을 칭찬하고, 자신도 탁발음식만을 수용하면서 탁발음식만 수용하는 것을 칭찬하고, 자신도 분소의를 입으면서 분소의 입는 것을 칭찬하고, 자신도 세벌의 가사만을 수용하면서 세벌의 가사만을 수용하는 것을 칭찬하고, 자신도 원하는 것이 적으면서 원하는 것이 적은 것을 칭찬하고, 자신도 만족하면서 만족하는 것을 칭찬하고, 자신도 정진하면서 정진하는 것을 칭찬하고, 자신도로 계((戒)를 갖추면서 계를 갖추는 것을 칭찬하고, 자신도 삼매를 갖추면서 삼매를 갖추는 것을 칭찬하고, 자신도 지혜를 갖추면서 지혜를 갖추는 것을 칭찬하고, 자신도 해탈을 갖추면서 해탈을 갖추는 것을 칭찬하고, 자신도 해탈지견을 갖추면서 해탈지견을 갖추는 것을 칭찬하는 비구가 있습니다. 도반 사리뿟따여, 이런 비구가 고싱가살라 숲을 빛나게 합니다."

 

6. 이렇게 말했을 때, 사리뿟따 존자는 마하목갈라나 존자에게 이렇게 말했다.

"도반 목갈라나여, 마하깟사빠 존자는 자신의 이해를 이렇게 설명했습니다. 여기서 이제 우리는, 도반 목갈라나여, 고싱가살라 숲의 달이 빛나는 밤은 아름답습니다. 살라 나무는 꽃을 활짝 피웠고, 생각건대 하늘의 향기가 두루 퍼져 있는 것 같습니다. 도반 목갈라나여, 어떤 비구가 이 고싱가살라 숲을 빛나게 합니까?'라고 목갈라나 존자에게 묻습니다." 

"여기, 도반 사리뿟따여, 두 명의 비구가 법에 대한 이야기를 합니다. 그들은 서로에게 질문을 하고, 질문받은 사람은 서로의 질문에 대답하고, 끝이 없습니다. 그들에게 법의 대화는 계속됩니다. 도반 사리뿟따여, 이런 비구가 고싱가살라 숲을 빛나게 합니다."

 

7. 그때 마하목갈라나 존자가 사리뿟따 존자에게 이렇게 말했다.

"도반 사리뿟따여, 우리는 모두 자신의 이해를 이렇게 설명했습니다. 여기서 이제 우리는, 도반 사리뿟따여, 고싱가살라 숲의 달이 빛나는 밤은 아름답습니다. 살라 나무는 꽃을 활짝 피웠고, 생각건대 하늘의 향기가 두루 퍼져 있는 것 같습니다. 도반 사리뿟따여, 어떤 비구가 이 고싱가살라 숲을 빛나게 합니까?'라고 사리뿟따 존자에게 묻습니다." 

"여기, 도반 목갈라나여, 비구가 마음을 지배합니다. 비구가 마음에 의해 지배되지 않습니다. 그는 원하는 깨달음의 요소로써 오전을 머물고자 하면, 바로 그러한 깨달음의 요소로 오전을 머뭅니다. 원하는 깨달음의 요소로 정오를(한낮을) 머물고자 하면, 바로 그러한 깨달음의 요소로 정오를 머뭅니다. 원하는 깨달음의 요소로 저녁을 머물고자 하면, 바로 그러한 깨달음의 요소로 저녁을 머뭅니다. 예를 들면, 도반 목갈라나여, 왕이나 왕의 대신에게 여러 가지 색깔의 옷이 옷장에 가득 차 있습니다. 그가 오전에 입을 한 벌의 옷을 원하면 그 한 벌의 옷을 입을 것이고, 정오에 입을 한 벌의 옷을 원하면 그 한 벌의 옷을 입을 것이고, 저녁에 입을 한 벌의 옷을 원하면 그 한 벌의 옷을 입을 것입니다. 이처럼, 도반 목갈라나여, 비구가 마음을 지배합니다. 비구가 마음에 의해 지배되지 않습니다. 그는 원하는 깨달음의 요소로써 오전을 머물고자 하면, 바로 그러한 깨달음의 요소로 오전을 머뭅니다. 원하는 깨달음의 요소로 정오를(한낮을) 머물고자 하면, 바로 그러한 깨달음의 요소로 정오를 머뭅니다. 원하는 깨달음의 요소로 저녁을 머물고자 하면, 바로 그러한 깨달음의 요소로 저녁을 머뭅니다. 도반 목갈라나여, 이런 비구가 고싱가살라 숲을 빛나게 합니다."

