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철학』 제52집(2018.4), 209~243쪽 초기불교 공( ) 개념의 수행적 성격 __빠알리 니까야를 중심으로__ 박재은/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 강사. jaeeun8@daum.net Ⅰ 서론. Ⅱ 공의 개념 및 용례. Ⅲ 공의 실현 기법. Ⅳ 수행에 의한 공의 실현. Ⅴ 결론. [요약문] 빠알리어 순냐타(suññatā)는 우리말로 ‘공’, ‘공함’ 또는 ‘공성(空性)’이 라 하는데 무언가 ‘결여’되거나 ‘결핍’되어 있는 상황을 묘사할 때 주로 사 용된다. 공 개념은 기본적으로 수행자들을 해탈로 이끌기 위해 교설되었던 교리와 체험의 장으로서의 기능과 역할을 담당한다. 그런데 공 개념이 실수 (實修)에 반영되고 투영된 결과, ‘공에 머물기’나 ‘공의 실현’이 교설되고 권 장된다. 초기불교 공 개념이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