빠알리어 경전/상윳따 니까야 205

제49상윳따 - 제4장 추구 품(SN49:35-SN49:44. Esanā-vagga)

제4장 구함(추구) 품 Esanā-vagga esanādisuttadasakaṃ (SN 49.35-44-추구 경 등 10개)685-694. “비구들이여, 이런 세 가지 추구가 있다. 어떤 세 가지인가? 감각적 쾌락의 추구, 존재의 추구, 청정범행의 추구이다. 비구들이여, 이것이 세 가지 추구이다. 비구들이여, 이 세 가지 추구를 철저하게 알기 위해서는 네 가지 바른 노력을 닦아야 한다. 어떤 네 가지인가?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는 아직 생겨나지 않은 삿되고 선하지 않는 법을 생겨나지 않게 하기 위하여 바램을 일으키고 노력하며 정진을 행한다. 마음을 잡아 힘쓴다. 비구는 이미 생겨난 삿되고 선하지 않은 법을 끊기 위하여 바램을 일으키고 노력하며 정진을 행한다. 마음을 잡아 힘쓴다. 비구는 아직 생겨나지 않..

제49상윳따 - 제3장 힘쓰는 일 품(SN49:23-SN49:34. Balakaraṇīya-vagga)

제3장 힘쓰는 일 품 Balakaraṇīya-vagga balakaraṇīyādisuttadvādasakaṃ (SN 49.23-34-힘 경 등 12개)673-684. “예를 들면, 비구들이여, 어떤 일이든 힘쓰는 일들을 할 때는 모두 반드시 땅을 의지하고 땅에 확고하게 서서 힘쓰는 일들을 하는 것과 같다. 비구들이여, 그와 같이 비구는 계를 의지하고 계에 확고하게 서서 네 가지 바른 노력을 닦고 네 가지 바른 노력을 많이 익히고 행한다. 비구들이여, 그러면 방일하지 않는 비구는 어떻게 네 가지 바른 노력을 닦고 네 가지 바른 노력을 많이 익히고 행하는가? 비구는 아직 생겨나지 않은 삿되고 선하지 않는 법을 생겨나지 않게 하기 위하여 바램을 일으키고 노력하며 정진을 행한다. 마음을 잡아 힘쓴다. 비구는 이..

제49주제 - 제2장 불방일 품(SN49:13-SN49:22. Appamāda-vagga

제2장 불방일 품 Appamāda-vagga tathāgatādisuttadasakaṃ (SN 49.13-22-여래 등 열 개의 경)“비구들이여, 예를 들면 중생이 발이 없건, 두 발이건, 네 발이건, 여러 발이건, 물질을 가졌건, 물질을 갖지 않았건, 인식이 있건, 인식이 없건, 인식이 있는 것도 아니고 없는 것도 아니건, 그 모든 중생들에 관한 한 여래.아라한.정등각자가 그들 가운데서 으뜸이라 불린다. 비구들이여, 그와 같이 선한 법[善法]들은 그것이 어떤 것이든 간에 모두 불방일을 뿌리로 하고 불방일로 모이고 불방일이 그들 가운데 으뜸이라 불린다. 비구들이여, 불방일한 비구에게 이것이 예상된다. ‘네 가지 바른 노력을 닦을 것이고 네 가지 바른 노력을 많이 행할 것이다.’ 비구들이여, 불방일한 비구..

제49주제 - 바른 노력 상윳따(Sammappadhāna-saṁyutta) - 제1장 강가 강의 반복(SN49:1-SN49:12. Gaṅgāpeyyāla)

제49주제(S49) 바른 노력 상윳따 Sammappadhāna-saṁyutta제1장 강가 강의 반복 Gaṅgāpeyyāla pācīnādisuttadvādasakaṃ (SN 49.1-12-동쪽 경 등 12개) 651-662.사왓티에서 설해짐. 거기에서 세존께서는 이렇게 말씀하셨다. “비구들이여, 이런 네 가지 바른 노력[四正勤.사정근]이 있다. 어떤 네 가지인가? 여기, 비구들이여, 비구는 아직 생겨나지 않은 삿되고 선하지 않은 법[不善法]을 생겨나지 않게 하기 위하여 바램을 일으키고 노력하며 정진을 행한다. 마음을 잡아 힘쓴다. 비구는 이미 생겨난 삿되고 선하지 않은 법을 끊기 위하여 바램을 일으키고 노력하며 정진을행한다. 마음을 잡아 힘쓴다. 비구는 아직 생겨나지 않은 선한 법을 생겨나게 하기 위하여..

