빠띠삼비다막가(Patisambhidamagga)

마하박가(mahabhagga) - 제53장 대비에 이르는 지혜

실론섬 2014. 9. 10. 16:21

대비에 이르는 지혜(mahakarunasamapattiya nanam)


1-1. 여래의 대비에 이르는 지혜란 무엇인가?

여러 모습을 통해 보실 때, 붓다.세존께 여러 중생들에 대한 대비가 생긴다. '세간의 삶은 불에 타는 것이다'고 보실 때, 붓다.세존께 여러 중생들에 대한 대비가 생긴다. '세간의 삶은 타락이다'고 보실 때, 붓다.세존께 여러 중생들에 대한 대비가 생긴다. '세간의 삶은 잘못된 길을 따르는 것이다'고 보실 때, 붓다.세존께 여러 중생들에 대한 대비가 생긴다. '세간은 영원하지 않음으로 향한다'고 보실 때, 붓다.세존께 여러 중생들에 대한 대비가 생긴다. '세간은 보호 받지도 못하며, 주인도 없는 것이다'고 보실 때, 붓다.세존께 여러 중생들에 대한 대비가 생긴다. '세간은 무일푼으로 일체를 버리고 가야만 한다'고 보실 때, 붓다.세존께 여러 중생들에 대한 대비가 생긴다. '세간은 결여된 것으로 불만족스러운 갈애의 거울이다'고 보실 때, 붓다.세존께 여러 중생들에 대한 대비가 생긴다.


1-2. '세간의 삶은 보호 받지 못한다고'고 보실 때 ... '세간의 삶에는 피난처가 없다'고 보실 때 ... '세간의 삶에는 의지할 곳이 없다'고 보실 때 ... '세간의 삶에는 귀의할 곳이 없다'고 보실 때 ... '세간은 산란하고 진정되지 않은 것이다'고 보실 때 ... '세간의 삶은 수많은 화살에 맞아 부상을 입은 것으로, 나 이외에 화살을 뽑아 줄 사람이 아무도 없다'고 보실 때 ... '세간의 삶은 무명의 어두움에 덮혀 번뇌의 울타리 안에 던져진 것으로, 나 외에는 빛을 비ㅜ어 주는사람이 아무도 없다고'고 보실 때 ... '세간의 삶은 무명에 빠져있는 것이고, 어둠에 널리 덮혀있는 것이고, 얽힌 실타래에서 생겨난 것이고, 고름에 뒤덮혀 생겨난 것이고, 문자.빠비자에서 생겨난 것과 같은 것이고, 고통스러운 곳이고, 비참한 곳이고, 험난한 곳으로 윤회를 벗어나지 못한다'고 보실 때 ... '세간의 삶은 무명이라는 독에 오염되어 번뇌의 타액에서 생겨난 것이다'고 보실 때 ... '세간의 삶은 탐냄과 성냄과 어리석음에 뒤얽힌 것으로, 그 뒤얽힘을 풀어줄 사람이 나 외에 아무도 없다'고 보실 때 ...

주) '문자.빠비자에서 생겨난 것(munjapabbajabhuto)'이란 'munja'와 'pabbaja(빠바자)' 와 'bhuta(생겨난 것)'의 복합어이다. 문자와 빳바자는 둘 다 갈대의 일종이라고 하는데, 여기에 이런 비유가 사용된 것은 '세간의 삶'이 흔들리는 갈대와 같이 위약한 것임을 나타내기 위한 의도로 여겨진다.


1-3. '세간의 삶은 갖가지 갈애에 직면한 것이다'고 보실 때 ... '세간의 삶은 갈애의 덫에 걸려있는 것이다'고 보실 때 ... '세간의 삶은 갈애의 물결에 표류하는 것이다'고 보실 때 ... '세간의 삶은 갈애의 얽매임에 묶인 것이다'고 보실 때 ... '세간의 삶은 잠복해 있는 미세한 갈애를 수반하는 것이다'고 보실 때 ... '세간의 삶은 뜨거운 갈애에 의해 타는 것이다'고 보실 때 ... '세간의 사람은 번뇌에 의해 타오른 것이다'고 보실 때 ... '세간의 삶은 갖가지 삿된 견해에 직면하여 ... 삿된 견해의 불길에 타오르는 것이다'고 보실 때 ... '세간의 삶은 태어남에 따른 것이다'고 보실 때 ... '세간의 삶은 늙어감을 수반하는 것이다'고 보실 때 ... '세간의 삶은 질병에 무너지는 것이다'고 보실 때 ... '세간의 삶은 죽음이 따라오는 것이다'고 보실 때 ...


