빠알리어 경전/상윳따 니까야 205

제46상윳따 - 제13장 폭류 품(SN46:106-SN46:115. Ogha-vagga)

제13장 폭류 품 Ogha-vagga (SN 46.106-115) oghasuttaṃ (SN 46.106-폭류 경)1. 사왓티에서 설해짐. “비구들이여, 이런 네 가지 폭류가 있다. 무엇이 넷인가? 감각적 쾌락에 의한 폭류, 존재에 의한 폭류, 견해에 의한 폭류, 무명에 의한 폭류이다. 비구들이여, 이것이 네 가지 폭류이다. 비구들이여, 이 네 가지 폭류를 철저한 지혜로 알기 위해, 완전한 지혜로 알기 위해, 완전한 부서짐을 위해, 버림을 위해서 ··· 이 일곱 가지 깨달음의 요소를 닦아야 한다."(앞의 추구 품처럼 이렇게 전체를 펼침) *네 가지 거친 흐름(cattaro ogha)이란 윤회의 바다에서 생사가 거듭되는 것을 거센 물결의 흐름에 비유한 말이다. 감각적 쾌락에 의한 거친 흐름(kamogha)..

제46상윳따 - 제12장 추구 품(SN46:95-SN46:105. Esanā-vagga)

제12장 추구 품 Esanā-vagga (SN 46.95-105) esanāsuttaṃ (SN 46.95-추구 경)1. “비구들이여, 이런 세 가지 추구가 있다. 무엇이 셋인가? 감각적 쾌락의 추구, 존재의 추구, 청정범행의 추구이다. 이것이, 비구들이여, 세 가지 추구이다. 비구들이여, 이 세 가지 추구를 철저한 지혜로 알기 위해서 일곱 가지 깨달음의 요소를 닦아야 한다. 무엇이 일곱 가지 깨달음의 요소인가? 여기 비구는 탐욕의 길들임에 이르게 하고 성냄의 길들임에 이르게 하고 어리석음의 길들임에 이르게 하는 마음 챙김으로 이루어진 깨달음의 요소를 닦는다. ··· 법의 간택으로 이루어진 깨달음의 요소를 닦는다. ··· 정진으로 이루어진 깨달음의 요소를 닦는다. ··· 희열로 이루어진 깨달음의 요소를 닦..

제46상윳따 - 제11장 힘쓰는 일 품(SN46:93-SN46:104. Balakaraṇīya-vagga)

제11장 힘쓰는 일 품 Balakaraṇīya-vagga (SN 46.93-104)balasuttaṃ (SN 46.93-힘 경)1. 사왓티에서 설해짐. "비구들이여, 예를 들면, 힘쓰는 일을 할 때는 어떤 일이든지 땅에 의지하고, 땅에 확고히 서서 그 힘쓰는 일을 하는 것과 같다. 비구들이여, 그와 같이 비구는 계에 의지하고 계에 확고하게 서서 일곱 가지 깨달음의 요소를 닦고 일곱 가지 깨달음의 요소를 많이 행한다. 비구들이여, 그러면 계를 의지하고 계에 확고하게 선 비구는 어떻게 일곱 가지 깨달음의 요소를 닦고 일곱 가지 깨달음의 요소를 많이 행하는가?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는 분리됨에 의지하고 탐욕의 떠남에 의지하고 소멸에 의지하고 내놓음에 이르는 마음챙김으로 이루어진 깨달음의 요소를 닦는다. ···..

제46상윳따 - 제10장 불방일 품(SN46:89-SN46:92. Appamāda-vagga)

제10장 불방일 품 Appamāda-vagga (SN 89-92) tathāgatasuttaṃ (SN 46.89-여래 경)1. 사왓티에서 설해짐. “비구들이여, 발이 없거나, 발이 두 개이거나, 발이 네 개이거나, 발이 많거나, 물질을 가졌거나(색계.色界), 물질을 갖지 않았거나(무색계.無色界), 인식의 영역이거나(상.想), 인식이 없는 영역이거나(무상.無想), 인식이 있는 것도 아니고 없는 것도 아닌 영역이거나(비상비비상.非想非非想) 그 모든 중생들에 관한한 여래·아라한·정등각이 그들 가운데서 으뜸이라 불린다. 비구들이여, 그와 같이 어떤 것이든 선법[善法]이라면 모두 불방일(不放逸)을 뿌리로 생겨나고 불방일로 모인다. 불방일이 그 법들의 으뜸이라 불린다.  비구들이여, 불방일한(방일하지 않은) 비구에..