제48상윳따 - 제11장 폭류 품(S48:106-S48:115. Ogha-vagga)

제11장 거친(폭류) 품 Ogha-vagga oghasuttaṃ (SN 48.106-폭류 경) “비구들이여, 네 가지 폭류(거친 흐름)가 있다. 무엇이 넷인가? 감각적 쾌락에 의한 폭류, 존재에 의한 폭류, 견해에 의한 폭류, 무명에 의한 폭류이다. 비구들이여, 이러한 네 가지 폭류가 있다. 비구들이여, 이러한 네 가지 폭류를 철저하게 알기 위해서는 다섯 가지 기능을 닦아야 한다. 그러면 어떤 다섯 가지 기능을 닦는가? 여기 비구는 분리됨에 의지하고 탐욕의 떠남에 의지하고 소멸에 의지하고 내놓음에 이르는 믿음의 기능을 닦는다. ··· 정진의 기능을 닦는다. ··· 마음챙김의 기능을 닦는다 ··· 삼매의 기능을 닦는다. ··· 혜의 기능을 닦는다. 여기 비구는 탐욕의 길들임에 이르고 성냄의 길들임에 이르고..

제48상윳따 - 제10장 강가 강의 반복(A48:94-A48:105. Gaṅgā-peyyāla)

제10장 강가 강의 반복 Gaṅgā-peyyāla  본 품의 12개 경들은 「도 상윳따」(SN45) 제10장 「두 번째 강가 강의 반복」 12개 경들과 같은 방법으로 설해지고 있음. 본 품에 포함된 경들의 목록은 다음과 같다.①~⑥동쪽으로 흐름. ⑦~⑫바다. 이처럼 6가지가 두 번 있어서 모두 12가지가 설해졌다.

제48상윳따 - 제9장 폭류 품(SN48:83-SN48:93. Ogha-vagga)

제9장 거친 흐름(폭류) 품 Ogha-vagga oghadisuttadasakam (SN 48.83-93-폭류 등 열 개의 경)사왓티에서 설해짐. “비구들이여, 네 가지 폭류(거친 흐름)가 있다. 무엇이 넷인가? 감각적 쾌락에 의한 폭류, 존재에(있음에) 의한 폭류, 견해에 의한 폭류, 무명에 의한 폭류이다. 비구들이여, 이러한 네 가지 폭류가 있다. 비구들이여, 이러한 네 가지 폭류를 철저하게 알기 위해서는 다섯 가지 기능을 닦아야 한다. 그러면 어떤 다섯 가지 기능을 닦아야 하는가?여기 비구는 분리됨에 의지하고 탐욕의 떠남에 의지하고 소멸에 의지하고 내놓음에 이르는 믿음의 기능을 닦는다.  여기 비구는 분리됨에 의지하고 탐욕의 떠남에 의지하고 소멸에 의지하고 내놓음에 이르는 정진의 기능을 닦는다.  ..

제48상윳따 - 제8장 강가 강의 반복(SN48:71-SN48:82. Gaṅgā-peyyāla)

제8장 강가 강의 반복Gaṅgā-peyyāla (SN 48.71-82) pacinadisuttadvadasakam (SN 48.71-82-동쪽으로 흐름 등 12개 경)541-552. 사왓티에서 설해짐. "예를 들면, 비구들이여, 강가 강은 동쪽으로 흐르고 동쪽으로 향하고 동쪽으로 들어간다. 이렇게, 비구들이여, 비구가 다섯 가지 기능을 닦고 다섯 가지 기능을 많이 행하면(익히면) 그는 열반으로 흐르고 열반으로 향하고 열반으로 들어간다. 그러면, 비구들이여, 비구가 어떻게 다섯 가지 기능을 닦고 다섯 가지 근을 많이 행하면 그는 열반으로 흐르고 열반으로 향하고 열반으로 들어가는가? 여기 비구는 분리됨에 의지하고, 탐욕의 떠남에 의지하고, 소멸에 의지하고, 내놓음에 이르는 믿음의 기능을 닦는다. 여기 비구는..