 

8. 그리고 사리뿟따 존자는 그 존자들에게 이렇게 말했다.

"'도반들이여, 우리는 모두 자신의 이해를 이렇게 설명했습니다. 오십시오, 도반들이여, 이제 세존을 친견하러 갑시다. 가서 세존께 이것의 의미를 말씀드립시다. 세존께서 우리에게 설명해주시는 그대로 우리는 호지합시다.'라고."

"그렇게 합시다, 도반이여."라고 그 존자들은 사리뿟따 존자에게 대답했다. 그래서 그 존자들은 세존에게 다가갔다. 가서는 세존께 경의를 표하고 난 뒤에 한 곁에 앉았다. 한 곁에 앉아서 사리뿟따 존자는 세존께 이렇게 말씀드렸다

"세존이시여, 저는 멀리서 오고 있는 레와따 존자와 아난다 존자를 보았습니다. 보고서 아난다 존자에게 '오십시오, 아난다 존자여. 세존의 곁에서 시중들고 있는 아난다 존자를 환영합니다. 도반 아난다여, 고싱가살라 숲의 달이 빛나는 밤은 아름답습니다. 살라 나무는 꽃을 활짝 피웠고, 생각건대 하늘의 향기가 두루 퍼져 있는 것 같습니다. 도반 아난다여, 어떤 비구가 이 고싱가살라 숲을 빛나게 합니까?'라고 말했습니다. 이렇게 말했을 때, 아난다 존자는 저에게 '여기, 도반 사리뿟따여, 많이 배우고 배운 것을 바르게 호지하고 ··· 잠재성향을 뿌리 뽑기 위해 잘 정리된 문구로써 끊임없이 법을 설합니다. 도반 사리뿟따여, 이런 비구가 고싱가살라 숲을 빛나게 합니다.'라고 말했습니다."라고.

“훌륭하고 훌륭하다, 사리뿟따여! 아난다가 바르게 말하는 자로서 그것을 말했듯이, 사리뿟따여, 아난다는 많이 배우고 배운 것을 바르게 호지하고 배운 것을 잘 정리하는 비구다. 처음도 훌륭하고 중간도 훌륭하고 끝도 훌륭하고, 의미와 표현이 일치하는 가르침을 설하고, 완전히 원만하고 청정한 거룩한 범행(梵行)을 천명하는 가르침들을 많이 배우고 호지하고 말로써 익숙해지고 마음으로 숙고하여 견해로써 잘 통찰한다. 그리고 그는 그 대중에게 잠재성향을 뿌리 뽑기 위해 잘 말해진 문구로써 끊임없이 법을 설한다.”

 

9. "이렇게 말했을 때, 세존이시여, 저는 레와따 존자에게 '도반 레와따여, 아난다 존자는 자신의 이해를 이렇게 설명했습니다. 여기서 이제 우리는 '도반 레와따여, 고싱가살라 숲의 달이 빛나는 밤은 아름답습니다. 살라 나무는 꽃을 활짝 피웠고, 생각건대 하늘의 향기가 두루 퍼져 있는 것 같습니다. 도반 레와따여, 어떤 비구가 이 고싱가살라 숲을 빛나게 합니까?라고 레와따 존자에게 묻습니다.'라고 말했습니다. 이렇게 말했을 때, 세존이시여, 레와따 존자는 저에게 '홀로 머묾을 즐기고 홀로 머묾을 기뻐하고 안으로 마음의 사마타[止]를 닦고 선(禪)을 멀리하지 않고 위빠사나를 닦으면서 더욱이 빈집에 머무는 비구가 있습니다. 도반 사리뿟따여, 이런 비구가 고싱가살라 숲을 빛나게 합니다.'라고 말했습니다."

"훌륭하고 훌륭하다, 사리뿟따여! 레와따가 바르게 말하는 자로서 그것을 말했듯이, 사리뿟따여, 레와따는 홀로 머묾을 즐기고 홀로 머묾을 기뻐하고 안으로 마음의 사마타를 닦고 선을 멀리하지 않고 위빠사나를 닦으면서 더욱이 빈 집에 머문다."