1-4. '세간의 삶은 고통에 떨어진 것이다'고 보실 때 ... '세간의 삶은 갈애에 묶인 것이다'고 보실 때 ... '세간의 삶은 늙어감의 성벽에 둘러 쌓인 것이다'고 보실 때 ... '세간의 삶은 죽음의 그물에 에워 쌓인 것이다'고 보실 때 ... '세간의 삶은 탐냄에 의한 속박, 성냄에 의한 속박, 어리석음에 의한 속박, 교만에 의한 속박, 견해에 의한 속박, 번뇌에 의한 속박, 악한 행위에 의한 속박에 의해 크게 속박된 것으로, 그 속박을 풀어줄 사람이 나 이외에 아무도 없다'고 보실 때 ... '세간의 삶은 위험한 곳으로 가는 것으로, 거기에서 길을 안내하는 사람이 나 이ㅗ이에 아무도 없다'고 보실 때 ... '세간의 삶은 거대한 장애에 차단된 것으로, 그 장애를 제거할 사람이 나 이외에 아무도 없다고'고 보실 때 ... '세간의 삶은 거대한 절벽에서 떨어지는 것으로, 그 절벽으로부터 끌어 올려줄 사람이 나 이외에 아무도 없다'고 보실 때 ... '세간의 삶은 아주 험한 곳으로 가는 것으로, 험한 길을 도와주는 사람이 나 이외에 아무도 없다고'고 보실 때 ... '세간의 삶은 거대한 윤회에 나아가는 것으로, 윤회로부터 벗어나게 하는 사람이 나 이외에 아무도 없다고 보실 때 ...


1-5. '세간의 삶은 매우 걷기 힘든 고으로 가는 것으로, 걷기 힘든 곳으로부터 끌어 올려줄 사람이 나 이ㅚ에 아무도 없다'고 보실 때 ... '세간의 삶은 커다란 진창에 빠진 것으로, 진창으로부터 끌어 올려줄 사람이 나 이외에 아무도 없다'고 보실 때 ... '세간의 삶은 얻어 맞는 것이다'고 보실 때 ... '세간의 삶은 탐냄의 불에 의해, 성냄의 불에 의해, 어리석음의 불에 의해, 태어남의 불에 의해, 늙음과 죽음의 불에 의해, 슬픔에 의해, 비판에 의해, 괴로움에 의해, 근심에 의해, 번민에 의해 타오르는 것으로, 꺼내줄 사람이 나 이외에는 아무도 없다'고 보실 때 ... '세간의 삶은 방치된 것으로, 체버을 받을만한 그러한 짓을 행한 자가 죽지 않은 채, 언제까지나 체벌을 당하는 것이다'고 보실 때 ... '세간의 삶은 죄의 속박에 묶여 형장에 서 있는 것으로, 그 속박을 풀어 줄 사람이 나 이외에 아무도 없다'고 보실 때 ... '세간의 삶은 최상의 바른 길을 얻은 의지할만한 사람이 없는 것으로, 나 이외에 어떠한 구원자도 없다고'고 보실 때 ...


1-6. '세간의 삶은 고통에 눌려 긴 밤 동안 고통을 받는 것이다'고 보실 때 ... '세간의 삶은 항상 속박되어 항상 목마른 것이다'고 보실 때 ... '세간의 삶은 어두워 눈이 없는 것이다'고 보실 때 ... 세간의 삶은 지도자가 죽어 지도자를 여윈 것이다'고 보실 때 ... '세간의 삶은 잘못된 길로 떠나 바른 길을 이탈한 것으로, 거룩한 길로 이끌 자가 나 이외에 아무도 없다'고 보실 때 ... '세간의 삶은 거대한 거친 흐름에 뛰어든 것으로, 거친 흐름으로부터 끌어 내줄 사람이 나 이외에 아무도 없다'고 보실 때 ... '세간의 삶은 두 가지 사악한 견해를 취하여 극단적 견해에 사로잡힌 것이다'고 보실 때 ... '세간의 삶은 세 가지 악한 행위에 의해 타락한 것이다'고 보실 때 ... '세간의 삶은 네 가지 멍에에 묶여 네 가지 멍에에 매여있는 것이다'고 보실 때 ... '세간의 삶은 네 가지 굴레에 매여 있는 것이다'고 보실 때 ... '세간의 삶은 네 가지 집착에 의해 집착하는 것이다'고 보실 때 ... '세간의 삶은 다섯 가지 다른 존재로 나아감에 들어가는 것이다'고 보실 때 ... '세간의 삶은 다섯 가지 욕심의 요인에 의해 물든 것이다'고 보실 때 ... '세간의 삶은 다섯 장애에 의해 가려진 것이다'고 보실 때 ... '세간의 삶은 여섯 가지 다툼의 근본에 의해 다투는 것이다'고 보실 때 ... '세간의 삶은 여섯 가지 갈애의 몸뚱아리에 물이 든 것이다'고 보실 때 ... '세간의 삶은 여섯 가지 사악한 견해에 사로잡힌 것이다'고 보실 때 ...

