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기불교 논문및 평론 283

니까야와 구사론에 나타나는 사념처(四念處)의 비교/임승택

[보조사상 40집(2013.8)] 니까야와 구사론에 나타나는 사념처(四念處)의 비교 임 승 택 / 경북대학교 철학과 * 이 논문은 2012학년도 경북대학교 학술연구비에 의하여 연구되었음. ** 이 논문은 동국대학교 개교 100주년(2006년) 기념사업의 일환으로 추진되었던 ‘불교학개념 사전’의 ‘사념처’ 항목으로 최초의 집필이 시도되었다. 그러나 해당 원고를 작성하여 제출한 이후 7년이 지난 현재 사전 발간 작업이 중단되었고, 이러한 상황에서 기존의 원고에 대한 전면적인 수정․보완의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다. 이에 논의의 범위를 니까야와 구사론이라는 두 문헌에 한정하고, 다시 이 범위 안에서 기존에 다루었던 내용을 대폭 수정하는 방식으로 본고를 작성하게 되었음을 밝힌다. 목 차 Ⅰ. 시작하는 말 Ⅱ. 니까..

초기불교의 깨달음과 사회 참여 ─붓다의 재가자 교화를 중심으로/김재성

『불교학연구』 제24호(2009. 12.) 초기불교의 깨달음과 사회 참여 ─붓다의 재가자 교화를 중심으로 ( 본 논문은 불교학연구회 2009년 추계학술대회에서 발표되었고, 이필원 선생, 조준호 선생이 논평에서 소중한 지적을 해주었다. 이 자리를 빌려 논평해주신 두 분께 감사드리며, 논평을 반영하여 수정 보완한 것임을 밝혀둔다.) 김재성/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 1. 들어가는 말 1.1. 선행연구 2. 붓다의 깨달음 2.1. 붓다의 깨달음 2.2. 붓다가 제시한 세 가지 길 3. 붓다의 사회 참여 3.1. 교화 활동의 무대와 안거지(安居地) 3.2. 붓다의 일과(日課) 3.3. 재가자를 위한 가르침 3.3.1. 현세의 삶에서 경험할 수 있는 행복 3.3.2. 가족관계에 대한 특별한 가르침 3.3.3. 재가자가 ..

‘깨달음의 사회화’에 관련한 몇 가지 고찰/조성택

불교학연구 제24호 (2009. 12.) ‘깨달음의 사회화’에 관련한 몇 가지 고찰 조성택/고려대학교 교수 I. 들어가는 말 I-1. 문제의 소재 I-2. ‘깨달음의 사회화’ II. 왜 참여하지 않는가? II-1. 조계종의 역사적 정체성 II-2. 禪的 깨달음의 초월적 성격에 관하여 III. 개혁종단의 ‘깨달음의 사회화 운동’의 성격과 한계 IV. 결론: 法의 불교(dhammic Buddhism)와 業의 불교(kammic Buddhism) Ⅳ. 나가며 [요약문] 초기불교 이래 중생제도(衆生濟度)는 불교의 근본 사명 가운데 하나였으며 이러한 사명은 대승불교 전통에 와서 더욱 강조되어 심 지어 “모든 중생을 다 제도할 때까지 나 자신의 깨달음을 미루겠다” 고 하는 극단적인 선언으로까지 이어졌다. 중생제도가 ..

불교의 사회참여 문제 - 초기불교를 중심으로 -

「동아시아불교문화」제7집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1 불교의 사회참여 문제 - 초기불교를 중심으로 - ( 이 논문은 2008년도 창원대학교 연구비에 의하여 연구되었음.) 이 범 홍/창원대학교 철학과 교수 국문초록 불교계의 사회참여가 최근 매우 활발하다. 소외계층에 대한 봉사활동 에서부터 유아교육, 장애인복지, 다문화가정 노인복지문제에 이르기까 지 폭넓게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활동범위의 폭은 점차 넓어질 것이며, 진보적 정치활동도 예외는 아니라고 생각한다. 본 논문은 이러한 방식 의 사회참여에 대해 초기불교시대의 사상을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분 명히 당시는 전제군주의 절대적 지배력이 강화되고 있던 시대였다. 따 라서 초기불교경전은 국왕의 욕심이나 왕권의 두려움에 대해서 강조하 고 있다. 그러나 각자의..

초기불교에서 오정심관(五停心觀)의 위치/김재성

《불교학연구》제14호(2006.8) 초기불교에서 오정심관(五停心觀)의 위치 김재성 (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 불교학과 교수) Ⅰ. 머리말 인도 부파불교와 대승불교 그리고 동아시아 불교에서 선정 수행의 기초적인 방법으로 제시된 오정심관이라는 수행법이 인도 초기불교 전통에서는 어떠한 위치에 있었는지 알아보는 것이 본 논고의 목적이 다. 오정심관이라는 용어의 어원적인 의미와 각 항목의 개념에 대한 이 해, 그리고 인도초기불전의 용례를 검토하면서 인도불교에서의 오정 심관의 위치에 대한 초기불교의 입장을 살펴본다. 이러한 고찰을 통 해서 오정심관이라는 수행법이 부파불교나 대승불교에서 그리고 중 국불교 전통에서 기초적인 단계의 수행법으로 정립되기 이전에 불교 수행의 핵심을 이루는 수행법의 측면이 있다는 점이 밝혀질 것이..

