빠띠삼비다막가(Patisambhidamagga) 95

마하박가(mahabhagga) - 제44장 전생에 대해 기억하는 지혜

전생에 대해 기억하는 지혜 1-1. 「분산되어 있거나 하나로 모아진 업의 두루함의 힘에 의해 연(緣)으로부터 생겨난 제법에 몰입하는 데서의 혜로서 전생에 대해 기억하는 지혜가 있다」는 것은 어떻게 해서인가? 여기에 한 비구가 있어, 바램에 의한 삼매 ... 유연케 한 후, 감당해 내어, ..

마하박가(mahabhagga) - 제43장 다른 이의 마음을 아는 지혜

다른 이의 마음을 아는 지혜 1-1. 「세 가지 마음의 두루함을 얻어 맑아진 지각능력(根)의 힘에 의해 분산되어 있거나 하나로 모아진 의식의 작용이 있는 바, 그것에 몰입하는 데서의 혜로서 다른 이의 마음을 아는 지혜에 속한다」는 것은 어떻게 해서인가? 주) '세 가지 마음(tinnam cittanam)'이란 본문 중에 나오는 '이러한 모습은 기쁨의 근을 일으키는 것이고, 이러한 모습은 근심의 근을 일으키는 것이고, 이러한 모습은 평정의 근을 일으키는 것이다(idam rupam somanassindriasamutthitam, idam rupam domanassindriyasamutthitam, idam rupam upekkhindriyasamutthitan)'라고 알아차리는 마음을 말한다. PsA p.3..

마하박가(mahabhagga) - 제42장 청정한 귀의 계로 이루어진 지혜

청정한 귀의 계(界)로 이루어진 지혜 1-1. 「사유가 두루한 힘에 의해 분산되어 있거나 하나로 모아진 소리의 징후(因相)에 몰입하는 데서의 혜로서 청정한 귀의 계로 이루어진 지혜가 있다」는 것은 어떻게 해서인가? 주) 여기에서 언급되는 '사유가 두루한 힘(vitakkavippharavasena)'이 구체적으로 무엇을 말하는지에 대해서 이어지는 본문의 내용만으로는 명확하게 드러나지 않는다. 이와 관련하여 III.빤냐박가 6.2-2절에 등장하는 바, "거친 사유와 미세한 사유를 통한 거친 사유와 미세한 사유에 의한 소리를 듣고 지적한다. 그대의 생각은 이와 같으며, 또한 그대의 생각은 그와 같으며, 또한 그대의 마음은 그러하다고. 그는 많은 것을 지적하지만, 바로 그와 같아서 틀림이 없다(vitakkaya..

마하박가(mahabhagga) - 제40장 진리에 의한 물러남의 지혜

진리에 의한 물러남의 지혜 1. 「여실함의 의미에 관련한 혜로서 진리에 의한 물러남의 지혜가 있다」는 것은 어떻게 해서인가? '괴로움에서 상해의 의미. 유위의 의미. 뜨거움의 의미. 달라짐의 의미를 완전히 알아 물러난다'는 것으로, 이것은 여실함의 의미에 관련한 혜로서 진리에 의한 물러남의 지혜에 속한다. '일어남(集)에서 지속하는 힘의 의미. 인연의 의미. 속박의 의미. 장애의 의미를 끊어 물러난다'는 것으로, 이것은 여실함의 의미에 관련한 혜로서 진리에 의한 물러남의 지혜에 속한다. '소멸에서 벗어남의 의미. 분리의 의미. 무위의 의미. 죽지 않음의 의미를 겪어 알아 물러난다'는 것으로, 이것은 여실함의 의미에 관련한 혜로서 진리에 의한 물러남의 지혜에 속한다. '길(道)에 있어 나감의 의미. 원인의..

마하박가(mahabhagga) - 제39장 해탈에 의한 물러남의 지혜

해탈에 의한 물러남의 지혜 1. 「내놓는데서의 혜로서 해탈에 의한 물러남의 지혜가 있다」는 것은 어떻게 해서인가? '떠남에 의해 감각적 쾌락에 대한 바램을 내놓는다'는 것으로, 이것은 내놓는 데서의 혜로서 해탈에 의한 물러남의 지혜에 속한다. '성내지 않음에 의해 성냄을 내놓는..

마하박가(mahabhagga) - 제38장 지혜에 의한 물러남의 지혜

지혜에 의한 물러남의 지혜 1. 「공성에 관한 혜로서 지혜에 의한 물러남의 지혜가 있다」는 것은 어떻게 해서인가? '눈은 나, 나의 것, 항상하는 것, 견고한 것, 영원한 것, 달라지지 않은 것이라는 면에서 공하다고 여실하게 알고 보아, 눈에 관련한 편향됨으로부터 지혜로써 물러난다'는..

마하박가(mahabhagga) - 제37장 마음에 의한 물러남의 지혜

마음에 의한 물러남의 지혜 1. 「마음굳힘에서의 혜로서 마음에 의한 물러남의 지혜가 있다」는 것은 어떻게 해서인가? '감각적 쾌락에 대한 바램을 끊어 떠남의 힘에 의해 마음을 굳힌다'는 것으로, 이것은 마음굳힘에서의 혜로서 마음에 의한 물러남의 지혜에 속한다. '성냄을 끊어 성..

마하박가(mahabhagga) - 제36장 의도에 의한 물러남의 지혜

의도에 의한 물러남의 지혜 1. 「분산됨에 관한 혜로서 의도(想)에 의한 물러남의 지혜가 있다」는 것은 어떻게 해서인가? '감각적 쾌락에 대한 바램은 분산됨이고, 떠남(출리)은 하나됨인 바, 떠남의 하나됨을 의도할 때, 감각적 쾌락에 대한 바램으로부터 마음이 물러난다'는 것으로, 이..

