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2528

삼보가 어떠하길래 중생들에게 귀의처가 될 수 있는가

1) 부처님은 어떤분 이시기에 중생들의 귀의처가 되는가? 그 이유는 바로 아래와 같이 거룩하신 분이시기 때문 입니다 (1) 아라항(Araham) 모든 번뇌로 부터 벗어 난 분. 번뇌의 적을 모두 죽인 분. 번뇌가 있을 때 나쁜 습관을 모두 죽인 분 (2) 삼마 삼붓도(Samma Sambuddho) 모든 법을 바르게 직접..

율과 계의 올바른 이해

승가의 수행과 생활 규칙을 정한 것을 율이라고 합니다. 쉽게 말해서 계장이라는 말은은 없지만 율장은 있습니다. 승가의 규칙을 정한 율은 수행승의 수행에 도움이 되지 않는 것들을 스스로 또는 붓다에 의해서 제정 되었지만 많은 율의 조목들이(바라제목차) 재가자(불교도뿐만 아니라 비불교도까지 포함) 들의 비난이나 요청에 의해서 만들어 졌습니다. 승가는 어떠한 경우에도 재가자들의 후원이나 보시없이는 존재할 수가 없고 더욱이 사회적으로 승가라는 존재 자체가 비난의 대상이 된다면 문제가 보통 심각해 지는게 아니지요. 그래서 붓다께서는 재가자들이 조금이라도 수행승을 비난 하거나(많은 부분들이 요즈음 보면 솔직히 불필요 한 조항들입니다) 하면 바로 율로 제정을 했습니다. 승가를 사회의 비난으로부터 보호 함으로써 존재 ..

교리 이야기 2006.03.23

불교인이 보는 기독교

1.서론 언제인가 한 기독교 친구는 나에게 "너는 기독교에 대해 말하지 않는 것이 좋겠다. 아무것도 모르면서.."라고 말했다. 그의 말이 옳다고 생각했다. 나는 지금까지 지나가는 이야기로 기독교에 대해 말하는 일은 있었지만 이번처럼 글로 쓴 일은 한번도 없었다. 그 이유는 내가 믿지 않는 다른 종교를 진정으로 이해한다는 것은 가능하지 않다고 생각했기 때문이었다. 이 글을 청탁 받았을 때 선뜻 승낙할 수 없었던 이유도 그 때문이었다. 그러나 라는 문제를 위해서는 이와같은 글이 필요할 것이라고 생각했다. 기독교와 불교의 올바른..

관세음보살을 지극히 염불하는 마음

만약 무량 백천만억의 중생이 있어서 여러가지 고뇌를 받는 경우, 이 관세음보살의 이름을 듣고 한 마음으로 그 이름을 부른다면 관세음보살은 즉시 그 음성을 觀(관) 하고 모두 해탈함을 얻게 하리라. -법화경 25.관세음보살보문품 - 보살이란 대승불교가 만들어 낸 개념인바, 궁극의 깨달음을 지향하여 수행함과 함께 다른 사람을 구제코져 힘쓰는 사람이다. 이는 부파불교의 교단과 승려들이 자신의 구제에만 전념하여 대중을 망각하는 태도에 반발하여 대승불교 운동을 시작하면서 만들어진 이상적 인간상이다. 현대에 와서는 흔히 보살들이 초인적. 신비적 존재로서 예경의 대상이 수가 많지만 원래의 보살이란 개념은 어디까지나 인간(중생)이어서 다만 한가지 보통의 범부들과 구분되는 것은 오직 깨달음에 대한 지향과 세간사에 대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