제48상윳따 - 제7장 보리분(조도) 품(SN48:61-SN48:70. Bodhipakkhiya-vagga)

제7장 보리분 품 Bodhipakkhiya-vagga (SN 48.61-70) saṁyojanasuttam (SN 48.61-족쇄 경)531. 사왓티에서 설해짐. “비구들이여, 닦고 많이 행한 이런 다섯 가지 기능은 족쇄들의 버림으로 이끈다. 어떤 다섯인가? 믿음의 기능, 정진의 기능, 마음챙김의 기능, 삼매의 기능, 혜의 기능이다. 비구들이여, 닦고 많이 행한 이런 다섯 가지 기능은 족쇄들의 버림으로 이끈다.”    anusayasuttam (SN 48.62-잠재성향 경)532. “비구들이여, 닦고 많이 행한 이런 다섯 가지 기능은 잠재성향의 뿌리 뽑음으로 이끈다. 어떤 다섯인가? 믿음의 기능, 정진의 기능, 마음챙김의 기능, 삼매의 기능, 혜의 기능이다. 비구들이여, 닦고 많이 행한 이런 다섯 가지 ..

제48상윳따 - 제6장 수까라카타 품(S48:51-S48:60. Sūkarakhata-vagga)

제6장 수까라카타 품 Sūkarakhata-vagga (SN 48.51-60)sālāsuttam (SN 8.51-살라 경)521.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한 때에 세존께서는 꼬살라에서 살라의 바라문 마을에 머물고 계셨다. 거기에서 세존께서는 비구들에게 말씀하셨다. "비구들이여" 라고. 그러자 비구들도 받들었다. "세존(존귀하신)이시여" 라고. 세존께서는 이렇게 말씀하셨다.  “예를 들면, 비구들이여, 그 어떤 동물들이라도 동물의 왕 사자가 힘으로든 속력으로든 용감함으로든 그들 가운데 으뜸이라 불리는 것과 같다. 이처럼, 비구들이여, 그 어떤 깨달음의 편에 있는 법들이라도 깨달음을 위해서는 혜의 기능이 그들 가운데서 으뜸이라 불린다. 비구들이여, 그러면 어떤 것이 깨달음의 편에 있는 법들인가? 비구들이여..

제48상윳따 - 제5장 늙음 품(SN48:41-SN48:50. Jarā-vagga)

제5장 늙음 품 Jarā-vagga (SN 48.41-50) jarādhammasuttaṃ (SN 48.41-늙음의 법을 지닌 경)511.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한 때에 세존께서는 사왓티에서 동쪽 숲에 있는 미가라마따(녹자모) 강당에 머물고 계셨다. 그 무렵 세존께서는 해거름에 홀로 머묾에서 일어나셔서 석양의 햇살을 등에 지고 앉아 계셨다. 그때 아난다 존자가 세존께 다가갔다. 가서는 세존께 경의를 표하고 세존의 사지를 손으로 문지르면서 이렇게 말씀드렸다. “경이롭습니다, 세존이시여. 놀랍습니다, 세존이시여! 세존이시여, 이제 세존의 피부색은 맑지 않고 빛이 없습니다. 사지는 모두 연약하게 되었고, 주름이 생겼으며, 등은 앞으로 굽었습니다. 눈의 감각기능, 귀의 감각기능, 코의 감각기능, 혀의 감각기..

