빠띠삼비다막가(Patisambhidamagga) 95

마하박가(mahabhagga) - 4. 근(根)에 관한 논의 - 첫 번째 품

첫 번째 품 1. 나는 이와 같이 들었다. 한때에 세존께서는 사밧띠의 젯타 숲에 있는 아나타삔디카 승원에 머물고 계셨다. 거기에서 세존께서는 비구들에게 말씀하셨다. '비구들이여'라고. 그러자 비구들도 받들었다. '존귀하신 이여'라고. 세존께서는 이와 같이 말씀하셨다. '비구들이여, 다섯 근(根)이 있다. 다섯 근(五根)이란 무엇인가? 믿음의 근(信根), 정진의 근(精進根), 마음새김(마음챙김)의 근(念根), 삼매의 근(定根), 혜의 근(慧根)이다. 비구들이여, 이들이 다섯 근이다.' 2-1. 이들 다섯 근은 몇 가지의 모습(行相)에 의해 청정해지는가? 이들 다섯 근은 15가지 모습에 의해 청정해진다. 믿음이 없는 사람들을 멀리하고, 믿음을 지닌 사람들을 가까이 하며, 의지하며, 공경하며, 믿음을 고양하는..

마하박가(mahabhagga) - 들숨과 날숨에 관한 논의 - 세 번째 품

세 번째 품 53. 「'기쁨을 느끼며 마시겠노라' 익히고, '기쁨을 느끼며 내쉬겠노라' 익힌다」는 것은 어떻게 해서인가? 기쁨이란 무엇인가? 긴 들숨의 힘에 의해 마음의 하나됨과 산란하지 않음을 알아차릴 때 기쁨에 의한 환희가 ... 긴 날숨의 힘에 의해, 짧은 들숨의 힘에 의해, 짧은 날숨의 힘에 의해, 온 몸을 느끼는 들숨의 힘에 의해, 온 몸을 느끼는 날숨의 힘에 의해, 육체적 현상을 가라앉히는 들숨의 힘에 의해, 육체적 현상을 가라앉히는 날숨의 힘에 의해 마음의 하나됨과 산란하지 않음을 알아차릴 때, 기쁨에 의한 환희가 일어난다. 기쁨에의한 환희. 만족. 즐거움. 유쾌함. 명랑함. 행복. 희열. 마음의 흡족함. 이것이 곧 기쁨이다. 54-1. 「그러한 기쁨을 꿰뚫게 된다」는 것은 어떻게 해서인가?..

마하박가(mahabhagga) - 들숨과 날숨에 관한 논의 - 두 번째 품

두 번째 품 32. 32가지 마음챙김을 행하는 지혜란 무엇인가? 여기에 한 비구가 있어, 아란냐에 머물거나, 나무 아래에 머물거나, 비어있는 곳에 머물면서, 가부좌를 하고 앉아, 몸을 똑바로 세우고, 면전에 마음챙김을 확립한다. 그리고 나서 그는 마음을 지키며 마시고, 마음을 지키며 내쉰다. 길게 마실 때에는 '길게 마신다'고 알아차린다. 길게 내쉴 때에는 '길게 내쉰다'고 알아차린다. 짧게 마실 때에는 '짧게 마신다'고 알아차린다. 짧게 내쉴 때에는 '짧게 내쉰다'고 알아차린다. '온 몸을 느끼면서 마시겠노라'고 익힌다. '온 몸을 느끼면서 내쉬겠노라'고 익힌다. '육체적 현상(身行)을 가라앉히면서 마시겠노라'고 익힌다. '육체적 현상을 가라앉히면서 내쉬겠노라'고 익힌다. 여기에 한 비구가 있어, 아란..

마하박가(mahabahgga) - 3. 들숨과 날숨에 관한 논의 - 첫 번째 품

첫 번째 품 1. 16가지 항목의 들숨과 날숨에 관한 마음지킴(챙김.새김.알아차림)으로 삼매를 닦을 때, 200가지가 넘는 지혜가 일어난다. 즉 여덟가지 장애에 관한 지혜, 여덟가지 이익됨에 관한 지혜, 18가지 따라 생겨나는 번뇌에 관한 지혜, 13가지 청정한 지혜, 32가지 마음지킴을 행하는 지혜, 24가지 삼매의 힘에 의한 지혜, 72가지 위빠싸나의 힘에 의한 지혜, 여덟가지 싫어하여 더나는 지혜, 여덟가지 싫어하여 떠남에 따르는 법에 관한 지혜, 여덟가지 싫어하여 떠나 그치는 법에 관한 지혜, 21가지 해탈의 즐거움에 대한 지혜가 있다. 주) PsA에서는 '16가지 항목의 들숨과 날숨에 대한 마음지킴(入出息念.입출식염)'의 구체적인 내용을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16항목이란 다음과 같다. ..