주)

1. '두 가지 사악한 견해(dvini ditthigatehi)'란 '항상한다는 견해(sassata-ditthi)'와 '단멸한다는 견해(ucchda-ditthi)'를 말한다.

2. '세 가지 악한 행위(tihi duccaritehi.악행)'란 '몸으로 짓는 악행(kayaduccarita)', '입으로 짓는 악행(vaciduccarita)', 뜻(마음)으로 짓는 악행(manoduccarita)'을 말한다. 

3. '네 가지 멍에(catuhi yogehi)'란 '감각적 쾌락에 의한 멍에(kamayogo)', '있음에 의한 멍에(bhavayogo)', '견해에 의한 멍에(ditthiyogo)', '무명에 의한 멍에(avijjayogo)'를 말한다.

4. '네 가지 굴레(catuhi ganthehi)'란 '탐욕(abhijjha)', '성냄(byapado)', '삿된 계에 대한 고집(silabbataparamaso)', '이것만이 진실이다고 여기는 편향된(idamsaccabhiniveso)'를 말한다.

5. '네 가지 집착(catuhi upadanehi)'이란 '감각적 쾌락에 대한 집착(kamupadana)', '견해에 대한 집착(ditthupadana)', '삿된 계에 대한 집착(silabbatupadana)', '내가 존재하나는 주장에 대한 집착(attavadupadana)'를 말한다.

6. '다섯 다른 존재로 나아감'이란 '지옥(nirayo)', '축생(tiracchanayoni)', '아귀(pettivisayo)', '인간(manussa)', '하늘(deva)'의 다섯 존재로 나아가는 것을 말한다.

7. '다섯 감각적 쾌락의 요인(pancahi kamagunehi)'이란 '시각대상(rupa)', '소리(sadda)', '냄새(gandha)', '맛(rasa)', '감촉(photthabba)'을 말한다. 

8. 여섯 다툼의 근본(chahi vivadamulehi)'란 '분노(kodha)와 원한(upanaha)', '위선(makkha)와 무자비함(palasa)', '질투(issa)와 인색함(macchariya)', '교활함(satha)과 속임수(maya)','악함(papa)과 욕심(iccha)', '삿된 견해(micchaditthi)와 세속적인 이익에 대한 고집(sanditthiparamashin)'의 여섯을 말한다.

9. '여섯 갈애의 몸뚱아리(chahi tanhakayehi)'란 '시각대상에 대한 갈애(rupatanha)', '소리에 대한 갈애(saddatanha)', '냄새에 대한 갈애(gandhatanha)', '맛에 대한 갈애(rasatanha)', '감촉에 대한 갈애(photthabbatanha)', '마음현상에 대한 갈애(dhammatanha)'에 의해서 형성된 '갈애의 몸뚱아리'를 말한다.

10. '여섯 가지 사악한 견해(chahi ditthigatehi)'란 '헝클어진 견해(ditthigahana)', '모순된 견해(ditthikantara)', '견해의 불일치(ditthivisuka)', '견해에 의한 분쟁(ditthivipphandita)', '견해에 의한 얽매임(ditthisannojana)'의 여섯을 말한다.


