빠알리어 경전 586

열의 모음 - 1. 이익 품(Ānisaṁsa-vagga. AN10.1-10)

제1장 이익 품 Ānisaṁsa-vagga (AN 10.1-10) kimatthiyasuttaṃ (AN 10.1-어떤 목적 경) 1.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한 때에 세존께서는 사왓티의 제따 숲에 있는 아나따삔띠카 승원에 머물고 계셨다. 그 무렵 아난다 존자가 세존께 다가갔다. 가서는 세존께 경의를 표하고 난 뒤에 한 곁에 앉았다. 한 곁에 앉은 아난다 존자는 세존께 이와 같이 말씀드렸다. “세존이시여, 유익한 계들에게 어떤 목적과 어떤 이익이 있습니까?" “아난다여, 유익한 계들에게 뉘우침(후회함) 없음의 목적과 뉘우침 없음의 이익이 있다. “세존이시여, 뉘우침 없음에게 어떤 목적과 어떤 이익이 있습니까?" “아난다여, 뉘우침 없음에게 환희의 목적과 환희의 이익이 있다." “세존이시여, 환희에게 어떤..

아홉의 모음 - 10. 탐욕의 반복 품(rāgapeyyālaṃ. AN9.93-113-432)

제10장 탐욕의 반복 품 rāgapeyyālaṃ (AN 9.93-113-432) 93. “비구들이여, 탐욕을 완전히 알기 위해서는 아홉 가지 법을 닦아야 한다. 어떤 아홉인가? 부정(不淨)이라고 [관찰하는 지혜에서 생긴] 인식, 죽음에 대한 인식, 음식에 대해 혐오하는 인식, 온 세상에 대해 즐길 것(기쁨)이 없다는 인식, [오온에 대해서] 무상이라고 [관찰하는 지혜에서 생긴] 인식, 무상한 [오온에 대해서] 괴로움이라고 [관찰하는 지혜에서 생긴] 인식, 괴로움인 [오온에 대해서] 무아라고 [관찰하는 지혜에서 생긴] 인식, 버림의 인식, 탐욕의 사라짐의 인식이다. 비구들이여, 탐욕을 완전히 알기 위해서는 이러한 아홉 가지 법을 닦아야 한다.” 94. "비구들이여, 탐욕을 완전히 알기 위해서는 아홉 가지 ..

아홉의 모음 - 9. 신통의 요소 품(Iddhipāda-vagga. AN9.83-84-92)

제9장 신통의 요소 품 Iddhipāda-vagga (AN9.83-84-92) sikkhādubbalyasuttaṃ (AN 9.83-닦음을 나약하게 함 경) 83. “비구들이여, 이런 다섯 가지의 닦음을 나약하게 만드는 것이 있다. 무엇이 다섯인가? 생명을 해치는 행위, 주지 않은 것을 가지는 행위, 음행에 대한 삿된 행위, 거짓을 말하는 행위, 술과 발효액 등 취하게 하는 것으로 인한 방일한 머묾이다. 이것이, 비구들이여, 다섯 가지의 닦음을 나약하게 만드는 것이다. 비구들이여, 이러한 다섯 가지 닦음을 나약하게 만드는 것을 버리기 위해서는 네 가지 신통의 요소[四如意足.성취수단]를 닦아야 한다. 어떤 네 가지인가?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는 바램에 의한 삼매와 노력을 통해 형성되는 신통의 요소를 닦는다..

아홉의 모음 - 8. 바른 노력 품(Sammappadhāna-vagga. AN9.73-74-82)

제8장 바른 노력 품 Sammappadhāna-vagga(AN 9.73-82) sikkhādubbalyasuttaṃ (AN 9.73-닦음을 나약하게 함 경) 73. “비구들이여, 이런 다섯 가지의 닦음을 나약하게 만드는 것이 있다. 무엇이 다섯인가? 생명을 해치는 행위, 주지 않은 것을 가지는 행위, 음행에 대한 삿된 행위, 거짓을 말하는 행위, 술과 발효액 등 취하게 하는 것으로 인한 방일한 머묾이다. 이것이, 비구들이여, 다섯 가지의 닦음을 나약하게 만드는 것이다. 비구들이여, 닦음을 나약하게 만드는 이러한 다섯 가지를 버리기 위해서는 네 가지 바른 노력[四正勤]을 닦아야 한다. 어떤 네 가지인가?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는 아직 생겨나지 않은 삿되고 선하지 않은 법을 생겨나지 않게 하기 위하여 바램을..