제46상윳따 - 제9장 강가 강의 반복(SN46:77-SN46:81. Gaṅgā-peyyāla)

제9장 강가 강의 반복 Gaṅgā-peyyāla (SN 46.77-81) paṭhamapācīnaninnasuttaṃ (SN 46.77-동쪽으로 흐름 경1)1. 사왓티에서 설해짐. “비구들이여, 예를 들면 강가 강은 동쪽으로 흐르고 동쪽으로 향하고 동쪽으로 들어간다. 비구들이여, 그와 같이 비구가 일곱 가지 깨달음의 요소를 닦고 일곱 가지 깨달음의 요소를 많이 행할 때 열반으로 흐르고 열반으로 향하고 열반으로 들어간다. 비구들이여, 그러면 비구가 어떻게 일곱 가지 깨달음의 요소를 닦고, 일곱 가지 깨달음의 요소를 많이 행할 때 열반으로 흐르고 열반으로 향하고 열반으로 들어가는가? 여기 비구는 분리됨에 의지하고 탐욕의 떠남에 의지하고 소멸에 의지하고 내놓음에 이르는 마음 챙김으로 이루어진 깨달음의 요소를 ..

제46상윳따 - 제8장 소멸 품(SN46:67-SN46:76. Nirodha-vagga)

제8장 소멸 품 Nirodha-vagga (SN 46.67-76)asubhasuttaṃ (SN 46.67-부정(不淨) 경)248. "비구들이여, 부정(不淨)의 인식[부정이라고 관찰하는 지혜에서 생긴 인식]을 닦고 많이 행할 때 ··· ①큰 결실과 큰 이익이 있다. ②두 가지 결과 중의 하나가 기대된다. ③큰 번영으로 이끈다. ④큰 유가안온(瑜伽安穩)으로 인도된다.  ⑤해탈을 지향하는 큰 열망으로 인도된다. ⑥큰 편안한 머묾으로 인도된다. 위의 여섯 가지를 반복한다. maraṇasuttaṃ (SN 46.68-죽음 경) 249. 죽음의 인식(죽음에 대한 인식)  āhārepaṭikūlasuttaṃ (SN 46.69-음식에 혐오함 경) 250. 음식에 혐오하는 인식 anabhiratisuttaṃ (SN 46...

제46상윳따 - 제7장 들숨.날숨 품(SN46:57-SN46:66. Ānāpāna-vagga)

제7장 들숨.날숨 품 Ānāpāna-vagga (SN 46.57-66) aṭṭhikamahapphalasuttaṃ (SN 46.57-해골-큰 결실 경)238. 사왓티에서 설해짐. "비구들이여, 해골의 인식(해골이 된 것의 인식)을 닦고 많이 행할 때 큰 결실과 큰 이익이 있다. 그러면, 비구들이여, 해골의 인식을 어떻게 닦고 어떻게 많이 행할 때 큰 결실과 큰 이익이 있는가? 여기, 비구들이여, 비구는 분리됨에 의지하고 탐욕의 떠남에 의지하고 소멸에 의지하고 내놓음에 이르는 해골의 인식이 함께한 마음 챙김으로 이루어진 깨달음의 요소를 닦는다. ··· 법의 간택으로 이루어진 깨달음의 요소를 닦는다. ··· 정진으로 이루어진 깨달음의 요소를 닦는다. ··· 희열로 이루어진 깨달음의 요소를 닦는다. ··· 편..