1-7. '세간의 삶은 일곱 가지 잠재적 성향에 의해 혼탁해진 것이다'고 보실 때 ... '세간의 삶은 일곱 가지 얽매임에 의해 묶인 것이다'고 보실 때 ... '세간의 삶은 일곱 가지 교만에 의해 거만해지는 것이다'고 보실 때 ... '세간의 사람은 여덟 가지 세간법에 의해 이어지는 것이다'고 보실 때 ... '세간의 삶은 여덟 가지 삿됨에 의한 결정이다'고 보실 때 ... '세간의 삶은 여덟 가지 잘못된에 의해 타락하는 것이다'고 보실 때 ... '세간의 삶은 아홉 가지 화내는 일에 의해 화내는 것이다'고 보실 때 ... '세간의 삶은 아홉 종류의 교만에 의해 우쭐대는 것이다'고 보실 때 ... '세간의 삶은 아홉 가지 갈애의 뿌리가 되는 법에 의해 물드는 것이다'고 보실 때 ... '세간의 삶은 열 가지 오염된 것에 의해 더러워지는 것이다'고 보실 때 ... '세간의 삶은 열 가지 화내는 일에 의해 화내는 것이다'고 보실 때 ... '세간의 삶은 열 가지 선하지 못한 업의 길에 따르는 것이다'고 보실 때 ... '세간의 삶은 열 가지 얽매임에 의해 매인 것이다'고 보실 때 ... '세간의 삶은 열 가지 삿됨에 의한 결정이다'고 보실 때 ... '세간의 삶은 열 가지 삿된 견해에 의해 묶인 것이다'고 보실 때 ... 세간의 삶은 열 가지 극단에 치우친 견해에 의해 묶인 것이다'고 보실 때 ... '세간의 삶은 백 여덟의 갈애와 백 가지 헛된 논쟁에 의해 헛된 논의에 빠진 것이다'고 보실 때, 붓다.세존께 여러 중생들에 대한 대비가 생긴다. '세간의 삶은 예순 둘의 사악한 견해에 묶인 것이다'고 보실 때, 붓다.세존께 여러 중생들에 대한 대비가 생긴다.

주)

1. '일곱 가지 잠재적 성향(sattanusaya)'이란 본고의 I.마하박가 1.제5장 3절에 나온 바, 중생들이 지닌 일곱 가지 잠재적 성향을 의미하는데, 구체적으로 말하면 '감각적 쾌락의 잠재적 성향', '성냄의 잠재적 성향', '교만의 잠재적 성향', '견해의 잠재적 성향', '견해의 잠재적 성향', '의심의 잠재적 성향', '있음에 대한 탐냄의 잠재적 성향', '무명의 잠재적 성향'등이다.

2. 일곱 얽매임(sattahi sannojanehi)'이란 '친밀함에 의한 얽매임(anunayasamyojana)', '분노에 의한 얽매임(patighasamyojana)', '견해에 의한 얽매임(ditthisamyojana)', '의심에 의한 얽매임(vicikicchasanyojana)', '교만에 의한 얽매임(manasamyojana)', '있음에 대한 탐냄에 의한 얽매임(bhavaragasamyojana)', '무명에 의한 얽매임(avijjasamyojana)'으로 설명된다.

3. '일곱 교만(satta mana)'이란 '교만(mano)', '거만(atimano)', '매우 큰 거만(manatimano)', '무례(omano)', '자기도취(adhimano)', '아만(asmimano)', '삿된 교만(micchamano)'등을 말한다.

4. '여덟의 세간법(attha lokadhamma)'이란 본 고의 I. 마하막가 1.제1장 56절의 각주에 나온 바, '얻음(labha)', '얻지 못함(alabha)', '명예(yasa)', '불명예(ayasa)', '비난(ninda)', '칭찬(pasamsa)', '즐거움(sukha)', '괴로움(dukkha)' 등을 말한다.

5. '여덟 가지 삿됨(attha micchatta)'이란 본 고의 I. 마하박가 1.제1장 64절의 각주에 나온 바, '여덟의 바른 길(팔정도)에 반대되는 것으로, '삿된 견해(micchaditthi)', '삿된 사유(micchasankappa)', '삿된 말(micchavaca)', '삿된 행위(micchakammanta)', '삿된 삶(micchaajiva)', '삿된 정진(micchavayama)', '삿된 마음지킴(micchasati)', '삿된 삼매(micchasamadhi)'를 말한다.

6. '여덟 가지 잘못됨(attha purisadosa)'이란, 예컨대 어떤 비구가 다르 비구의 잘못을 지적할 때, ①그것이 기억이 나지 않는다고 부정한다거나 ②적대시 한다거나 ③말대꾸를 한다거나 회피한다거나 횡설수설한다거나 ⑥충동적인 욕구대로 행한다거나 ⑦승가를 욕되게 한다거나 ⑧속퇴해 버리는 등의 잘못됨을 저지르는 것을 말한다.

7. '아홉 가지 화내는 일(nava aghatavatthu)'에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구절이 있다. "아홉이란 무엇인가? 나에게 이로움이 되지 못했다고 하여 화냄에 묶인다. 나에게 이로우이 되지 못한다고 하여 화냄에 묶인다. 나에게 이로움이 되지 못할 것이라고 하여 화냄에 묶인다. 나에게 사랑스럽고 유쾌한 것이지만, 이로움이 되지 못했고, 이로움이 되지 못하며, 이로움이 되지 못할 것이라고 하여 화냄에 묶인다. 나에게 사랑스럽지도 유쾌하지도 않으면서, 이로움이 되지 못했거나, 이로움이 되지 못하거나, 이로움이 되지 못할 것이라고 하여 화냄에 묶인다. 비구들이여, 이것을 아홉 가지 화내는 일이라 한다. PsA. p423