 

10. "이렇게 말했을 때, 세존이시여, 저는 아누룻다 존자에게 '도반 아누룻다여, 레와따 존자는 자신의 이해를 이렇게 설명했습니다. 여기서 이제 우리는 '아누룻다 존자여, 고싱가살라 숲의 달이 빛나는 밤은 아름답습니다. 살라 나무는 꽃을 활짝 피웠고, 생각건대 하늘의 향기가 두루 퍼져 있는 것 같습니다. 도반 아누룻다여, 어떤 비구가 이 고싱가살라 숲을 빛나게 합니까?라고 아누룻다 존자에게 묻습니다.'라고 말했습니다. 이렇게 말했을 때, 세존이시여, 아누룻다 존자는 저에게 '인간의 능력을 넘어선 청정한 하늘 눈으로 천의 세계를 보는 비구가 있습니다. 예를 들면, 도반 사리뿟따여, 눈을 가진 자가 건물의 높은 곳에 오르면 천개의 수레바퀴를 볼 수 있습니다. 이처럼 인간의 능력을 넘어선 청정한 하늘 눈으로 천의 세계를 보는 비구가 있습니다. 도반 사리뿟따여, 이런 비구가 고싱가살라 숲을 빛나게 합니다.'라고 말했습니다."

"훌륭하고 훌륭하다, 사리뿟따여! 아누룻다가 바르게 말하는 자로서 그것을 말했듯이, 사리뿟따여, 아누룻다는 청정하고 인간을 넘어선 신성한 눈으로 천(千)의 세상을 본다.”

 

11. "이렇게 말했을 때, "세존이시여, 저는 마하깟사빠 존자에게 '도반 깟사빠여, 아누룻다 존자는 자신의 이해를 가 자신의 앎을 표현했습니다. 여기서 이제 우리는 '도반 깟사빠여, 고싱가살라 숲의 달이 빛나는 밤은 아름답습니다. 살라 나무는 꽃을 활짝 피웠고, 생각건대 하늘의 향기가 두루 퍼져 있는 것 같습니다. 도반 깟사빠여, 어떤 비구가 이 고싱가살라 숲을 빛나게 합니까?라고 깟사빠 존자에게 묻습니다.' 라고 말했습니다. 이렇게 말했을 때, 세존이시여, 깟사빠 존자는 저에게 '자신도 숲에서 머물면서 숲에 머무는 것을 칭찬하고 ··· 자신도 해탈지견을 갖추면서 해탈지견을 갖추는 것을 칭찬하는 비구가 있습니다. 도반 사리뿟따여, 이런 비구가 고싱가살라 숲을 빛나게 합니다.라고 말했습니다."

"훌륭하고 훌륭하다, 사리뿟따여! 마하깟사빠가 바르게 말하는 자로서 그것을 말했듯이, 사리뿟따여, 깟사빠는 자신도 숲에 머물면서 숲에 머무는 것을 칭찬하고 ··· 자신도 해탈지견을 갖추면서 해탈지견을 갖추는 것을 칭찬한다."

 

12. "이렇게 말했을 때, 세존이시여, 저는 마하목갈라나 존자에게 '도반 목갈라나여, 마하깟사빠 존자는 자신의 이해를 이렇게 설명했습니다. 여기서 이제 우리는 '도반 목갈라나여, 고싱가살라 숲의 달이 빛나는 밤은 아름답습니다. 살라 나무는 꽃을 활짝 피웠고, 생각건대 하늘의 향기가 두루 퍼져 있는 것 같습니다. 도반 목갈라나여, 어떤 비구가 이 고싱가살라 숲을 빛나게 합니까?'라고 마하목갈라나 존자에게 묻습니다.' 라고 말했습니다. 이렇게 말했을 때, 세존이시여, 목갈라나 존자는 저에게 '두 명의 비구가 법에 대한 이야기를 합니다. 그들은 서로 질문을 하고, 질문받은 사람은 서로의 질문에 대답하고, 끝이 없습니다.  그들에게 법의 대화는 계속됩니다. 도반 사리뿟따여, 이런 비구가 고싱가살라 숲을 빛나게 합니다.'라고 말했습니다."

"훌륭하고 훌륭하다, 사리뿟따여! 목갈라나가 바르게 말하는 자로서 그것을 말했듯이, 사리뿟따여, 목갈라나는 법을 설하는 자이다."

 

13. "이렇게 말했을 때, 마하목갈라나 존자가 세존에게 이렇게 말씀드렸다.