제46상윳따 - 제6장 담론 품(SN46:51-S4N6:56. Sākaccha-vagga)

제6장 담론 품 Sākaccha-vagga (SN 46.51-56) āhārasuttaṃ (SN 46.51-자양분 경) 232. 사왓티에서 설해짐. “비구들이여, 다섯 가지 장애와 일곱 가지 깨달음의 요소의 자양분과 자양분이 아닌 것을 설하겠다. 그것을 들어라. 그러면, 비구들이여, 무엇이 일어나지 않은 감각적 쾌락에 대한 욕망를 일어나게 하고, 일어난 감각적 쾌락에 대한 욕망를 더욱 증장하게 하고 충만하게 하는 자양분인가? 비구들이여, 아름다운 표상이 있다. 거기에 이치에 맞지 않게(지혜롭지 않게) 마음을 많이 기울이면, 이것이 일어나지 않은 감각적 쾌락에 대한 욕망를 일어나게 하고, 일어난 감각적 쾌락에 대한 욕망을 더욱 증장하게 하고 충만하게 하는 자양분이다. 비구들이여, 무엇이 일어나지 않은 악의..

제46상윳따 - 제5장 전륜성왕 품(SN46:41-SN46:50. Cakkavatti-vagga)

제5장 전륜성왕 품 Cakkavatti-vagga (SN 46.41-50) vidhāsuttam (SN 46.41-자만심 경)222. 사왓티에서 설해짐. “비구들이여, 과거의 사문들이나 바라문들은 세 가지 자만심을 제거하였고 그들은 모두 일곱 가지 깨달음의 요소를 닦고 많이 행하였다. 비구들이여, 미래의 사문들이나 바라문들은 세 가지 자만심을 제거할 것이고 그들은 모두 일곱 가지 깨달음의 요소를 닦고 많이 행할 것이다. 비구들이여, 현재의 사문들이나 바라문들은 세 가지 자만심을 제거하고 그들은 모두 일곱 가지 깨달음의 요소를 닦고 많이 행한다. 그러면 어떤 일곱 가지 깨달음의 요소를 닦고 많이 익히는가? 그것은 마음 챙김으로 이루어진 깨달음의 요소, 법의 간택(법에 대한 선별)으로 이루어진 깨달음의 요소..

제46상윳따 - 제4장 장애 품(S46:31-S46:40. Nīvaraṇa-vagga)

제4장 장애 품 Nīvaraṇa-vagga (SN 46.31-40) paṭhamakusalasuttaṃ (SN 46.31-유익(有益) 경1)  212. “비구들이여, 어떤 것이든 유익(有益)하고 유익에 연결되고 유익의 편에 있는 법들은 모두 불방일을 뿌리로 하고 불방일로 모인다. 불방일이 그들 가운데 으뜸이라고 불린다. 비구들이여, 불방일한 비구에게 ‘일곱 가지 깨달음의 요소를 닦을 것이다. 일곱 가지 깨달음의 요소를 많이 행할 것이다.’라는 것이 기대된다.비구들이여, 그러면 어떻게 불방일(不放逸)한 비구는 일곱 가지 깨달음의 요소를 닦고 일곱 가지 깨달음의 요소를 많이 행하는가?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는 분리됨에 의지하고 탐욕의 떠남에 의지하고 소멸에 의지하고 내놓음에 이르는, 마음 챙김으로 이루어진 ..

제46상윳따 - 제3장 우다이 품(SN46:21-SN46:30. Udāyi-vagga)

제3장 우다이 품 Udāyi-vagga (SN 46.21-30) bodhāyasuttaṃ (SN 46.21-깨달음 경)202. 그 무렵 어떤 비구가 세존께 다가갔다. 가서는 세존께 경의를 표하고 난 뒤에 한 곁에 앉았다. 한 곁에 앉은 그 비구는 세존께 이렇게 말씀드렸다.  “세존이시여, ‘깨달음의 요소들, 깨달음의 요소들’이라고 불립니다. 세존이시여, 어떤 점에서 '깨달음의 요소들'이라고 불립니까?” “비구여, ‘깨달음으로 이끈다.’라고 해서 깨달음의 요소들이라고 불린다. 비구여, 여기 분리됨에 의지하고 탐욕의 떠남에 의지하고 소멸에 의지하고 내놓음에 이르는 마음 챙김으로 이루어진 깨달음의 요소를 닦는다. ··· 법에 대한 선별로 이루어진 깨달음의 요소를 닦는다. ··· 정진으로 이루어진 깨달음의 요소..