8. '아홉 종류의 교만(navavidhamana)'에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구절이 있다. '아홉 종류의 교만이 란 무엇인가? 나는 뛰어나고 뛰어나다고 생각하는 교만, 나는 뛰어나되 동등하가고 생각하는 교만, 나는 뒤어나되 열등하다고 생각하는 교만, 나는 동등하되 뛰어나다고 생각하는 교만, 나는 동등하고 동등하다고 생각하는 교만, 나는 동등하되 열등하다고 새각하는 교만, 나는 열등하되 뛰어나다고 생각하는 교만, 나는 열등하되 동등하다고 생각하는 교만, 나는 열등하고 열등하다고 생각하는 교만이 있다. 이들이 아홉 종류의 교만이다. PsA. p423

9. '아홉 가지 갈애의 뿌리(nava tanhamulaka)'란 본 고의 I.마하박가 1.제1장 64절의 각주에 나온 바, ①갈애 ②갈애를 인연으로 한 구함 ③구함을 인연으로 한 얻음 ④얻음을 인연으로 한 분별 ⑤분별을 인연으로 한 욕심과 탐냄 ⑥욕심과 탐냄을 인연으로 한 집착 ⑦집착을 인연으로 한 간직 ⑧간직을 인연으로 한 인색 ⑨인색을 인연으로 한 지킴 등을 말한다. 이들 아홉의 갈애의 뿌리에 수반되어 갖가지 인간사의 다툼과 죄와 허망한 말들이 생겨난다고 한다.

10. '열 가지 오염된 것(dasa kilesavatthuni)'이란 '탐냄(lobho)', '성냄(doso)', '어리석음(moho)', '교만(mano)', '삿된 견해(ditthi)', 이심(vicikiccha)', '혼미함(thinam)', '들뜸(uddhaccam)', '뉘우칠 줄 모름(ahirikam)', '부끄러운 줄 모름(anottappa)'등이다.

11. '열 가지 화내는 일(dasa aghatavatthu)'이란 앞서 '아홉 가지 화내는 일'에서 살펴 보았던 바, '나에게 이로움이 되지 못했다'는 등의 생각을 바꾸지 않아, 또다른 화가 일어나는 것을 말한다. PsA. p425

12. '열 가지 선하지 못한 업의 길(dasa akusalakammapatha)'이란 '생명을 죽이는 것(panatipata)', '주지 않은 것을 취하는 것(adinnadana)', '성적으로 음란한 행위(kamesumicchacara)', '거짓말(musavado)', '이간하는 말(pisuna vaca)', '난폭한 말(pharusa vaca)', '꾸며대는 말(samphappalapa)', '간탐(abhijjha)', '성냄(byapada)', '삿된 견해(micchaditthi)' 등을 말한다.

13. '열 가지 얽매임'이란 앞서 언급한 일곱 얽매임에 '인색함에 의한 얽매임(macchariyasamyojana)', '삿된 계에 대한 고집에 의한 얽매임(silabbataparamasasamyojana)', '질투에 의한 얽매임(issasamyojana)'의 셋을 더한 것을 말한다.

14. '열 가지 삿됨(dasa micchatta)'이란 앞에서 말한 '여덟 가지 삿됨(attha micchatta)'에 '삿된 견해(micchanana)'와 '삿된 해탈(micchavimutti)'의 둘을 더한 것을 말한다.

15. 여기에 나온 '삿된 견해(micchaditthi)', '극단에 치우친 견해(antaggahikayaditthi)', '헛된 논쟁(papanca)', '사악한 견해(ditthigata)'등에 대해서는 본 고의 I.마하박가 2.'견해에 대한 논의'에 자세히 설명되어 있다.


1-8. '나는 건넜지만 세간은 건너지 못하였다. 나는 해탈하였지만 세간은 해탈하지 못하였다. 나는 조복했지만 세간은 조복하지 못했다. 나는 고요한데 세간은 고요하지 못하다. 나는 위안을 얻었는데 세간은 위안을 얻지 못했다. 나는 반열반하였는데 세간은 반열반하지 못하였다. 나는 건넜으므로 거너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해탈했으므로 해탈케 하는 것이 가능하다. 조복했으므로 조복케 하는 것이 가능하다. 고요하므로 고요케 하는 것이 가능하다. 위안을 얻었으므로 위안을 얻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반열반했으므로 반열반케 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보실 때, 붓다.세존께 여러 중생들에 대한 대비가 생긴다. 


이것이 여래의 대비에 이르는 지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