초기 상좌부 불교의 식문화 고찰

인도철학 제39집(2013.12), 201~234쪽 초기 상좌부 불교의 식문화 고찰 ( 본 논문은 2013년 11월 22일, 인도철학회와 동국대 불교사회문화연구원 주최의 ‘불교전통과 식문화’ 학술대회에서 발표한 것을 수정․보완한 것이다.) 김한상/동국대학교 I 서언. Ⅱ 견분을 행상으로 보는 해석. Ⅲ 상분을 행상으로 보는 해석. IV 견분을 행상으로 보는 해석과 상분을 행상으로 보는 해석의 화회(和會). V 결어. [요약문] 본고의 목적은 중도적 관점에서 초기·상좌부 불교의 식문화를 고찰 하는 것이다. 주지하듯이, 중도(中道)는 극단으로 치우치지 않고 범행 (梵行, brahma-cariya)을 닦는 방식이다. 붓다는 첫 설법에서 다섯 비구들에게 중도를 설하여 감각적 쾌락과 고행이라는 두 극단을 따르지..

초기불전에 나타난 산냐(saññā 想) 개념의 위상/김준호

불교학리뷰(Critical Review for Buddhist Studies) 9권 (2011. 6) 119p~142p 초기불전에 나타난 산냐(saññā 想) 개념의 위상 김준호 (부산대학교 철학과) [국문요약] 이 글은 초기불전에 나타나고 있는 산냐(saññā) 개념의 의미에 대한 하 나의 고찰이다. 산냐 개념은 오온의 세 번째 요소로서 ‘표상, 지각, 판단’ 정도의 의미가 내포되어 있지만, 단독으로 쓰일 경우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자의식을 발생, 확장시키는 토대가 되기도 하지만 지혜를 불러일으키 는 근거로 자리매김 되기도 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 경우에는 주로 명상 수행과 연관성을 맺기도 한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산냐의 의미에 주목하 여 그 의의를 가늠해보려는 작은 시도이다. 연구방법론으..

初期佛敎의 사상적 구조와 실천수행 -『테라가타』를 중심으로

「동아시아불교문화」제22집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5 初期佛敎의 사상적 구조와 실천수행 -『테라가타』를 중심으로 * 이 논문은 부산대학교 자유과제 학술연구비(2년)에 의하여 연구되었음. 김 용 환(부산대) [국문초록] 본 논문은『테라가타』를 중심으로 초기불교 수행자 일반이 가지고 있 던 불타의 敎說에 대한 인식과 태도 그리고 수행․실천을 조명해 본 것 이다. 초기불교에 있어 智慧는 마음의 煩惱를 제거하여 解脫에 이르게 하는 가장 근본적인 수단이요 방법이다. 지혜는 사물과 인생의 實相을 있는 그대로 觀照하는 마음의 작용인데, 敎理上으로는 四聖諦와 無常ㆍ 苦ㆍ無我를 주된 내용으로 하고 있다. 초기불교의 지혜에 관한 문헌적 연구는 森章司에 의해 이미 이루어졌는데, 小論에서는『테라가타』의 韻 文經典을 중심으..

업과 윤회 사상의 일상적 수용 태도/허남결

「인도철학」제26집(2009), 125~149쪽 업과 윤회 사상의 일상적 수용 태도 삶과 죽음의 윤리적 극복 가능성 허남결/ 동국대학교 윤리문화학과 교수 Ⅰ 머리말; 업과 윤회를 보는 윤리적 시각. Ⅱ 업과 윤회는 숙명론적인가? Ⅲ 업과 윤회는 선악의 문제를 설명할 수 있는가? Ⅳ 업과 윤회를 어떻게 증명할 것인가? Ⅴ 맺음말; 업과 윤회사상을 어떤 관점에서 받아들여야 할 것인가? [요약문] 실천윤리학의 입장에서 보면 업과 윤회는 불교적인 삶의 방식을 일 상적인 의미로 알기 쉽게 풀어 놓은 것에 불과하다. 물론 이와 관련된 다양한 논의들이 오랫동안 있어 왔으며 불교적 전통들마다 약간씩 해석 을 다르게 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도 잘 알고 있다. 그러나 지금 시점에 서 우리가 해야 할 일은 그것의 형이상학적 ..

초기불교 및 상좌불교에서 죽음의 명상/김재성

『불교학연구』제16호(2007.4) 초기불교 및 상좌불교에서 죽음의 명상 김 재성(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 불교학과 교수) I. 머리말 불교는 생로병사(生老病死)를 포함한 모든 괴로움을 소멸시키기 위해 제시된 가르침이다. 사성제 대표되는 초기불교의 가르침의 궁극적인 목적은 바로 ‘괴로움의 소멸의 진리’인 멸성제 즉 열반의 실현에 있다. 열반이란 불사(不死, amata), 적정(寂靜, santi), 무사(無死, amaccu)와 동의어이다.1) 불교의목적을 이루는 일은 바로 죽음을 극복한 상태를 이룬 것이 된다. 따라서 죽음은 초기불교의 핵심적인 가르침과 직결되어 있다. 1) “chandarāgaviratto so bhikkhu paññāṇavā idha ajjhagā amataṃ santiṃ nibbānapad..

초기불교의 호흡 명상법에 대한 고찰

불교학연구(Journal for Buddhist Studies) 제47호(2016.06) pp. 109∼134 초기불교의 호흡 명상법에 대한 고찰 -호흡명상의 다양한 위상을 중심으로- * 이 논문은 2014년 정부(교육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NRF-2014S1A5B6A02049047) 이필원/동국대학교(경주) 파라미타칼리지 조교수 I. 들어가는 말 II. 초기경전 속에 나타난 호흡명상법 III. 결론 [요약문] 오늘날 우리에게 알려진 명상법은 대단히 다양하다. 그 가운데 무엇이 더 좋은가는 개인적 기질이나 성향에 달린 문제이기에 무엇이 더 좋다고 말하기는 쉽지 않다. 그러나 그 많은 명상법 가운데 누구나 접근하기 쉽고, 종교적 성향에 관계없이 할 수 있는 명상법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