제46상윳따 - 제2장 병 품(SN46:11- SN46:20. Gilāna-vagga)

제2장 병 품 Gilāna-vagga (SN 46.11-20) pāṇāsuttam (SN 46.11-생명 경)192. “예를 들면, 비구들이여, 어떤 생명이든 네 가지 자세로 삶을 영위한다. 어떤 때는 가고 어떤 때는 서고 어떤 때는 앉고 어떤 때는 눕는다. 그런데 이런 모든 자세는 반드시 땅에 의지하고 땅 위에 확고하게 서서 유지된다. 비구들이여, 그와 같이 비구는 계를 의지하고 계에 확고하게 서서 일곱 가지 깨달음의 요소를 닦고 일곱 가지 깨달음의 요소를 많이 행한다. 비구들이여, 그러면 계를 의지하고 계에 확고하게 선 비구는 어떻게 일곱 가지 깨달음의 요소를 닦고 일곱 가지 깨달음의 요소를 많이 행하는가?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는 분리됨에 의지하고 탐욕의 떠남에 의지하고 소멸에 의지하고 내놓음에 이..

제46상윳따 - 깨달음의 요소 상윳따(Bojjhaṅga-saṁyutta) - 제1장 산 품(SN46:1-SN46:10. Pabbata-vagga)

제46주제(S46) 깨달음의 요소 상윳따Bojjhaṅga-saṁyutta 제1장 산 품Pabbata-vagga (SN 46.1-10) himavantasuttaṃ (SN 46.1-히말라야 경)182. 사왓티에서 설해짐. “예를 들면, 비구들이여, 산의 왕 히말라야를 의지하여 용들은 자신들의 몸을 키우고 힘을 얻는다. 그들은 거기서 몸을 키우고 힘을 얻은 뒤 작은 호수로 간다. 작은 호수에 들어간 뒤 다시 큰 호수에 들어간다. 큰 호수에 들어간 뒤 다시 작은 강에 들어간다. 작은 강에 들어간 뒤 다시 큰 강에 들어간다. 큰 강에 들어간 뒤 다시 바다와 대해에 들어간다. 그들은 거기서 그 몸으로 위대함과 충만함을 얻는다. 이처럼, 비구들이여, 계를 의지하고 계에 확고하게 서서 일곱 가지 깨달음의 요소[칠각지..

제45상윳따 - 제14장 폭류 품(S45:106-S45:115. Ogha-vagga)

제14장 거친 흐름(폭류) 품 Ogha-vagga (SN 45.106-115) oghasuttaṃ (SN 45.106-폭류 경)1. 사왓티에서 설해짐. "비구들이여, 이런 네 가지 폭류(暴流)가 있다. 무엇이 넷인가? 감각적 쾌락에 의한 폭류, 존재에 의한 폭류, 견해에 의한 폭류, 무명에 의한 폭류이다. 비구들이여, 이것이 네 가지 폭류이다. 비구들이여, 이 네 가지 폭류를 철저한 지혜로 알기 위해, 완전한 지혜로 알기 위해, 완전한 부서짐을 위해, 버림을 위해서 ··· 이 여덟 요소로 구성된 성스러운 길을 닦아야 한다."(앞의 추구 품처럼 이렇게 전체를 펼침) yogasuttaṃ (SN 45.107-속박 경)2. "비구들이여, 이런 네 가지 속박이 있다. 무엇이 넷인가? 감각적 쾌락의 속박, 존재의 ..

제45상윳따 - 제13장 추구 품(S45:95-S45:105. Esanā-vagga)

제13장 추구 품 Esanā-vagga (SN 45.95-105) esanāsuttaṃ (SN 45.95-추구 경)161. 사왓티에서 설해짐. “비구들이여, 이런 세 가지 추구가 있다. 무엇이 셋인가? 감각적 쾌락의 추구, 존재의 추구, 청정범행의 추구이다. 이것이, 비구들이여, 세 가지 추구이다. 비구들이여, 이 세 가지 추구를 철저한 지혜로 알기 위해서 여덟 요소로 구성된 성스러운 길을 닦아야 한다. 무엇이 여덟 요소로 구성된 성스러운 길인가?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는 분리됨에 의지하고 탐냄의 떠남에 의지하고 소멸에 의지하여 내놓음에 이르는 바른 견해를 닦는다. ··· 여기 비구는 분리됨에 의지하고 탐냄의 떠남에 의지하고 소멸에 의지하여 내놓음에 이르는 바른 삼매를 닦는다. 비구들이여, 이 세 가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