"그때 저는, 세존이시여, 사리뿟따 존자에게 이렇게 말했습니다. '도반 사리뿟따여, 우리는 모두 이렇게 자신의 앎을 표현했습니다. 여기서 이제 우리는 '도반 사리뿟따여, 고싱가살라 숲의 달이 빛나는 밤은 아름답습니다. 살라 나무는 꽃을 활짝 피웠고, 생각건대 하늘의 향기가 두루 퍼져 있는 것 같습니다. 도반 사리뿟따여, 어떤 비구가 이 고싱가살라 숲을 빛나게 합니까?'라고 사리뿟따 존자에게 묻습니다. 이렇게 말했을 때, 세존이시여,  사리뿟따 존자는 저에게 이렇게 말했습니다. 비구가 마음을 지배합니다. 비구가 마음에 의해 지배되지 않습니다. 그는 원하는 깨달음의 요소로써 오전을 머물고자 하면, 바로 그러한 깨달음의 요소로 오전을 머뭅니다. 원하는 깨달음의 요소로 정오를(한낮을) 머물고자 하면, 바로 그러한 깨달음의 요소로 정오를 머뭅니다. 원하는 깨달음의 요소로 저녁을 머물고자 하면, 바로 그러한 깨달음의 요소로 저녁을 머뭅니다. 예를 들면, 도반 목갈라나여, 왕이나 왕의 대신에게 여러 가지 색깔의 옷이 옷장에 가득 차 있습니다. 그가 오전에 입을 한 벌의 옷을 원하면 그 한 벌의 옷을 입을 것이고, 정오에 입을 한 벌의 옷을 원하면 그 한 벌의 옷을 입을 것이고, 저녁에 입을 한 벌의 옷을 원하면 그 한 벌의 옷을 입을 것입니다. 이처럼, 도반 목갈라나여, 비구가 마음을 지배합니다. 비구가 마음에 의해 지배되지 않습니다. 그는 원하는 깨달음의 요소로써 오전을 머물고자 하면, 바로 그러한 깨달음의 요소로 오전을 머뭅니다. 원하는 깨달음의 요소로 정오를(한낮을) 머물고자 하면, 바로 그러한 깨달음의 요소로 정오를 머뭅니다. 원하는 깨달음의 요소로 저녁을 머물고자 하면, 바로 그러한 깨달음의 요소로 저녁을 머뭅니다. 도반 목갈라나여, 이런 비구가 고싱가살라 숲을 빛나게 합니다.'라고."  

"훌륭하고 훌륭하다, 목갈라나여! 사리뿟따가 바르게 말하는 자로서 그것을 말했듯이, 목갈라나여, 사리뿟따는 마음을 지배한다. 사리뿟따가 마음에 의해 지배되지 않는다. 그는 원하는 깨달음의 요소로써 오전을 머물고자 하면, 바로 그러한 깨달음의 요소로 오전을 머문다. 그는 원하는 깨달음의 요소로써 정오에 머물고자 하면, 바로 그러한 깨달의 요소로 정오를 머문다. 그는 원하는 깨달음의 요소로 저녁에 머물고자 하면, 바로 그러한 깨달음의 요소로 저녁을 머문다."  

 

14. 이렇게 말씀하셔을 때, 사리뿟따 존자는 세존께 이렇게 말씀드렸다.

"세존이시여, 누가 잘 말했습니까?"

"사리뿟따여, 그대들 모두가 방법에 따라 잘 말했다. 하지만 어떤 비구가 고싱가살라 숲을 빛나게 하는지 나의 이야기도 들어보라. 여기, 사리뿟따여, 오후에 탁발을 마치고 돌아 온 비구가 ''집착 없이 내 마음이 번뇌에서 해탈할 때까지 이 가부좌를 풀지 않을 것이다.'라고 가부좌를 틀고 상체를 똑바로 세우고 전면에 마음챙김을 확립하여 앉는다. 사리뿟따여, 이런 비구가 고싱가살라 숲을 빛나게 한다."

 

15. idamavoca bhagavā. attamanā te āyasmanto bhagavato bhāsitaṃ abhinandunti.

세존께서 이렇게 말씀하셨다. 그 존자들은 즐거워하면서 세존의 말씀을 기뻐했다.

 

Mahāgosiṅgasuttaṃ niṭṭhitaṃ dutiyaṃ.

고싱가살라 긴 경(M32)이 끝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