제48상윳따 - 제4장 즐거움의 기능 품(SN48:31-SN48:40. Sukhindriya-vagga)

제4장 즐거움의 기능 품 Sukhindriya-vagga (SN 48.31-40)suddhikasuttaṃ (SN 48.31-간단한 설명 경)501. “비구들이여, 이런 다섯 가지 기능이 있다. 무엇이 다섯인가? 즐거움의 기능[락근.樂根], 괴로움의 기능[고근.苦根], 만족(기쁨)의 기능[희근.喜根], 고뇌(불만족)의 기능[우근.憂根], 평정의 기능[사근.捨根]이다. 비구들이여, 이러한 다섯 가지 기능이 있다.” sotāpannasuttaṃ (SN 48.32-예류자 경) 502. “비구들이여, 이런 다섯 가지 기능이 있다. 무엇이 다섯인가? 즐거움의 기능[락근.樂根], 괴로움의 기능[고근.苦根], 만족(기쁨)의 기능[희근.喜根], 고뇌(불만족)의 기능[우근.憂根], 평정의 기능[사근.捨根]이다. 비구들이..

제48상윳따 - 제3장 여섯 가지 감각 기능 품(SN48:21-SN48:30. Chaḷindriya-vagga)

제3장 여섯 가지 감각기능(근) 품 Chaḷindriya-vagga (SN 48.21-30)punabbhavasuttaṃ (SN 48.21-다음의 존재 경)491. "비구들이여, 이러한 다섯 가지 기능이 있다. 어떤 다섯 가지인가? 믿음의 기능, 정진의 기능, 마음 챙김의 기능, 삼매의 기능, 혜의 기능이다. 비구들이여, 이러한 다섯 가지 기능의 일어남과 사라짐과 맛과 위험(잘못됨)과 벗어남을 있는 그대로 알지 못한 때까지는, 비구들이여, 나는 하늘이 사는 세계, 마라가 사는 세계, 브라흐마(범천)가 사는 세계, 사문과 바라문의 인간세계, 하늘사람이 사는 세계에 대해 '위 없는 바른 깨달음을 완전히 깨달았다.'라고 천명하지 않았다. 그러나 비구들이여, 나는 이러한 다섯 가지 근의 일어남과 사라짐과 맛과 ..

제48상윳따 - 제2장 더 약함 품(SN48:11-SN48:20. Mudutara-vagga)

제2장 더 약함 품 Mudutara-vagga (SN 48.11-20) paṭilābhasuttaṃ (SN 48.11-얻음 경) 481. "비구들이여, 다섯 가지 기능이 있다. 어떤 다섯 가지인가? 믿음의 기능, 정진의 기능, 마음 챙김의 기능, 삼매의 기능, 혜의 기능이다. 비구들이여, 무엇이 믿음의 기능인가?여기, 비구들이여, 성스러운 제자는 믿음을 가졌다. ‘이렇게 그분 세존께서는 아라한[araham]이시며, 모든 법을 바르게 완전히 깨달은 분(samma sambuddho)이시며, 명지와 실천을 구족한 분(vijjacaranasampanna)이시며, 열반으로 잘 가신 분(sugato)이시며, 중생들의 세간을 잘 알고 계신 분(lokavidu)이시며, 위 없으신 분(anuttaro)이시며, 어리석은 ..

제48상윳따 - 기능[根] 상윳따(Indriya-saṁyutta) - 제1장 간단한 설명 품(SN48:1-SN48:10. Suddhika-vagga)

제48주제(S48) 기능[根. 근] 상윳따 Indriya-saṁyutta 제1장 간단한 설명 품Suddhika-vagga (SN 48.1-10) suddhikasuttam (SN 48.1-간단한 설명 경)471. 사왓티에서 설해짐. “비구들이여, 이런 다섯 가지 기능(根)이 있다. 어떤 다섯 가지인가?믿음의 기능[信根], 정진의 기능[精進根], 마음 챙김의 기능[念根], 삼매의 기능[定根], 혜의 기능[慧根]이다. 비구들이여, 이러한 다섯 가지 기능이 있다.”  pathamasotāpannasuttam (SN 48.2-예류자 경1)472. “비구들이여, 다섯 가지 기능이 있다. 어떤 다섯 가지인가? 믿음의 기능, 정진의 기능, 마음 챙김의 기능, 삼매의 기능, 혜의 기능이다. 비구들이여, 성스러운 제자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