아홉의 모음 - 7. 마음 챙김의 확립 품(Satipaṭṭhāna-vagga. AN9.63-72)

제7장 마음 챙김의 확립 품 Satipaṭṭhāna-vagga (AN 9.63-72) sikkhādubbalyasuttaṃ (AN 9.63-닦음을 나약하게 함 경) 63. “비구들이여, 다섯 가지의 닦음을 나약하게 만드는 것이 있다. 무엇이 다섯인가? 생명을 해치는 행위, 주지 않은 것을 가지는 행위, 음행에 대한 삿된 행위, 거짓을 말하는 행위, 술과 발효액 등 취하게 하는 것으로 인한 방일한 머묾이다. 이것이, 비구들이여, 다섯 가지의 닦음을 나약하게 만드는 것이다. 비구들이여, 이러한 다섯 가지의 닦음을 나약하게 만드는 것을 버리기 위해서는 네 가지 마음챙김의 확립[四念處]을 닦아야 한다. 어떤 네 가지인가? 비구들이여, 여기에 한 비구가 있어, 몸에서(몸에 대해서) 몸을 따라가며 보면서(이어 보면..

아홉의 모음 - 6. 안온 품(Khema-vagga. AN9.52-62)

제6장 안온 품 Khema-vagga (AN 9.52-62) khemasuttam (AN 9.52-안온 경) 52. “도반이여, ‘안온, 안온’이라고 합니다. 도반 아난다여, 그러면 어떤 것이 안온이라고(얼마만큼의 안온이) 세존께서는 말씀하셨습니까?” “여기, 도반이여, 비구는 감각적 쾌락으로부터 멀어지고 선하지 않은 법으로부터 멀어져, 거친 사유와 미세한 사유을 지닌, 분리됨으로부터 생겨난 기쁨과 즐거움이 있는 초선에 들어 머뭅니다. 도반이여, 이만큼도 단계 지어진 안온이라고 세존에 의해 말해졌습니다. 다시, 도반이여, 비구는 거친 사유와 미세한 사유가 가라앉아, 안으로 고요해지고, 마음이 한 곳에 고정되어, 거친 사유와 미세한 사유가 없는 삼매로부터 생겨난 기쁨과 즐거움이 있는 제2선에 들어머뭅니다...

아홉의 모음 - 5. 일반 품(Samanna-vagga. A9.42-51)

제5장 일반 품 Samanna-vagga (AN 9.42-51) sambādhasuttaṃ (AN 9.42-속박 경) 42. 한 때에 아난다 존자는 꼬삼비에서 고시따 숲에 머물고 있었다. 그 무렵 우다이 존자가 아난자 존자에게 찾아갔다. 가서는 아난다 존자와 함께 안부 인사를 나누었다.서로 안부 인사와 우호적인 대화를 나눈 뒤에 한 곁에 앉았다. 한 곁에 앉은 우다이 존자는 아난다 존자에게 이렇게 말했다. “도반이여, 신의 아들 빤짤라짠다가 이렇게 말했습니다. ‘속박 가운데에서 자유를 향해 나아갔으니, 광대한 지혜를 얻었음이라. 선(禪)에 의해 깨달은 세존은 벗어남에 앞장 선 성자이시다.' 도반이여, 무엇이 속박이고, 무엇이 속박 가운데 자유로 나아감이라고 세존께서는 말씀하셨습니까?” “도반이여, 다섯 ..

아홉의 모음 - 4. 대 품(Mahā-vagga. AN9.32-41)

제4장 대 품 Mahā-vagga (AN 9.32-41) anupubbavihārasuttaṃ (AN 9.32-차례로 머묾 경) 32. "비구들이여, 아홉 가지 차례로 머묾이 있다. 무엇이 아홉인가?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는 감각적 쾌락으로부터 멀어지고 선하지 않은 법[不善法]으로부터 멀어져, 거친 사유(일으킨 생각.尋)와 미세한 사유(지속적인 고찰.伺)을 지닌, 멀어짐(분리됨)으로부터 생겨난 기쁨[喜.희열]과 즐거움[樂.행복]이 있는 초선(初禪)에 들어 머문다. 여기 비구는, 거친 사유와 미세한 사유가 가라앉아, 안으로 고요해지고, 마음이 한 곳에 고정되어, 거친 사유와 미세한 사유가 없는 삼매로부터 생겨난 기쁨과 즐거움이 있는 제2선(二禪)에 들어 머문다. 여기 비구는, 기쁨을 떠나 평정이 머무는, ..