마하박가(mahabhagga) - 2. 견해에 대한 논의(ditthikatha)

2. 견해에 대한 논의 (ditthikatha) 1. 견해(見)란 무엇인가? 몇 가지의 견해의 일어남이 있는가? 몇 가지의 견해에 의한 매임이 있는가? 몇 가지의 견해가 있는가? 몇 가지의 견해에 의한 편향됨이 있는가? 견해의 일어남을 근절한다는 것은 무엇인가? 견해란 무엇인가? 견해란 편향됨에 의한 고집(取着.취착)이 있다. 몇 가지의 견해의 일어남이 있는가? 여덟 가지 견해의 일어남이 있다.몇 가지 견해에 의한 매임이 있는가? 18가지 견해에 의한 매임이 있다.몇 가지 견해가 있는가? 16가지 견해가 있다.몇 가지 견해에 의한 편향됨이 있는가? 300가지 견해에 의한 편향됨이 있다.견해의 일어남을 근절한다는 것은 무엇인가? 흐름에 나아가는 경지(예류도)는 견해의 일어남을 근절하는 것이다. 주) 편향됨..

마하박가(mahabhagga) - 제54장 일체를 아는 지혜

일체를 아는 지혜 1. 여래의 일체를 아는 지혜란 무엇인가? '일체의 유위와 무위와 출세간을 안다'는 의미에서 일체를 아는 지혜이다. '거기에 장애가 없다'는 의미에서 장애없는 지혜(anavarananana)이다. '과거의 일체를 안다'는 의미에서 일체를 아는 지혜이다. '거기에 장애가 없다'는 의미에서 장애없는 지혜이다. '미래의 일체를 안다'는 의미에서 일체를 아는 지혜이다. '거기에 장애가 없다'는 의미에서 장애없는 지혜이다. '현재의 일체를 안다'는 의미에서 일체를 아는 지혜이다. '거기에 장애가 없다'는 의미에서 장애없는 지혜이다. '눈과 시각대상의 그 일체를 안다'는 의미에서 일체를 아는 지혜이다. '거기에 장애가 없다'는 의미에서 장애없는 지혜이다. '귀와 소리와 ... 코와 냄새 ... 혀..

마하박가(mahabhagga) - 제52장 짝을 이룬 신통의 지혜

짝을 이룬 신통의 지혜 1-1. 여래의 짝을 이룬 신통의 지혜(yamaka patihire nanam. 쌍신변지)란 무엇인가? 여기에서 여래는 성문들에게 공통되지 않는 짝을 신통 신통(쌍신변)을 행한다. 몸의 정수리로부터 불덩이를 일으키며, 몸의 맨 아랫 쪽으로부터 품어져 나오는 물을 일으킨다. 몸의 맨 아..

마하박가(mahabhagga) - 제51장 중생들이 일삼는 것과 잠재적 성향에 대한 지혜

중생들이 일삼는 것과 잠재적 성향에 대한 지혜 1. 여리가 지닌, 중생들이 일삼는 것과 잠재적 성향에 대한 지혜란 무엇인가? 주) 1. '일삼는 것(asaya)'이라는 말은 한역어로 보통 '의요"라 번역된다. 우리에게 익숙치 않은 표현이지만, 산스끄리뜨어의 'asraya'와 동의어라는 점을 생각할 때 ..

마하박가(mahabhagga) - 제50장 근기의 높고 낮음에 대한 지혜

근기의 높고 낮음에 대한 지혜 1. 여래가 지닌 근기의 높고 낮음에 대한 지혜란 무엇인가? 주) 1. 본 장 이하의 '여섯 지혜'는 성문에게는 없고, 여래에게만 있sms 지혜이다. 따라서 지금까지 설명한 지혜와 구분하기 위하여 '여래(tathagatassa)'라는 표현이 등장한 것이다.다. 여기에 나온 '높고..

마하박가(mahabhagga) - 제49장 의미. 법. 언어. 표현에 대한 분석적 통찰의 지혜

1-1. 「의미에 대한 분석적 통찰에 관련한 지혜가 있고, 법에 대한 분석적 통찰에 관련한 지혜가 있고, 언어에 대한 분석적 통찰에 관련한 지혜가 있고, 표현에 대한 분석적 통찰에 관련한 지혜가 있다」는 것은 어떻게 해서인가? 의미(義)에 관련한 지혜로서 의미에 대한 분석적 통찰의 지..

마하박가(mahabhagga) - 제48장 고통.일어남.소멸.길에 관련한 지혜

고통(괴로움).일어남.소멸.길(도)에 관련한 지혜 1. 「고통에 대한 지혜가 있고, 고통의 일어남에 대한 지혜가 있고, 고통의 소멸에 대한 지혜가 있고, 고통의 소멸에 이르는 길에 대한 지혜가 있다」는 것은 어떻게 해서인가? 나아감을 올바로 성취한 자의 지혜로서 그러한 고통에 대한 지..

마하박가(mahabhagga) - 제47장 네 가지 진리에 관련한 지혜

네 가지 진리에 관련한 지혜 1. 「완전한 앎의 의미에 관련한 혜로서 괴로움에 대한 지혜가 있고, 끊음의 의미에 관련한 혜로서 일어남(집)에 대한 지혜가 있고, 겪음을 통한 앎의 의미에 관련한 혜로서 소멸에 대한 지혜가 있고, 닦음의 의미에 관련한 혜로서 길(도)에 관련한 지혜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