마하박가(mahabhagga) - 제35장 지각에 의한 물러남의 지혜

제35장 지각에 의한 물러남의 지혜 1-1. 「탁월함으로부터의 혜로서 지각(想)에 의한 물러남의 지혜가 있다」는 것은 어떻게 해서인가? '떠남(출리)의 탁월함에서 기인하는 혜는 감각적 쾌락에 대한 바램을 내용으로 하는 지각으로부터 물러난다'는 것으로, 이것은 탁월함으로부터의 혜로..

마하박가(mahabhagga) - 제34장 일정한 경지에 머무름에 관련한 지혜

일정한 경지에 머무름에 관련한 지혜 1-1. 「모음에서의 혜로서 일정한 경지에 머무름에 관련한 지혜가 있다」는 것은 어떻게 해서인가? 주) '모음(samodahana, samodhana)'이란 '함께 아래로 두다'는 원어적 의미를 지니며, 일정한 틀에 맞추어 '적용하다'.'실행하다'라는 의미로 사용된다. 한역..

마하박가(mahabhagga) - 제33장 몰입의 지혜

몰입의 지혜 1. 「접촉으로부터의 혜로서 몰입의 지혜가 있다」는 것은 어떻게 해서인가? '물질적 요소(색)을 무상으로 접촉하고, 물질적 요소를 괴로움으로 접촉하고, 물질적 요소를 무상로 접촉하는 바, 무릇 접촉한다는 것은 곧 몰입한다'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접촉으로부터의 혜로서 몰입의 지혜가 있다. '감수작용을 ··· 지각작용을 ··· 형성작용을 ··· 식별작용을 ··· 눈을 ··· 늙음과 죽음을 무상으로 접촉하고, 늙음과 죽음을 괴로움으로 접촉하고, 늙음과 죽음을 무아로 접촉하는 바, 무릇 접촉한다는 것은 곧 목입한다'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접촉으로부터의 혜로서 몰입의 지혜가 있다. 그와 같이 알고 있다는 의미에서 지혜이며, 알아차린다는 의미에서 혜이다. 그러므로 말한다. 「접촉으로부터의 혜로서 몰입의..

마하박가(mahabhagga) - 제32장 감내의 지혜

감내의 지혜 1. 「알게된 것으로부터의 혜로서 감내의 지혜가 있다」는 것은 어떻게 해서인가? '물질적 요소(색)를 무상으로 알게 되었고, 물질적 요소를 괴로움으로 알게 되었고, 물질적 요소를 무아로 알게 되었다는 것으로, 무릇 알게 되었다는 곧 감내한다'는 것이다. 이와 같이 알게된 것으로부터의 혜로서 감내의 지혜가 있다. '감수작용을 ··· 지각작용을 ··· 형성 작용을 ··· 식별작용을 ··· 눈을 ··· 늙음과 죽음을 무상으로 알게 되었고, 늙음과 죽음을 괴로움으로 알게 되었고, 늙음과 죽음을 무아로 알게 되었다는 것으로, 무릇 알게 되었다는 것은 곧 감내한다'는 것이다. 그와 같이 알게 된 것으로부터의 혜로서 감내의 지혜가 있다. 그와 같이 알고 있다는 의미에서 지혜이며, 알아차린다는 의미에서 혜..

마하박가(mahabhagga) - 제31장 봄에 있어서의 청정한 지혜

봄에 있어서의 청정한 지혜 1-1. 「일체의 법을 하나로 모아 분산됨과 하나됨을 꿰뚫는 데서의 혜로서 봄(見)에 있어서의 청정한 지혜가 있다」는 것은 어떻게 해서인가? '일체의 법'이란 다섯 온, 열 둘의 터전(十二處), 열 여덟의 계(十八界), 선한 법, 선하지 않은 법, 무기의 법, 감각적 쾌락의 영역에 속한 법, 물질적 현상의 영역에 속한 법, 물질적 현상을 지니지 않은 영역에 속한 법, 출세간의 법이다. '하나로 모음'이란 열 두 가지 모습으로 일체의 법을 하나로 묶는다는 것이다. 여실함의 의미로, 무아의 의미로, 진리의 의미로, 꿰꿇음의 의미로, 철저한 앎의 의미로, 완전한 앎의 의미로, 법의 의미로, 계(界)의 의미로, 지혜의 의미로, 겪음을 통한 앎의 의미로, 접촉의 의미로, 명료한 앎의 의..

마하박가(mahabhagga) - 제30장 의미를 드러내는 지혜

의미를 드러내는 지혜 1. 「여러 가지 법을 알리는 혜로서 의미를 드러내는 지혜가 있다」는 것은 어떻게 해서인가? '여러 가지 법'이란 다섯 온, 열 둘의 터전(十二處), 열 여덟의 계(十八界), 선한 법, 선하지 않은 법, 무기의 법, 감각적 쾌락의 영역에 속한 법, 물질적 현상의 영역에 속한 법, 물질적 현상을 지니지 않은 영역에 속한 법, 출세간의 법이다. 2. '드러냄'이란 물질적 요소(色)를 무상으로 드러나게 한다는 것이다. 물질적 요소를 괴로움으로 드러나게 한다는 것이다. 물질적 요소를 무아로 들어나게 한다는 것이다. 감수작용(受)을 ··· 지각작용(想)을 ··· 형성작용(行)을 ··· 식별작용(識)을 ··· 눈을 ··· 귀를 ··· 코를 ··· 혀를 ··· 몸을··· 마음을 ··· 늙음과 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