제51주제 - 제4장 강가 강의 반복(SN51:33-SN51:44. Gaṅga-peyyāla)

제4장 강가 강의 반복Gaṅga-peyyāla iddhipadadisuttadvādasakaṃ  (SN 51.33-신통의 요소 상윳따 반복품의 정리)845-856.사왓티에서 설해짐. "비구들이여, 네 가지 신통의 요소가 있다. 어떤 넷인가? 여기, 비구들이여, 비구는 바램에 의한 삼매와 노력을 통해 형성되는 신통의 요소를 닦는다. 비구는 정진에 의한 삼매와 노력을 통해 형성되는 신통의 요소를 닦는다. 비구는 마음에 의한 삼매와 노력을 통해 형성되는 신통의 요소를 닦는다. 비구는 관찰에 의한 삼매와 노력을 통해 형성되는 신통의 요소를 닦는다. 비구들이여, 이것이 네 가지 신통의 요소이다.  예를 들면, 비구들이여, 강가 강은 동쪽으로 흐르고 동쪽으로 향하고 동쪽으로 들어간다. 비구들이여, 그와 같이, 비구..

제51주제 - 제3장 쇠 구슬 품(SN51:21-SN51:32. Ayogula-vagga)

제3장 쇠 구슬 품 Ayogula-vagga maggasuttam (SN 51.21-길(道.도) 경)833. 사왓티에서 설해짐. “비구들이여, 내가 깨닫기 전, 아직 완전한 깨달음을 성취하지 못한 보살이었을 때 이런 생각이 떠올랐다. ‘무엇이 신통의 요소를 닦기 위한 길이고 무엇이 닦음인가?'라고. 비구들이여, 그런 나에게 이런 생각이 떠올랐다. '이렇게 나의 바램은 ··· 나의 정진은 ··· 나의 마음은 ··· 이렇게 나의 관찰은 지나치게 느슨하지도 않을 것이고 지나치게 긴장하지도 않을 것이다. 안으로 수축되지도 않을 것이고 밖으로 흩어지지도 않을 것이다.’라고 하면서 관찰에 의한 삼매와 노력을 통해 형성되는 신통의 요소를 닦는다. '먼저처럼 나중을, 나중처럼 먼저를.'  '아래처럼 위로, 위처럼 아래..

제51주제 - 제2장 미가라마뚜 강당을 흔듦 품(SN51:11-SN51:20. Pāsādakampana-vagga)

제2장 미가라마뚜 강당을 흔듦 품 Pāsādakampana-vagga  pubbasuttaṃ (SN 51.11-이전 경) 823. 사왓티에서 설해짐. “비구들이여, 내가 깨닫기 전, 아직 완전한 깨달음을 성취하지 못한 보살이었을 때 이런 생각이 떠올랐다. ‘신통의 요소를 닦기 위한 어떤 원인, 어떤 조건이 있는가?'라고. 비구들이여, 그런 나에게 이런 생각이 떠올랐다. '이렇게 나의 바램은 지나치게 느슨하지도 않을 것이고 지나치게 긴장하지도 않을 것이다. 안으로 수축되지도 않을 것이고 밖으로 흩어지지도 않을 것이다.'라고 하면서 바램에 의한 삼매와 노력을 통해 형성되는 신통의 요소를 닦는다. '먼저처럼 나중을, 나중처럼 먼저를.'  '아래처럼 위로, 위처럼 아래로' 머문다. '낮처럼 밤에도, 밤처럼 낮에..

