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기불교 논문및 평론 283

초기불교 공( ) 개념의 수행적 성격/박재은

『인도철학』 제52집(2018.4), 209~243쪽 초기불교 공( ) 개념의 수행적 성격 __빠알리 니까야를 중심으로__ 박재은/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 강사. jaeeun8@daum.net Ⅰ 서론. Ⅱ 공의 개념 및 용례. Ⅲ 공의 실현 기법. Ⅳ 수행에 의한 공의 실현. Ⅴ 결론. [요약문] 빠알리어 순냐타(suññatā)는 우리말로 ‘공’, ‘공함’ 또는 ‘공성(空性)’이 라 하는데 무언가 ‘결여’되거나 ‘결핍’되어 있는 상황을 묘사할 때 주로 사 용된다. 공 개념은 기본적으로 수행자들을 해탈로 이끌기 위해 교설되었던 교리와 체험의 장으로서의 기능과 역할을 담당한다. 그런데 공 개념이 실수 (實修)에 반영되고 투영된 결과, ‘공에 머물기’나 ‘공의 실현’이 교설되고 권 장된다. 초기불교 공 개념이 지..

초기불교에서 본 '무아의 윤회': 업의 자아의 윤회 / 안옥선

1. 들어가는 글 '무아(anattan)와 윤회'라는 병렬식 표현{{ 필자는 '무아와 윤회'라는 '와'를 매개로하는 이러한 병렬식 표현이 불교의 입장을 대변하는 표현일 수 없다고 생각한다. '의'를 사용한 '무아의 윤회'라는 표현이 이 양자의 관계에 대한 불교의 입장을 표현하는 데 더 적합할 것이라..

「선원청규」로부터 본 총림의 식생활 - 율장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이자랑

[동아시아불교문화] 32집, 2017. 12, 255~282 「선원청규」로부터 본 총림의 식생활 - 율장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 이 논문은 2011년도 정부(교육과학기술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연구되었 음[NRF-2011-36-A00008].) 이 자 랑/동국대학교 HK교수 Ⅰ. 서론 Ⅱ. 계율에서 청규로 –자각 종색의 계율관 Ⅲ. 호계(護戒) 에 보이는 불응식․비시식 1. 먹어서는 안 될 음식 2. 비시식과 재죽이시(齋粥二時) Ⅳ. 부죽반(赴粥飯) 에 보이는 발우공양의 특징 1. 정인(淨人)의 역할 2. 끽식법과 중학법 Ⅴ. 결론 본고는 현존하는 최고(最古)의 청규로 알려진 자각 종색(自覺宗賾)의「선 원청규(禪苑淸規)」에 나타나는 식생활을 율장과 비교하며, 양자 간의 유사성 및 청..

초기불교에 나타난 대승공관의 기초/담마끼띠

[인도철학 41집 초기불교에 나타난 대승공관의 기초 『맛지마 니까야의』「소공경」과「대공경」을 중심으로__ 담마끼띠/Bhikkhu Dhammakithi. 동국대학교 불교학과 박사과정 수료 Ⅰ 서언. Ⅱ 공의 意義. Ⅲ 맛지마 니까야(Majjhima Nikāya)의 我空․法空의 이해와 수행관. Ⅳ 결론 요약문 空은 붓다가 설한 다양한 주제 가운데 가장 핵심적인 사상이다. 초기 경전에서는 空의 단어가 여러 차례 언급되는데, 그 중에서도 맛지마 니 까야(Majjhima Nikāya)의『소공경과『대공경』이 가장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맛지마 니까야에서는 무아를 중심으로 공성을 설명하고 있다. 자아에 집착하지 않는다는 견해에 의거해서 공을 관찰하는 것은 초기불 교에서 말하는 최초의 공성이다. 공성은 맛지마 니까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