제51상윳따 - 신통의 요소 상윳따(Iddhipāda-saṁyutta) - 제1장 짜빨라 품(S51:1-S51:10. Cāpāla-vagga)

제51상웃따(S51) 신통의 요소 상윳따 Iddhipāda-saṁyutta 제1장 짜빨라 품Cāpāla-vagga  apārasuttaṃ (SN 51.1-이 언덕 경) 813. "비구들이여, 닦고 많이 행한 네 가지 신통의 요소(四如意足.사여의족)는 이 언덕으로부터 저 언덕으로 가기 위해 이끈다. 어떤 넷인가? 여기, 비구들이여, 비구는 바램에 의한 삼매와 노력을 통해 형성되는 신통의 요소를 닦는다.  여기 비구는 정진에 의한 삼매와 노력을 통해 형성되는 신통의 요소를 닦는다. 여기 비구는 마음의 삼매와 노력을 통해 형성되는 신통의 요소를 닦는다. 여기 비구는 관찰에 의한 삼매와 노력을 통해 형성되는 신통의 요소를 닦는다.비구들이여, 닦고 많이 행한 이런 네 가지 신통의 요소는 이 언덕으로부터 저 언덕으..

제50상윳따 - 제10장 폭류 품(SN50:100-SN50:109. Ogha-vagga)

제10장 폭류 품 Ogha-vagga  uddhambhāgiyasuttaṃ (SN 50.108-높은 단계의 족쇄 경) 803-812. "비구들이여, 다섯 가지 높은 단계의 족쇄[五上分結]가 있다. 무엇이 다섯인가? 색계에 대한 탐욕, 무색계에 대한 탐욕, 교만, 들뜸, 무명이다. 비구들이여, 이것이 다섯 가지 높은 단계의 족쇄이다. 비구들이여, 이러한 다섯 가지 높은 단계의 족쇄를 철저한 지혜로 알기 위해서는, 완전한 지혜로 알기 위해서는, 완전한 부서짐을 위해서는(완전히 다해 없어지게 하기 위해서는), 버림을 위해서는 다섯 가지 힘을 닦아야 한다. 무엇이 다섯인가?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는 탐욕의 길들임에 이르고 성냄의 길들임에 이르고 어리석음의 길들임에 이르는 믿음의 힘을 닦는다. 여기 비구는 탐욕의..

제50상윳따 - 제9장 추구 품(SN50:89-SN50:99. Esanā-vagga)

제9장 추구 품 Esanā-vagga  tasināsuttaṃ (SN 50.99-갈증 경)  792-802. "비구들이여, 이런 세 가지 갈증이 있다. 무엇이 셋인가? 감각적 쾌락에 대한 갈증, 존재에 대한 갈증, 비존재에 대한 갈증이다. 비구들이여, 이것이 세 가지 갈증이다. 비구들이여, 이 세 가지 갈증을 철저한 지혜로 알기 위해서는, 완전한 지혜로 알기 위해서는, 완전한 부서짐을 위해서는, 버림을 위해서는 다섯 가지 힘을 닦아야 한다. 무엇이 다섯 가지인가?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는 탐욕의 길들임에 이르고 성냄의 길들임에 이르고 어리석음의 길들임에 이르는 믿음의 힘을 닦는다. 여기 비구는 탐욕의 길들임에 이르고 성냄의 길들임에 이르고 어리석음의 길들임에 이르는 정진의 힘을 닦는다. 여기 비구는 탐욕..

제50상윳따 - 제8장 힘쓰는 일 품(SN50:77-SN50:88. Balakaraṇīya-vagga)

제8장 힘쓰는 일 품 Balakaraṇīya-vagga nadīsuttaṃ (SN 50.88-강 경)  12. “비구들이여, 예를 들면 강가 강은 동쪽으로 흐르고 동쪽으로 향하고 동쪽으로 들어간다. 그런데 많은 무리의 사람들이 괭이와 바구니를 가지고 올 것이다. ‘우리는 이 강가 강을 서쪽으로 흐르고 서쪽으로 향하고 서쪽으로 들어가게 할 것이다.’라면서. 비구들이여, 이를 어떻게 생각하는가? 저 많은 무리의 사람들이 강가 강을 서쪽으로 흐르고 서쪽으로 향하고 서쪽으로 들어가게 할 수 있겠는가?”   “아닙니다, 세존이시여." "그것은 무슨 이유 때문인가?" "세존이시여, 동쪽으로 흐르고 동쪽으로 향하고 동쪽으로 들어가는 것을 서쪽으로 흐르고 서쪽으로 향하고 서쪽으로 들어가게 하기란 쉽지 않기 때문입니다...